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진실
진정
사실
순정
순수
본인
참
뉴스
"
진짜
"(으)로 총 1,245건 검색되었습니다.
3D프린터로 만든 '비건 해산물'…"오징어와 맛·영양 똑같아"
동아사이언스
l
2023.08.14
단백질 층을 3D 프린터용 잉크로 가공한 뒤 인쇄해 실제 물고기 모양을 완성했다. ‘
진짜
물고기’처럼 보이기 위해 원재료의 색깔까지 고려했다. 예를 들어 붉은 빛깔을 띤 연어 살코기를 만드는 데는 빨간렌즈콩 단백질을 사용했다. 3D 프린터로 만들어진 해산물 모방식품은 맛과 영양성분에서 ... ...
세계에서 제일 긴 강은…아마존강 vs 나일강
어린이과학동아
l
2023.08.12
머리를 찾아라 2012년 미국 캘리포니아버클리대 고고학과 연구팀은 아마존강의 ‘
진짜
’ 수원을 찾기 위해 모험을 떠났습니다. GPS를 장착한 카약을 타고 아마존의 숨겨진 작은 지류를 항해한 끝에 산등성이에서 흘러내리는 물줄기를 찾았습니다. 그가 찾은 수원은 어디일까요. 페루 안데스 산맥. ... ...
NASA도 놓친 지구위협 소행성, 새 알고리즘이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8.08
D의 알고리즘 차이 때문이다. 기존 알고리즘은 관측에 잡히는 움직이는 천체가
진짜
소행성인지 분간하기 위해 관측 사진 4장을 찍어 최종 결과를 도출하게끔 프로그래밍되어 있다. ATLAS도 각각 다른 날 밤에 2022 SF289로 추정되는 전체를 3번 관측한 것으로 드러났다. 그러나 4번째에는 2022SF289를 ... ...
[주말N수학] "실패해도 난제 도전"…'허준이 펠로우' 3인의 포부
수학동아
l
2023.08.05
기여하고 싶어요” ‘좋은 수학’으로 다른 수학자에게 영감을 주고 싶어요.
진짜
의미 있는 연구라면 연구하는 사람이 불행하지 않을 거라고 생각해요. 물론 연구하는 데 있어 좀 괴로울 수도 있지만 푼 사람도 그 결과를 듣는 사람도 재밌어 하고 더 탐구하고 싶게 만드는 연구가 모여 좋은 ... ...
챗GPT '유추 추론'도 한다…"대학생 수준 추론 성능 보여"
연합뉴스
l
2023.08.01
한계가 있으며 작동 방식 또한 불분명하다고 지적했다. 연구팀은 이런 언어학습모델이
진짜
사람처럼 '생각'하기 시작한 것인지, 아니면 단순히 인간의 생각을 모방하는 완전히 다른 일을 하고 있는 것인지 연구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c) 연합뉴스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위험 커뮤니케이션의 핵심은 ‘과학’
2023.08.01
‘확률‧과학적으로 안전하다’고 우길 일이 절대 아니라는 지적이다. ● 위험사회의
진짜
현실 우리는 현대의 과학기술이 초래한 인위적 위험(risk)이 넘쳐나는 위험사회(risk society)에 살고 있다. 굳이 독일의 울리히 벡이나 영국의 앤서니 기든스를 들먹이지 않더라도 누구나 일상적으로 실감하는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과학적'이라고 모두 '진리'는 아니다
2023.07.25
같다는 ‘질량보존의 법칙’을 주장했다. 위키미디어 제공 ● 귀납적 발견이나 추론이
진짜
진리일까. 문제는 베이컨이 주장한 귀납법으로 알아낸 새로운 발견을 두고 진리라 판정하기가 어렵다는 것이었다. "내가 관찰한 내용은 전세계에서 다른 사람들이 관찰한 것과 결과가 같을까?" 하늘의 ... ...
[이덕환의 과학세상] '가짜' 과학에 찌들어버린 사회
2023.07.18
세상이 물리학 법칙만으로 움직인다는 식의 억지는 부끄러운 것이다. 언론 보도에서
진짜
과학과 가짜 과학의 ‘균형’이 필요하다는 주장은 황당한 것이다. 상식과 과학을 무시한 가짜 과학은 보도 가치가 전혀 없는 것이기 때문이다. 사기꾼의 거짓 주장도 보도해야 한다는 억지와 조금도 다르지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감정과 생각 평가하지 않아야 마음이 쉰다
2023.07.15
비에 젖어서 춥다는 것 외에 추가적인 생각들—축축하고 차가운게 너무 싫어. 최악이야.
진짜
너무 짜증나. 비는 도대체 왜 오는 거야. 날개 언제 말리지? 새로 사는 거 너무 싫다—같이 인간이라면 구구절절 늘어놓을 생각들을 하지 않을 것임을 알았다고 했다. 순간 1차적인 불행만 느끼면 그만인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스파탐' 발암 논란의 이면...'맛은 몸 전체가 느낀다'
2023.07.12
50그램, 100그램의 오차가 나게 만들면 몸의 영양 정보 감지 네트워크가 교란될 것이다.
진짜
당분 섭취량과 단맛수용체가 알려주는 당분 섭취량의 차이가 벌어지면 이 오차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네트워크가 왜곡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인공감미료가 단기적으로는 체중감소와 당뇨 완화에 도움이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