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장
과시
자부
자존심
교만
긍지
자랑거리
스페셜
"
자랑
"(으)로 총 273건 검색되었습니다.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잘못된 남성성 인식이 건강 위협한다
2020.02.01
방문하지 않았다” “단 한번도 손 씻은 적 없는데 독감에 걸린 적 없다” 같은 말이
자랑
으로 통용되는 비율이 여성에 비해 높은 편이기도 하다. 또한 아프더라도 상황이 심각해지기 전에는 병원에 방문하지 않고 버티는 비율이 높다. 아프더라도 자신은 멀쩡하다며 술도 마실 수 있고 운전도 할 수 ... ...
불타는 호주…기후변화는 이미 당신 옆에 와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07
산맥도 여행했다. 초목이 우거진 산림과 기암괴석이 어우러진 빼어난 장관을
자랑
한다. 하지만 이 산맥 역시 기후변화의 위협을 받고 있다. 푸르름이 가득해야 할 산 계곡에는 연기가 가득 찼고 그 뒤로 산마루와 봉우리들이 유령처럼 서 있었다. 유칼립투스 나무가 뿜어내는 청명한 푸른색은 갈색 ... ...
고기능 플라스틱 소재로 최적의 3D 프린팅 기술 설계
동아사이언스
l
2019.12.16
물체를 찍어내는 방식이다. 이 기술은 최근 주목받기 시작했지만 벌써 30여년의 역사를
자랑
한다. 3D프린팅 기술 전문업체 ‘3D시스템스’의 공동 창업자인 찰스 헐이 1983년 처음 기술을 내놨다. 헐은 여러 개의 얇은 층을 쌓아올려 입체 형태의 물체를 만들어 내는 ‘스테레오리소그래피(SLA)’ ... ...
IBS는 과연 한국 기초과학 발전의 훼방꾼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19.11.24
형태로 관찰됩니다. 세계적 연구소나 대학들은 소속 연구자나 동문의 노벨상 수상을
자랑
스럽게 여기고 널리 홍보합니다. 또한 노벨상을 받을만한 연구를 하겠다거나, 노벨상을 받은 연구업적을 명예롭게 여기는 연구소와 연구자들이 조롱받지는 않습니다. 노벨상이 기초과학계에서 차지하는 ... ...
전도성 고분자로 투명전극 제조 길 연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1.08
때문에 차세대 디스플레이에 활용하기 용이하다. 만들기도 쉽다 보니 저렴한 가격을
자랑
하며 이미 정전기 차폐제 등에 활용되고 있다. 때문에 독일, 일본 등의 소재 강국도 전도성 고분자를 투명전극으로 활용하기 위해 개발에 뛰어들었다. 하지만 상용화까지는 이르지 못했다. 전기가 다른 ... ...
美, AI·슈퍼컴에 10년간 약 4조원 투자…전세계 투자 경쟁 과열
동아사이언스
l
2019.11.01
말했다. 지난해를 제외하고 전세계 최고 수준의 슈퍼컴퓨터 보유능력을
자랑
한 중국은 지난 2017년 국가 AI 플랜을 제시했다. AI 분야 글로벌 리더쉽을 갖추고 1조 위안(약 163조원) 규모의 상업 목적의 AI 시장을 만든다는 게 목표다. 하이페리온 리서치에 따르면 유럽연합(EU)도 2020년 200억 유로를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누더기가 된 은하도시의 꿈
2019.10.24
신형 엔진, 과학자가 생각의 힘을 키우는 학교 등으로 포장하며 화려한 위용만
자랑
했다. 민 교수가 이런 구상을 시작한 계기는 2005년으로 거슬로 올라간다. 그가 과학∙예술∙인문학 교수들과 결성한 '랑콩트르(Rencontre·만남)’가 모태로 알려져 있다. 발음도 어려운 프랑스어 이름을 가진 이 ... ...
과기원·지방대 키운 경력교수 빼가기 열 올리는 '서·카·포'
동아사이언스
l
2019.10.17
‘맏형’ 격인 KAIST나 포스텍, 국내 대표적인 국립대인 서울대 등 역사와 전통을
자랑
하는 이름난 대학들이 후발주자인 다른 과학특성화대나 지역대학으로부터 핵심 인력을 블랙홀처럼 빨아들이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AI대학원처럼 새로 개설하는 학과가 있을 때는 물론, 학과에 교수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 "먼 우주도 태양계와 비슷하다"는 편견 깬 외계행성
2019.10.10
행성들 역시 외계행성의 수많은 다양성 중 일부에 포함됐다. 천문학은 수천 년의 역사를
자랑
하는 가장 오래된 과학 분야 중 하나지만, 외계행성 천문학의 역사는 30년도 채 되지 않는다. 하지만 그 시작이 된 마요르와 쿠엘로의 위대한 발견은 우리가 우주를 올려보는 시선, 그리고 우주 속 우리를 ... ...
한국 찾은 노벨상 수상자들 "기초과학·젊은 연구자 지원 게을리 말아야"
동아사이언스
l
2019.10.08
한국에서도 세계 일류 연구자들과 공동연구를 늘리는 추세다. 하지만 한국 최고 수준을
자랑
하는 일부 연구그룹에서도 국내 연구자 위주로 연구그룹을 꾸리거나 논문을 쓰는 일이 여전히 많다. ●젊은 연구자 지원, 여성 연구자 차별 철폐 등 세심한 노력도 필요 도나 스트리클런드 캐나다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