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석재
바위
암석
암벽
암반
돌멩이
스톤
스페셜
"
돌
"(으)로 총 186건 검색되었습니다.
[불붙은 달 탐사 경쟁]①日 민간 최초 ‘달 셔틀’ 보낸다
2018.12.11
25도까지는 오르막길도 문제없다”며 “초속 10cm로 천천히 움직이면서 본인 몸집만 한
돌
도 부드럽게 타넘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일본의 우주 벤처인 아이스페이스(ispace)는 달 표면을 탐사할 로버를 보내는 '하쿠토-R'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아이스페이스는 2021년 스페이스X의 '팰컨9' ... ...
70만년 전 인류는 어떻게 바다를 건너 필리핀에 왔나
동아사이언스
l
2018.05.03
필리핀에서 최소 70만 년 전부터 인류가 살았다는 증거가 새롭게 발견됐다. 호모에렉투스 또는 그와 비슷한 시대를 산 친척인류가 사용한 석기 수십 기 ... 사실을 알게 됐다”고 말했다. 13만~11만 년 전 중국 내륙에 살던 인류가 만든 뼈도끼.
돌
등을 다듬은 흔적이 남아 있다. -사진제공 ... ...
[강석기의 과학카페] 9000년 전 사냥개의 활약상 생생하게 묘사된 암각화 감상법
2018.01.09
묘사돼 있다. 개들은 아이벡스의 목을 물어뜯고 있고 뿔의 방향으로 봤을 때 고개가 이미
돌
아간 상태라 죽음이 임박한 것으로 보인다. 한편 왼쪽 아이벡스의 경우 배도 공격을 받고 있다. 오른쪽 세 번째 아이벡스는 나중에 추가로 그린 것이다. [그림8_재빠른 동물 사냥 전담] 그림8_개들이 가젤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한석봉 모친이 초롱불을 끄고 떡을 썬 까닭은...
2017.09.26
둘 사이에 차이는 없었다. 무척 간단한 실험이지만 결과가 함축하는 바는 심오하다. 즉
돌
이 갓 지난 아기도 어른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꾸준히 노력하고 그 결과 성공하는 모습을 보면서 끈기가 성공의 중요한 요소임을 간파할 수 있다. 게다가 이를 일반화해 어른의 과제와는 다른 자신의 과제를 ... ...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 그건 정말 나쁜 일일까?
2017.04.22
도대체 어떻게 하는거야?" 그 심리학적 해답을 함께 알아가는 책입니다. 다친 내 마음을
돌
보고 단련하게 도와줄 다양한 실천코너를 만나보실 수 있어요. : ... ...
[사이언스지식IN] “
돌
안된 아이에 꿀 금지, 잊지마세요”
동아사이언스
l
2017.04.14
관찰하고 꿀을 녹일 수 있는 더운 물을 많이 먹이는 것이 좋다. 지금이라도 위험성을 알고
돌
이전에는 절대 꿀을 먹이지 말아야 한다”고 당부했다. ... ...
완벽한 인공지능구현, '기초과학 연구'가 필수
동아사이언스
l
2017.02.03
속 시냅스를 모방한 반도체 소자를 구현하는 데 성공했다. 인간의 뇌 속 시냅스는 2개의
돌
기(소자의 전극에 해당)로 신호를 주고받으며, 신호의 잔상을 남겨 기억을 저장한다. 뇌는 이 같은 시냅스 시스템을 바탕으로 적은 에너지로도 고도의 병렬연산을 빠르게 처리할 수 있다. 인간의 뇌 속에서 ... ...
조류독감은 백신으로 예방할 순 없나요?
2016.12.21
달라지는 거고요. 백신은 크게 ‘사독 백신’과 ‘생독 백신’ 두 종류가 있습니다.
돌
쟁이 영유아를 대상으로 실시하는 예방 접종 중에 ‘일본 뇌염’ 주사는 접종 전에 부모에게 사백신으로 할지, 생백신으로 할지 선택하게 합니다. 백신의 종류에 따라 주사 효과가 약간 달라질 수 있기 ... ...
13만 km 혈관에 숨어 있는 삶과 건강
IBS
l
2016.06.01
때로는 목숨까지 위태롭게 만든다. 우리 몸속 혈관은 13만km에 달한다. 지구 두 바퀴 반을
돌
수 있는 대단히 긴 조직이다. 직경 2~3cm의 대동맥부터, 적혈구도 한 줄로 서야 통과할 수 있는 모세혈관까지 굵기도 다양하다. 심장의 펌프질을 받아 혈액을 몸 곳곳의 조직과 세포로 실어 나르고, 다시 ... ...
인류는 언제부터 전쟁을 했을까?
2016.05.02
터무니없는 감상일지도 모른다. 지금 필자가 살고 있는 도시는 조선시대에 지었다는
돌
다리말고는 이렇다 할 유물도 없는 곳이지만 차라리 그래서 더 정겹다는 생각이 문득 든다. ※ 필자소개 강석기.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