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스페셜
"
학자
"(으)로 총 1,498건 검색되었습니다.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모두에게 잘 할 수 없는 이유
2022.10.08
달리 인간의 뇌가 유독 발달한 이유 역시 이런 '사회생활'을 잘 해내기 위해서라고 보는
학자
들이 있다(이를 사회적 뇌 가설이라고 한다). 그러니까 우리는 밥 먹듯이 타인의 눈치를 보고 신경쓰면서 살지만 온갖 고급 능력들을 전부 동원해야하는 만큼 이것이 결코 '쉬운' 일은 아니라는 것이다. ... ...
[노벨상 2022] "받을 사람이 받았다"...인류건강과 혁신기술 '씨' 뿌린 수상자들
동아사이언스
l
2022.10.07
논문을 쓴
학자
들 중 연구의 독창성과 인류 공헌도를 따져 후보를 선정하는데 선정된
학자
가운데 실제 노벨상 수상 비율은 17%지만 올해는 예측에 실패했다. 후보 명단에 오르는 시기와 수상 간의 격차가 4~5년 정도로 알려져 있다. 클래리베이트가 뽑은 한국인 노벨상 후보로는 2014년 유룡 ... ...
[과
학자
가 해설하는 노벨상] 아인슈타인도 설명 못한 양자현상, 실험으로 증명하다
2022.10.05
자산이라고 할 수 있다. 2022년 노벨물리학상 수상이, 대중에게 비교적 덜 알려진 물리
학자
의 것이지만 노벨상보다 훨씬 큰 의미를 가지는, 존 벨의 업적에 대해서 재조명하는 기회가 되었으면 한다. 정현석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 서울대 제공 ... ...
[노벨상 2022] 양자컴퓨터·양자통신 시대 연 과
학자
3명, 물리학상 영예(종합)
2022.10.04
이스라엘 발명가인 리카르도 울프가 설립한 울프재단에서 주는 상이다. 수
학자
와 과
학자
, 예술가에게 매년 시상하는데 과학계에서 노벨상 다음으로 권위있는 상으로 여겨진다. 이들이 울프상을 수상한 후 노벨상을 받기까지는 12년이란 시간차가 있다. 그간 이들의 연구는 벨 부등식이 위배된다는 ... ...
[노벨상 2022] 미라·고대인류 뼈 ‘덕후’ 첫 생리의학상 안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0.03
올려 부자가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한 셈이다. 하지만 페보 소장은 에스토니아 출신 화
학자
어머니 밑에서 혼외자로 태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는 스웨덴 웁살라대에서 아데노바이러스의 단백질이 면역체계를 조절하는 방법을 연구해 1986년 박사학위를 받았고 이후 미국 버클리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스토킹 등 타인 괴롭히고 정당화...'어둠의 성격 특성'
2022.10.01
성격 특성(dark factor of personality)'이라 부른다. 다크한 성격 특징들을 연구해온 심리
학자
모튼 모샤겐(Morten Moshagen)에 의하면 이들은 우선 자신에게 유익하다고 생각되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타인을 괴롭히는 모습을 보인다. 짓눌러서 복종하게 하거나 이용하기 쉽게 만드는 것, 돈과 ... ...
노벨상의 계절이 돌아왔다…mRNA 백신 개발·여성과
학자
주목받을까
2022.09.30
노벨 재단 제공 올해 노벨 과학상 수상자는 10월 3일 생리의학상을 시작으로 4일 물리학상, 5일 화학상이 발표된다. 과
학자
들에게 최고의 영예로 여겨지는 노벨상을 안게 될 ... 순으로 후보자에 많이 거론됐다. 이중 생리의학‧물리학‧화학 분야에 이름을 올린 여성 과
학자
는 총 4명이다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도움 요청을 꺼리는 이유는..."약해 보일까봐"
2022.09.24
나서야 도움을 구하는 것이 생각보다 어려운 일임을 깨달을 수 있었다. 토론토대의 심리
학자
바네사 본스의 연구에 의하면 특히 도움을 '주는' 위치에 있는 사람들이 이러한 어려움의 존재를 잘 인지하지 못하고, 따라서 도움 요청 확률을 효과적으로 늘리지 못하는 편이다. 연구자들은 사람들에게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고맙다'는 말은 '마법' 같다
2022.09.10
말을 전하는 것이 어색하고 쑥쓰럽다고 여기기도 한다. 하지만 시카고 대학의 심리
학자
니콜라스 이플리의 연구에 의하면 이런 통념과 다르게 감사를 받는 사람들은 주는 사람이 예상하는 것보다 훨씬 더 기뻐하고 어색함 또한 잘 느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도 그럴 것이 ‘당신의 친절과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성실함'은 미덕이지만 '재미'도 찾아야
2022.08.27
높다고 해서 실제로 불행한 사람인 것은 아니다. 일례로 시카고 대학의 심리
학자
빈헬름 호프만(Wilhelm Hofmann)등의 연구에 의하면 성격적으로 성실하고 체계적인 사람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전반적인 행복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성실한 사람들은 해야 하는 일이나 의무와 관련된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