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
노동
과업
근무
취직
근로
취업
d라이브러리
"
작업
"(으)로 총 3,148건 검색되었습니다.
인터넷 집장만 10분이면 뚝딱
과학동아
l
199912
새로운 폴더를 만들고 특정 파일을 계정으로 업로드할 수 있다. 본래 이러한 파일 관리
작업
은 FTP를 이용해서 계정에 연결해 사용해야 한다. 그런데 라이코스는 직접 웹브라우저에서 계정의 파일을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 있어 매우 편리하다.내 홈페이지 꾸미기홈페이지는 단순히 정보만을 ... ...
2000년은 21세기
과학동아
l
199911
말한다. 일부 프로그래머들이 숫자 ‘99’를 연도가 아닌 ‘데이터 입력 종료’ 등 특수
작업
수행을 명령하는 신호로 활용하던 관행 때문에 빚어지는 오류다.이런 관행은 어떻게 생겼을까? 수 99는 두 자리 수 중에서 가장 크기 때문에 종료를 의미할 수 있다. 그렇다고 해서 어떤 특수한 숫자, 그것도 ... ...
2. 날씨 따라잡기
과학동아
l
199911
하나의 코끼리를 그리는 것이 예보관의 역할이라는 말이다. 즉 날씨 예측은 컴퓨터의
작업
과 예보관의 분석이 조화를 이룬 결과다.수치예보의 두 마리 토끼수치예보모델에도 전 지구를 다루는 것과 동북 아시아를 대상으로 하는 지역모델, 우리나라를 중심으로 하는 국지모델로 종류가 나뉜다. ... ...
99년 영광의 수상자 : 생리·의학상-군터 블로벨
과학동아
l
199911
만일 신호 펩티드를 만들어내는 유전자의 구조를 알고 있다면 인간게놈프로젝트의
작업
이 훨씬 수월해진다. 신호 펩티드 유전자의 존재만 확인하면 그 주위의 유전자가 어떤 단백질을 만들어내는지 금방 알 수 있기 때문이다.이처럼 노벨생리·의학상은 단편적으로 얻어진 결과보다는 인류의 ... ...
북극에서 온편지
과학동아
l
199910
그래도 특수하게 제작된 의복을 착용해 땀이 금방 식지 않고 보온이 잘 됐다. 하역
작업
이 끝난 연구팀들은 적당한 연구장소를 선정해 텐트를 쳤다. 그리고 일주일 동안 본격적인 해빙연구를 했다. 연구원들은 교대로 해빙 위에서 숙식하면서 연구를 강행했고, 다시 이곳에 올 기회가 쉽지 않으리라 ... ...
공룡탐사의 천국 몽골 고비사막
과학동아
l
199910
이번 탐사에서 발굴한 화석들은 현재 중국의 척추고생물고인류연구소에서 뼈를 추리는
작업
이 진행 중이다. 뼈의 처리가 끝나면 본격적인 학술 연구가 시행되어 흥미로운 결과가 밝혀질 것임에 틀림없다.몽골 국제공룡탐사는 필자에게 아쉬움 또한 없지 않았다. 우리나라를 대표하지 못하고 ... ...
음악파일의 혁명 MP3
과학동아
l
199910
MP3 파일을 찾는 브라우저 기능까지 내장하고 있다. 게다가 재생 디바이스 제어에 대한 CPU
작업
우선권 설정기능처럼 전문적인 기능도 다양하게 보유하고 있다.윈앰프의 겉모습 자체는 초기 버전과 별 차이를 느낄 수 없을 만큼 간결하다. 하지만 프로그램의 외관을 취향대로 바꿀 수 있는 스킨기능과 ... ...
2. 1백년 후 한국인 얼굴
과학동아
l
199910
있다.이때 턱이 점점 아래로 처져 자신도 모르게 입을 벌리고 숨을 쉬게 된다. 물론
작업
이 끝날 때까지 자세의 변화는 좀처럼 없다. 이 과정이 오랫동안 반복되면 입술 모양이 변해 똑똑한 발음이 어려워진다. 즉 고저강약의 변화가 적고 소리가 명확치 않은 ‘코맹맹이’ 음성으로 변할 가능성이 ... ...
남극 세종기지 특명
과학동아
l
199910
총무국장을 지내다 1980년 신군부가 쿠데타를 일으키자 여기에 합류해 민정당 창당
작업
을 도왔다. 그 공로로 1981년 민정당 사무차장과 제11대 전국구의원이 됐다. 그런데 1985년 다시 국회에 들어가지 못하자 해양소년단 총재가 된 것이다.이만한 경력으로 남극탐험을 시도하기엔 역부족. 그에게는 ... ...
2. 과학으로 해부한 6가지 사랑
과학동아
l
199910
외벽과 실내를 장식하고 지붕을 단장하는 것과 같다. 한마디로 사랑의 완성도를 높이는
작업
이라고나 할까.그렇다면 사랑의 근원은 우리 신체의 어디에 숨어있을까. 심장일까, 두뇌일까. 이에 대해 김중술교수(서울대 신경정신과)는 생리학적인 사랑의 근원으로 뇌의 변연계를 든다. 이곳은 일종의 ... ...
이전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