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나
일
한사람
한개
스페셜
"
1
"(으)로 총 10,088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헬리코박터 파일로리'의 운명
2024.08.21
없앤 덕분에 꽤 떨어진 것으로 보인다. 암 발생 순위(갑상샘암 제외)를 보면 위암은 줄곧
1
위를 차지하다가 2020년에는 폐암, 대장암에 밀려 3위로 내려왔다.
1
0만 명 당 발생자도 20
1
0년 60.3명에서 2020년 5
1
.9명으로 줄었다. 문득 페텐코퍼와 마셜의 결과가 반대였다면 상황이 어떻게 흘러갔을까 궁금하다.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전기차 화재' 9월 종합대책, 기대되지 않는 이유
2024.08.14
운행을 가능하게 만들어주는 제도다. 우리가 민간 항공기를 안심하고 이용하는 것도
1
947년에 설립된 국제민간항공기구(ICAO)가 전 세계적으로 강제하고 있는 다양한 안전 조치 덕분이다. 세상에는 공짜가 없는 법이다. 안전도 예외가 아니다. 전기차의 안전을 강화하기 위한 기술을 개발하고 ... ...
[표지로 읽는 과학] '생태계 보고' 그레이트 배리어 리프, 400년 만 최고 수온
동아사이언스
l
2024.08.10
것으로 알려졌다. 벤자민 헨리 호주 멜버른대 식품 및 생태계과학과 연구원팀은 최근
1
0년간 그레이트 배리어 리프와 주변 수온이 지난 400년 중 가장 높았다는 사실을 밝혀내고 연구결과를 7일(현지시간) 네이처에 공개했다. 올해 호주 그레이트 배리어 리프에서 촬영된 산호 백화 현상. Ove Hoegh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무더위에 입맛이 떨어지는 이유
2024.08.07
측정했다. 그 결과 죽 25℃에 있었던 대조군에 비해 섭취량이 30% 정도 줄었다. 고온에
1
시간 노출됐지만 효과는 하루 동안 지속된 셈이다. 고온에 노출되면 뇌간-시상하부 신경회로가 활성화돼 식욕이 억제된다. 즉 몸에 분포한 온도수용체가 감지한 고온 정보를 받은 뇌간(뇌교)의 부완핵(PBN)은 제 ... ...
[과기원NOW] KAIST, 홀로토모그래피 기술의 첨단바이오 분야 적용 전략 소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7.30
KAIST 응용인공지능 연구실(AAILab)팀은 상식 기반 추론을 통한 작업계획 생성의 정확도
1
위 성능으로 우승상 및 기술의 우수성을 인정받아 혁신상을 수상했다. ■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은 이재홍 로봇및기계전자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이정승 성균관대 글로벌바이오메디컬공학과 교수팀과의 ... ...
[사이언스게시판] '국가인공지능위원회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규정' 국무회의 통과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7.30
해석한 강연이 이어진다. ■ 한국기계연구원은 다음달 7일 한국기계연구원 본관동
1
층 대회의실에서 '해외 기술 이전 성과교류회'를 개최한다고 30일 밝혔다. 이번 성과교류회는 미국 엔지니어링 기업 KBR에 기술이전한 사례를 중심으로 개최된다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뢴트겐의 X선 발견보다 앞서 발견한 과학자들도 있다
2024.07.28
미지의 광선을 먼저 발견했다. 한 예로
1
879년에 크룩스는 대기압의 약
1
00만분의
1
정도로 그 이전보다 높은 수준의 진공상태에서 음극에서 튀어나온 방사선이 형광을 발생시키고 자석 곁에서 휘는 현상을 발견했다. 이를 더 깊이 연구한 헤르쯔는 음극에서 발생하는 방사선이 입자가 아니라 파동이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42억 년 전 생명체의 모습은?
2024.07.24
들어 본격적인 주목을 받게 됐다. 융달은 "지구에서 아세토젠이 내놓는 아세테이트가
1
년에
1
0억 톤에 이른다"며 추정했다. 이산화탄소 수억 톤을 고정하는 셈으로 광합성 다음으로 많은 양이다. 한편 아세토젠이 '배설하는' 아세테이트를 먹이로 삼는 수많은 생명체가 복잡한 생태계를 이루고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나는 '우주 먼지'인 동시에 하나의 '우주'
2024.07.20
게 아닐까. 비대한 자아에 대비해서 '작은 자아'에 대한 연구들도 있고 자기 자신을
1
인칭으로 바라보느냐 또는 3인칭으로 바라보느냐에 관한 연구들도 있지만 고체이기보다 액체 같고 정해져 있기보다 흘러가는 자아에 대한 연구들도 필요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필자소개 박진영. 《나, ... ...
[이덕환의 과학세상] 교사자격증도 없이 교단에 서는 생성형 인공지능
2024.07.17
수학 성적에 부정적인 영향이 나타난다는 것이다. 수업 중 디지털 기기 사용 시간이
1
시간 늘어나면 수학 점수가 3점씩 떨어진다는 것이다. ● 생성형 인공지능은 미완성의 미래 기술 디지털 교육이 학생의 마음 건강과 전인적 발달을 위한 사회정서 학습에 심각한 걸림돌이 된다는 사실도 절대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