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람
인간
싱글
혼자
솔로
쏠로
야만인
스페셜
"
개인
"(으)로 총 162건 검색되었습니다.
주민등록증 이젠 몸 속에 넣고 다닌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22
사실이고
개인
의 사생활을 침해할 가능성이 있는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어떤 명분이든
개인
을 대상으로 하는 정보 수집과 일상적인 감시는 인간의 존엄성을 심각하게 훼손하는 일임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 ...
초고령화시대에서 新시장 찾다…“ICT·BT 융합시급”
동아사이언스
l
2013.04.08
새로운 일자리와 시장을 창출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BT와 ICT가 융합하면 스마트폰 활용
개인
진단기술 개발과 차세대유전체해독기술 장비, 유전체 분석시장 등 다양한 시장을 창출할 수 있으며, 실제 BT기술을 ICT와 융합한 중소기업의 경우 1000만 불 수출을 달성하는 등 바이오경쟁력을 확보했다는 ... ...
“생명硏을 바이오 정책-경제의 구심체로 만들겠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1.28
정책 구심점 돼야 사실 국내 바이오 분야 연구 대부분은
개인
단위로 진행됐다. 연구자 개
개인
이 연구 과제를 신청하다 보니 연구의 다양성은 얻었지만 ‘선택과 집중’이 떨어져 시너지 효과가 나질 않을 뿐만 아니라, 유행성 질병과 같은 국가적 위기 상황에서도 순발력 있게 대처하기 어렵다는 ... ...
“기존 연구 반복해봐야 소용없어…새로운 것 찾아라”
동아사이언스
l
2012.11.26
다소 판에 박힌 질문에 “새로운길을 찾아라”라고 답했다. 그는 “노벨상이
개인
의 연구실력이나 한 나라의 과학 수준을 나타내지 않는다”며 “노벨상은 지금까지 도전한 적이 없는 새로운 지식을 발견한 사람에게 주어지기 때문에 기초과학 분야 연구자가 수상하는 경우가 많다”고 설명했다. ... ...
“교육 선진화도 못하면서 바이오선진화 꿈도 꾸지마라”
동아사이언스
l
2012.08.28
직업의 비전은 드문 편이라 희망 직업에 대한 쏠림 현상이 유독 심하다. 이런 상황이지만,
개인
이 무엇에 관심이 있고 어떤 것을 하고 싶은지, 그것에 맞춰 직업을 선택할 수 있는 분위기가 조성돼야 생명공학 분야의 인재도 늘어날 수 있다는 것이 그의 생각이다. 그는 “한국 사람처럼 창의성과 ... ...
“암 정복보다 중요한 건 ‘행복한 삶’이죠”
동아사이언스
l
2012.08.13
되는 이유다. 김 교수팀이 개발한 흑색종 치료제는 이런 유전자 전체의 효과를 감안한 ‘
개인
맞춤형 치료제’다. 김 교수는 또 신약 개발에서 ‘여러 후보군’을 마련하는 것이 실패 위험을 줄이는 방법이라고 강조했다. 하나가 실패하면 바로 다음 후보로 넘어갈 수 있도록 해놔야 안전하다는 것. ... ...
“암덩어리에 BT발전 열쇠가 있죠”
동아사이언스
l
2011.12.13
생각해 주면 좋겠습니다. 혈액에서도 유전자 정보는 얼마든지 뽑아낼 수 있습니다만, ‘
개인
정보 남는 게’ 꺼림칙해서 헌혈 안 하는 경우는 없습니다. 검체도 마찬가지 아닐까요.” ●“일관성 있는 관리 시스템 마련도 시급해” 김 교수는 “아직까지 정리되지 않은 국내 바이오뱅크 사업을 하루 ... ...
바이오분야 학계와 산업계간 소통 절실…생명공학 인력 DB확보로 해결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11.09.05
풀뿌리 연구라고 하는 기초 분야에 대한 투자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며 “
개인
기초과제들 같은 것들을 자유롭게 연구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돼야 하는 만큼 국과위도 기초연구 분야에 대한 투자를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국과위에서는 이를 위해 올해 기초연구 분야에 3조 4910억원을 ... ...
“연구자 홀로서기 지원하는 박사후연구원 정책 필요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1.07.18
이탈리아 등 유럽연합 일부 국가도 운영하고 있다. 박 회장은 이들 나라처럼 학자
개인
에 대한 연구지원이나 펠로십(장려금) 제도가 현실적으로 무리라면, 한인 단체에 대한 운영 지원이라도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현재 NEBS는 몇몇 기업과 대학의 후원을 받으며 빠듯하게 운영되고 있다는 것. ... ...
“이제 ‘블록버스터’ 시대는 갔다…하지만 정부는…”
동아사이언스
l
2011.06.08
계획을 세웠지만 사실상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점차 블록버스터 시대가 가고 ‘
개인
맞춤형’ 의학 시대가 올 것이다. 지노믹스(유전체학) 기술이 중요하지만 국내 기업의 기술 수준은 매우 낮다. ▽최종훈 본부장=판단이 빠른 국내 제약업계 CEO 중 일부는 정부가 블록버스터 모델을 밀 게 아니라,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