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고정
고착
안정
정착과정
과정
정주
거주
스페셜
"
정착
"(으)로 총 195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게시판] ‘과학관 전문인력양성 사업’ 外
동아사이언스
l
2019.06.18
행사를 벗어나 공공기관으로서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 노사가 함께 상생 협력하는 문화를
정착
시키기 위해 마련됐다. 석 원장은 "공공기관으로서 사회적 책임을 다하도록 국가유공자와 장애인 채용을 확대하고 지역사회의 어려운 이웃과 나눔 활동을 지속하겠다"고 말했다. IITP는 2017년 6월 유성구 ... ...
[프리미엄 리포트]‘어떻게 죽음을 맞이할까’를 생각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09
연명의료 결정을 이행한 환자가 3만 6000명이 넘어, 연명의료결정제도가 안정적으로
정착
하고 있다고 봤다. 하지만 일부 전문가들은 본래의 의도대로 인간의 존엄성과 가치가 지켜지고 있는 것이 맞는지에 대한 우려를 하고 있다. 연명의료 중단 이후 ‘3종 케어 호스피스’ 필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000년 전 가야시대에 정말 차나무가 들어왔을까
2018.12.11
마시고 있다. 다기(茶器)가 잘 갖춰져 있는 것으로 봐서 이 무렵 우리나라에 차문화가
정착
해 있었음을 시사하고 있다. 위키피디아 제공 아마도 경남 일대에 전해지는 이야기를 구한말의 국학자 이능화가 ‘조선불교통사’에 적었는데, 이게 ‘삼국유사’의 기록으로 와전된듯하다. 다만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개인의 노력을 탓하는 이유
2018.04.28
사회적 문제를 ‘내 탓’으로 돌리는 것에 무슨 이득이 있을까 싶다. 그들은 불평등의
정착
에 기여함으로써 이미 힘든 삶을 더 힘들게 만드는 것은 아닐까? 사진 GIB 제공 하지만 미국 메인대(University of Maine)의 심리학자 쉐논 맥코이(Shannon McCoy) 연구팀에 따르면 스스로를 탓하면서 얻을 수 있는 ... ...
남북 종전 선언 기대 속… 북한 IT과학은 어느 수준?
2018.04.19
열리는 2018 남북정상회담에서 비핵화와 종전 선언이 협의될 것으로 기대되며, 한반도에
정착
할 평화의 분위기에 우리 국민 뿐 아니라 세계가 주목하고 있습니다. 한국전쟁 이후 68년 간 우리와 갈라져 살아온 북한은 폐쇄적인 통치체제 속에 많은 실상이 베일에 가려져 있습니다. 북한의 과학기술 ... ...
“인공지능이 인류 멸망시킬 수도”…경종 울렸던 스티븐 호킹 박사
동아사이언스
l
2018.03.15
의 TV프로그램 ‘우주에서의 생중계-지구 한 바퀴’에 출연해 “50년 안에 인류는 달에
정착
해 살게 될 것이다. 2100년에는 화성에도 인류가 살고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호킹 박사는 영국의 국민건강보험(NHS)의 민영화에 반대하고, 루게릭병으로 거동이 불편함에도 지역 캠페인에 적극 동참하는 ... ...
스티븐 호킹은 왜 노벨상을 받지 못 했나
동아사이언스
l
2018.03.14
'특이점'은 충분히 있을 수 있는 현상이란 점을 수학적으로 증명, 오늘날 빅뱅 이론의
정착
에 기여했습니다. 이를 통해 우주의 시작이 있었으니 종말도 있으리란 사실을 제시하며 우주에 대한 우리의 인식 폭을 넓혔습니다. 또 블랙홀이 물질을 빨아들이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방출하기도 한다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푸른' 종소리 '보는' 공감각의 비밀 풀렸다
2018.03.13
돌아와 아들 드미트리가 오페라 가수로 활약하는 이탈리아에서 가까운 스위스에
정착
했고 1977년 78세에 세상을 떠났다 인시류학자 커트 존슨은 “나보코프의 공식적인 학술논문은 지극히 치밀하여 그 내용을 따라가기 어렵다”고 평가했다. 나보코프 역시 자신의 과학 연구에 자부심이 컸다. 한 ... ...
최초의 미국인은 어디서 왔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7.08.13
신대륙을 인도로 착각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이 인디언들은 어떻게 아메리카 대륙에
정착
해 살아가고 있었을까. 이번 주 ‘사이언스’ 표지에는 인디언들의 뿌리를 찾는 과학자들의 연구가 실렸다. 아메리카 원주민의 기원은 인류학에서는 미스터리 중 하나며 과학자들 사이에서도 논란이 ... ...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아니요. 저는 뽀뽀하기 싫어요!”
2017.04.09
결정권을 존중하는 것을 가르친다. 이렇게 서로서로 몸의 주권을 존중해주는 문화가
정착
되면 '성관계'에서도 자연스럽게 동의의 중요성을 알게 될 거라는 게 교육의 한 가지 목표이다. 실제로 10대에게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성폭력의 형태가 ‘이 정도 사귀었으면 당연히 성관계를 가져야지’라는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