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견지
견해
입장
각도
방면
방향
시각
스페셜
"
관점
"(으)로 총 603건 검색되었습니다.
'후~'하고 불면 "당신은 OOO에 걸렸습니다"…날숨 속 가스로 질병 알아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28
김 교수는 “누구나 손쉽게 스스로 진단할 수 있는 자가진단 기기 개발이라는
관점
에서 의료비 지출 상승을 막고 지속적인 건강관리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ACS 나노’ 8월호 표지 논문으로 실린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회춘하면 코로나19도 가볍게 앓을까
2021.07.27
때문이다. 그런데 노인에게만 치명적인 코로나19를 보면서 노화 자체가 원인이라는
관점
이 떠올랐고 따라서 노화를 되돌리는 게 코로나19 위험성을 낮추는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수 있다는 결론에 이르렀다. 그리고 몇몇 과학자들이 이를 실험으로 확인해보기로 했다. 노화를 되돌리는 ... ...
20대 4명 중 1명 "코로나19로 우울감"
동아사이언스
l
2021.07.26
발생 2~3년 후 자살 증가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어, 국민 마음건강 회복을 위해 장기적인
관점
에서 촘촘하게 지원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보건복지부 제공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사람은 더위를 어디까지 견딜까
2021.07.20
보인다. 정온동물은 말 그대로 심부 체온을 좁은 범위 안에서 유지해야 한다. 열역학의
관점
에서 체온과 주변 온도가 같으면 열적 평형을 이룰 것 같지만 주위가 36도면 꽤 덥게 느껴진다. 대사활동을 하면 몸에서 열이 발생하는데, 온도 기울기가 낮아 몸 밖으로 흩어지지 못하기 때문이다. 옷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얼마나 많은 논문이 잘못됐을까
2021.07.15
연구했다. 초파리 수컷의 교미시간이 환경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지를 신경회로의
관점
에서 연구하고 있다. 모두가 무시하는 이 기초연구가 인간의 시간인지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주장하고 다닌다. 과학자가 되는 새로운 방식의 플랫폼, 타운랩을 준비 중이다. 최근 초파리 유전학자가 ... ...
코로나 'T세포 백신' 나올까? 변이 저항 '항원결정기' 다수 발견
연합뉴스
l
2021.07.06
많다. 변이 바이러스 아종뿐 아니라 같은 계열의 가까운 바이러스 간에도 그렇다. 이런
관점
에서 고도 네트워크화 에피토프는 중화항체를 생성하는 백신의 이상적인 표적이다. 최근의 코로나 변이 전파 과정에서 드러났듯이 항체가 제 기능을 하려면 가능한 한 표적에 변이가 생기지 말아야 한다 ... ...
[과학게시판] AI 기반 중량화물이동체사업단 출범식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7.02
있는지 직시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우주 공간을 '과학기술'의
관점
을 넘어 '환경'의
관점
에서 바라봤다.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1일 최원일 기초교육학부 교수의 번역서 ‘나이 듦의 이로움’이 세종도서 교양 부문 우수 도서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세종도서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주최하고 ... ...
수술실 CCTV 설치 의무화 배경과 쟁점
동아사이언스
l
2021.07.01
등이 참여하는 논의기구를 구성해 정책 추진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며 “장기적
관점
에서 논의를 통해 정책 추진 여부를 결정하라”고 밝혔다. 정부는 CCTV 의무화 법안에 대해 “필요성에 공감한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강도태 보건복지부 2차관은 지난달 23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부실학회, 장롱특허 그리고 출연연
2021.07.01
연구했다. 초파리 수컷의 교미시간이 환경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지를 신경회로의
관점
에서 연구하고 있다. 모두가 무시하는 이 기초연구가 인간의 시간인지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주장하고 다닌다. 과학자가 되는 새로운 방식의 플랫폼, 타운랩을 준비 중이다. 최근 초파리 유전학자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작물 게놈 2세대 녹색혁명 이끌까
2021.06.30
이 해충에 취약한 품종에도 Sm1 유전자를 넣어주면 저항성을 갖게 될 것이다. 범게놈의
관점
에서 접근하지 않았다면 답을 찾기 어려웠을 것이다. 깔따구의 한 종은 밀의 이삭에 알을 낳고 유충이 밀알을 먹으며 큰 피해를 입힌다(왼쪽). 이 해충에 취약한 12개 품종과 저항성이 있는 3개 품종의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