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늘빛
코발트색
cobalt
뉴스
"
코발트
"(으)로 총 212건 검색되었습니다.
'한번 쓴 마스크 구분할 방법 없을까?' 일상 호기심에서 시작한 참신한 발명들
동아사이언스
l
2019.10.01
등 세 가지 작품을 제작했다. 지도교사인 김수호 서울대 사대부설초 교사는 "염화
코발트
및 수정토 이용 방식은 세계적으로도 특허가 없는 아이디어"라며 "사회적 기여를 위해 모두 특허를 출원했다"고 말했다. 심사위원을 맡은 문길주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UST) 총장은 “아이디어는 ... ...
소금으로 만든 차세대 배터리
과학동아
l
2019.09.06
월 11일자에 발표했다. 현재 사용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는 성능이 우수하지만, 리튬이나
코발트
의 매장 지역과 매장량이 한정돼 있어 가격이 계속 오른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 때문에 소듐이온 이차전지가 차세대 이차전지의 강력한 후보로 떠올랐지만, 소듐이온을 가장 쉽게 구하는 방법인 ... ...
체내에서 분해되는 ‘스텐트’ 개발…심혈관 질환자 재수술 위험 낮춰
동아사이언스
l
2019.08.13
구조의 지지체다. 혈관 내 막힌 곳에서 혈관 벽을 확대해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보통
코발트
크롬 합금 등 금속 소재를 사용한다. 금속 소재 스텐트는 체내에서 부식되거나 부러질 우려가 있고 혈액이 뭉쳐 협착되거나 염증을 유발할 수도 있다. 이럴 경우 재수술이 필요하다. 3D프린팅 기술을 ... ...
비싼 희토류 사용 줄인 값싸고 강한 차세대 자석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8.12
1 μm는 100만 분의 1m)인 사마륨-
코발트
나노섬유를 만들었다. 여기에 연자성 철-
코발트
를 수 nm 두께로 코팅해 효율 높은 새로운 자석을 개발했다. 소결형 교환스프링자석 제조 공정을 단계별로 표현했다. 한국연구재단 제공 연구팀의 성능 실험 결과 이 자석은 기존 희토류 자석에 비해 단위 ... ...
인터스텔라의 꿈 실현할 '우주 돛단배' 떴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26
명령이 떨어지자 본체에 장착된 모터가 작동하면서 위성 내부에 감겨 있던 4m 길이
코발트
합금 뼈대 4개가 사방으로 펼쳐지면서 촘촘히 접혀 있던 교실 크기 반만 한 돛이 펼쳐졌다. 협회 측은 24일 라이트세일2호에 내장된 두 대의 광각 카메라로 이 과정을 촬영해 돛이 성공적으로 펼쳐졌다는 ... ...
알칼라인 연료전지 핵심부품 단가 1000분의 1로 줄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25
코어-쉘 구조는 중심에 있는 물질에 껍질처럼 물질을 한번 더 둘러싼 형태다. 연구팀은 “
코발트
재질의 중심에 그래핀 구조의 탄소 껍질을 둘러 씌웠다”며 “코어-쉘 구조를 통해 산화환원반응 면적을 극대화했으며 백금계열 촉매와 유사한 구조의 전극을 형성했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 ...
전기분해 수소 생산, 저가·효율 동시에 잡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23
저렴하지만 성능이 뛰어나고 내구성도 좋은 비귀금속 나노구조 촉매를 개발했다. 구리와
코발트
, 인을 활용해 2차원 나노 구조 형상으로 전극 기판에 직접 촉매를 전착할 수 있는 원스텝 공정도 개발했다. 개발된 촉매를 적용하기 위해 대면적 전극이 장착된 음이온교환막 수전해 스택 실험 장면. ... ...
5년 사용해도 성능 93% 유지되는 ‘나트륨 배터리’ 소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30
지구에 풍부한 원소인 나트륨을 활용하는 배터리다. 보다 희귀한 재료인 리튬과 니켈,
코발트
를 이용하는 리튬이온 배터리에 비해 저렴한 가격으로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어 큰 주목을 받고 있다. 하지만 소재에 발목을 잡혀 그 동안 개발이 더뎠다. 두 개의 전극 가운데 나트륨 양이온을 저장하는 ... ...
세포 신호 전달자 ‘일산화질소’ 조절법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19.06.25
진행했다. 나이트로실은 1개의 질소 원자와 1개의 산소 원자가 결합한 원자단이다. 이를
코발트
와 합성한 복합체에 빛을 쪼여 일산화질소를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장소로 이동시킬 수 있다. 연구 결과 연구팀은 세포 내외 여러 경로마다 일산화질소가 전달되는 속도에 차이가 있다는 사실을 ... ...
방사능 폐수 속 헤엄치면서 세슘만 잡아먹는 미세로봇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6.19
운영하거나 사고로 유출되는 등 다양한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다. 폐수 속에는 세슘과
코발트
등 다양한 방사성 핵종이 녹아 있다. 그중 방사성 세슘은 물에 잘 녹아 외부로 유출 가능성이 가장 크고 제거가 까다로운 핵종이다. 물질의 양이 반으로 줄어드는 반감기도 30여 년이 넘어 그동안 계속해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