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골
뼈대
뼈다귀
뼉다귀
스페셜
"
뼈
"(으)로 총 209건 검색되었습니다.
‘미지의 친척인류’ 데니소바인 두개골 파편 첫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9.03.04
콩알 만한 손가락뼛조각(위 사진)이나 치아, 어른 손가락 한 마디 반 크기의 팔 또는 다리
뼈
등으로, 데니소바인의 신체 특징은 전혀 짐작할 수 없었다. 그래서 데니소바인은 화석 속에 파편적으로 남아 있는 DNA를 해독해 복원한 ‘게놈 정보’로만 존재하던 특이한 고인류였다. 고인류학계는 이번 ... ...
'90.5를 기억하라'…인간마저 위협하는 플라스틱의 역습
어린이과학동아
l
2019.02.09
플라스틱을 먹고 죽은 알바트로스 모습. 플라스틱을 먹고 죽은 새의 시체를 촬영했다.
뼈
와 함께 남은 플라스틱의 모습이 새가 받았던 고통을 전해주는 듯하다. Chris Jordan 벨기에 화학자 레오 베이클라이트가 1907년에 플라스틱을 발명한 이후, 제2차 세계대전을 거치며 본격적으로 플라스틱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젊을 때 근력운동을 해두면 좋은 이유
2019.02.06
빈약하다. 이처럼 근육이 비싸게 구는 건 정말 ‘비싼 조직’이기 때문이다. 힘줄로
뼈
와 연결돼 있는 골격근은 필요에 따라 크기(두께)가 쉽게 변할 수 있게 진화돼 있다. 힘쓸 일도 없는데 근육량이 많으면 이를 유지하는 비용(칼로리 소모)이 부담스럽기 때문이다. 줄기세포는 평소 쉬고 있다가 ... ...
[표지로 읽는 과학] 거대 수궁류는 티라노사우르스 때문에 멸종하지 않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06
살아남은 육상동물이었다. 지난 11월 폴란드 리소비체 마을에서는 약 100개의 고대의
뼈
화석이 발견됐다. 이 마을에 이름을 따, 리소비치아 보자니로 명명된 이 동물은 지금까지 발견된 디키노돈트 중에서 가장 크기가 큰 종으로 확인됐다. 리소비치아 보자니의 길이는 4.5m, 키는 약 2.6m로 무게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길들인 여우 게놈 분석해보니…
2018.10.02
것이다. 인구의 증가로 서식지가 파괴된 게 멸종의 주된 이유이겠지만 무덤에서
뼈
가 나온 것에서 알 수 있듯이 사람들이 애완동물로 키우려고 잡아간 영향도 있을 것이다. 옛날 중국사람들은 아무 데서나 게걸스럽게 먹어대는 원숭이를 소인(小人)에 비유하며 경멸한 반면(황금들창코원숭이가 ... ...
[강석기 과학카페] 한때 언어 유전자로 불렸던 FOXP2 이야기
2018.09.11
이는 남성호르몬 분비의 감소로 설명할 수 있다. 네안데르탈인의 툭 튀어나온 눈 주위
뼈
와 건장한 골격을 떠올려보라. 이는 가축 수컷에서도 나타나는 현상이다. 즉 테스토스테론의 감소는 공격성뿐 아니라 외모에도 영향을 미친다. 한편 신경호르몬 세로토닌의 분비는 늘어난다. 그 결과 무리를 ... ...
[강석기의 과학카페]머리 큰 사람 vs 작은 사람, 뇌 구조도 다르다
2018.06.05
뇌용량을 계산한 결과 1800cc로 나왔다는 연구결과가 실렸다. 함께 나온 다른 두개골은
뼈
가 부족해 정확히 계산할 수는 없지만 적어도 네안데르탈인 수준은 된다고 덧붙였다. 한마디로 네안데르탈인을 능가하는 ‘대두인(大頭人)’이 동아시아에 살았다는 말이다. 논문에서 연구자들은 이 인류의 ... ...
70만년 전 인류는 어떻게 바다를 건너 필리핀에 왔나
동아사이언스
l
2018.05.03
필리핀에서 최소 70만 년 전부터 인류가 살았다는 증거가 새롭게 발견됐다. 호모에렉투스 또는 그와 비슷한 시대를 산 친척인류가 사용한 석기 ... 있었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고 말했다. 13만~11만 년 전 중국 내륙에 살던 인류가 만든
뼈
도끼. 돌 등을 다듬은 흔적이 남아 있다. -사진제공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구글은 왜 벌거숭이두더지쥐에 주목했나
2018.02.06
서른이 넘어도 여전히 새끼를 낳을 수 있고 나이가 들어도 심장 기능이나 몸의 구성성분,
뼈
의 상태, 신체 대사 지표가 특별한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왔다. 세포를 들여다봐도 미토콘드리아의 밀도나 유전자 발현 패턴 등이 나이에 관계 없이 안정적이다. 또 DNA 복구 메커니즘도 거의 완벽하게 ... ...
[강석기의 과학카페] 9000년 전 사냥개의 활약상 생생하게 묘사된 암각화 감상법
2018.01.09
물증은 없다. 그리고 행동은 발굴할 수 없다는 게 고고학의 치명적인 단점이다. 물론
뼈
나 도구를 통해 행동을 어느 정도 추측할 수 있지만, 3만 여 년 전 인간과 개의 협력 사냥의 경우는 이마저도 빈약하다. 다양한 사냥 전략 구사 지난해 11월 16일 ‘인류학적 고고학 저널’ 사이트에는 이와 관련해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