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생
선생님
교원
교육자
학교선생
스승
교수
d라이브러리
"
교사
"(으)로 총 1,707건 검색되었습니다.
문제 투성이의 학습자료와 학습방법 흥미있는 지구과학이 지루한 과목으로…
과학동아
l
1989년 11호
어떤 이유에도 불구하고 누적된 교육환경의 열악함과 모순을 좌시할 수는 없는 일이다.
교사
는 물론이고 학생들 역시 그릇된 교육환경과 내용을 작은 일부터 단호하게 거부하여야 한다. 그리고 우리가 스스로 원하는 교과과정을 확립하여야만 한다. 우리가 학습을 하는 것은 미래에 대한 무한정의 ... ...
미국 과학교육의 위기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과학 수학
교사
중
교사
로서 제대로의 능력을 갖춘 사람은 반밖에 안된다는 것이다. 중등
교사
들은 잠재력있는 미래의 과학·기술자로도 볼 수 있는데 학교의 봉급이 일반회사에 취직해서 받는 것보다 훨씬 적기 때문에 교직을 기피하는 경향이 심하다는 것이다.스푸트닉 직후같은 긴장지난 57년 ... ...
선택과목은 어떻게 선택하고 공부할 것인가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않은 학생의 비율등을 밝혀내면 꽤 충격적일 거예요.또 학생들이 선택하고 싶어도 학
교사
정으로 선택하지 못하는 일도 시정돼야 해요.예컨대 서울의 W고등학교는 문과생중 물리 선택자가 5명, 역시 서울 D대부고는 4명에 불과한데 그들은 전혀 수업을 받지 못하고 있어요 ... ...
교사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문제가 선생님의 개인에게 잘못이 있다고 믿었다. 그러한 문제들이 콩나물 교실이나
교사
의 과도한 업무 등 열악한 교육환경에 더 큰 원인이 있다고 느낀것은 내가 교단에 서서 직접 고민하게 된 최근에 이르러서였다.사랑이 교육의 기본이고 자유와 평등과 민주주의를 가르쳐야 한다는 원칙론은 ... ...
서울과학고등학교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자신의 적성과 능력을 파악할 수 있게 해주는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고 밝히면서 "
교사
들도 지속적으로 열의를 갖고 공부할 수 있도록 여러 제도적인 장치를 마련해주면 좋겠다"고 말했다.오는 11월 두번째 신입생을 뽑는 서울과학고는 학력높은 수재들을 모아놓은 일류고등학교가 아니라 진정한 ... ...
컴퓨터를 이용한 교육(CAI)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명확히 규정된 위치를 가져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중등
교사
들이 특정한 과목의
교사
로서 음악 필름이나 지리테이프나 슬라이드 등을 찾는 것처럼 역사 CAI, 음악 CAI, 생물 CAI 등과 같은 것을 찾게 될 것이라는 점이다. 대개 중등학교에서 매체를 처음 도입하는 일은 특정 과목의 성격상 필요에 ... ...
길엽초'신세 면하게 돼'길엽초'신세 면하게 돼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용역을 주는 것이 더 유리할 겁니다. 따라서 이곳에서 새 식생 15종을 발견한 것 보다는
교사
들이 재교육을 받았다는데 더 큰 의미가 있다고 보여집니다.김영:가능하다면 이런 기회가 많아지기를 바랍니다. 또 인원도 확대해 시도교육위원회별로 한분씩 초청할 수 있었으면 합니다. 저는 전공분야가 ... ...
홍도의 식물생태계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전혀 발견되지 않았던 미기록종이다.환갑을 눈앞에 둔 노학자인 이교수는 젊은
교사
들보다 앞질러갔고, 길이 아닌 곳만 찾아드는 열성을 보였다. 모두들 그 진지한 모습에 감명을 받았음인지 경사가 60도도 넘어 보이는 '준'(準)절벽을 숨을 몰아 쉬며 기어 올라갔다. 또 가다가 의문이 나는 식물이 ... ...
컴퓨터
교사
절대부족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1.8명, 고등학교가 2.6명이며 이중 전담
교사
는 각각 0.1명. 1.0명에 불과하다. 이에 따라
교사
1인당 학생수는 중학교가 1백32명, 고등학교가 2백79명에 달해 거의 효과적인 교육이 되기 힘든 실정이다.컴퓨터교육을 정규과목시간에 배정한 학교는 30%정도이고 나머지는 특별활동시간을 이용하고 있다 ... ...
식민통치와 한국의 과학발전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사건은 1930년대에 전개된 과학대중화운동이었다. 이 운동의 모체가 된 발명학회는 과학
교사
들과 발명가들의 모임이었는데, 당초 발명에 대한 사회의 인식과 지원을 호소하려는데서 출발한 이 운동은 과학지식보급회를 설립하면서 마침내는 국민을 대상으로한 과학대중화 운동으로 번져 나갔다. 이 ... ...
이전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