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세균
bacteria
미생물
병원균
미소동식물
미균
스페셜
"
박테리아
"(으)로 총 232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 과학카페] 사람도 지구자기장을 느낄 수 있을까
2019.03.26
뇌간과 소뇌에 농도가 높다고 한다. 한편 세포 안에 자철석 결정이 잔뜩 들어있는
박테리아
가 발견됐고 이를 이용해 지구자기장을 감지해 이동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한편 연어류나 바다거북도 몸 안의 자철석 결정으로 지구자기장을 감지해 길을 찾는다는 가설이 유력하다. 아직 사람의 ... ...
스모그 먹고 자란
박테리아
가 미세먼지 된다
과학동아
l
2019.02.05
미세먼지 입자로 활동할 가능성도 제기했다. 야오 교수는 “우리가 분석한 데이터는
박테리아
가 베이징 스모그 형성의 주요 원인 중 하나라는 사실을 가리킨다”며 “이 연구가 향후 대기오염 관리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바이오아카이브’ 1월 7일자에 게재됐다. doi:10.1 ... ...
ISS로 간 식중독균, 우주 생활 적응 중
과학동아
l
2019.02.01
ISS에서 살아남기 위해 우주 환경에 적응하는 방향으로 진화했다. 하트만 교수는 “
박테리아
가 항생제 내성이나 독성과는 관련이 없어 ISS 우주비행사에게 영향을 미치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유전자분석 전문 저널 ‘엠시스템즈(mSystems)’ 1월 8일자에 게재됐다. doi:10.1128/mSystems. ... ...
[표지로 읽는 과학]'부자연 선택설'로 진화한
박테리아
효소
동아사이언스
l
2019.01.05
탄소간(C-C) 결합으로 바꾸는 것은 유기 분자를 만드는 새로운 전략이다. 아널드 교수는
박테리아
내에서 이러한 변형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도록 진화한 사이토크롬 P450 효소를 만들었다고 네이처에 소개했다. 헤모글로빈에서 유래된 물질인 헴철 기반의 이 효소는 탄소 수소 결합의 탄소를 두 개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백신이 못 잡는 독감 바이러스, 항체가 잡는다
2018.12.18
부분의 아미노산 서열을 읽으면 여기에 해당하는 DNA서열을 알 수 있다. 이 DNA 조각을
박테리아
나 바이러스의 게놈에 넣으면 이들이 항원을 인식하는 부분인 작은 단백질인 나노항체를 만든다. 나노항체 네 개 조합해 효과 극대화 연구자들은 라마에 독감 바이러스 세 종과 헤마글루티닌 단백질 ... ...
[표지로 읽는 과학]생명체가 처음 등장한 캄브리아기를 탐험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24
즐겨 찾는 고대 생물군의 무덤이다. 캄브리아기 전에도 생물이 존재했지만,
박테리아
류가 대부분이다. 지질시대의 구분점에 대한 논란이 커지자 고고학자들은 캄브리아기의 시작점에 대해 골격을 가진 동물의 처음으로 나타난 때로 정하기로 합의됐다. 현재 공식적으로 그 시작점은 작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장수 비타민을 아시나요
2018.10.31
과일에 5~10배 농도로 들어있다. 퀴에우인(queuine)은 진화적으로 오래된 분자로 역시
박테리아
가 만들어 식물이나 동물이 흡수한다. 사람의 경우 섭취한 음식이나 장내미생물에서 얻는다. 퀴에우인은 몇몇 전달RNA의 구성성분이기 때문에 결핍될 경우 단백질 합성에 문제가 생긴다. 또 BH4라는 물질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올리버 색스와 신경퇴행성질환 리티코-보딕 이야기
2018.09.18
BMAA 농도가 높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샥스핀 스프. - 위키피디아 제공 시아노
박테리아
는 곳곳에 존재하고 따라서 이들이 내놓는 BMAA가 농축된 식재료를 찾는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 이런 식재료를 피해야 신경퇴행성질환에 걸릴 위험성을 낮출 수 있기 때문이다. BMAA가 고농도로 존재한다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코알라는 어떻게 유칼립투스 잎만 먹고 살까
2018.07.17
이 가운데 40%는 클라미디아 감염 말기로 치료될 가망성이 없다. 세포 안으로 침투하는
박테리아
인 클라미디아는 각결막염이나 요도나 생식기 염증을 일으킨다. 코알라의 경우 감염됐을 때 염증유발 유전자가 과도하게 발현해 자신의 조직까지 손상시키는 것으로 보인다. 한편 사람의 에이즈 같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물 다세포성의 기원에 대한 고찰
2018.07.10
것 같다”고 쓰고 있다. 깃편모충류의 한 종인 살핀고에카(Salpingoeca rosetta)가 먹이인
박테리아
가 있는 환경에서 세포분열을 하며 군체를 이루는 과정을 찍은 사진이다. 오른쪽 아래 숫자는 경과 시간과 분을 뜻한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깃편모충류와 동물의 공동조상은 이미 다세포성에 관여하는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