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층
성층
뉴스
"
지층
"(으)로 총 263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으로 해석한 공포 영화 속 몬스터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06.01
화석도 있다. 지난 2016년, 미국 캘리포니아대 고생물학자들은 약 7억4000만 전 만들어진
지층
에서 대형 아메바가 다른 아메바에게 영양분을 빼앗겨 껍질에 구멍이 생긴 화석을 발견했다. 당시는 선캄브리아 시대로 단세포생물이 주로 활동했다. 뱀파이어 아메바는 다른 단세포 생물의 몸에 구멍을 ... ...
전문가들 "포항 이산화탄소 저장 실증사업 포항지진과 무관”
동아사이언스
l
2019.05.24
미소지진 발생 가능성은 낮다고 조사됐다”고 밝혔다. 김 교수는 “포항 CCS 실증 대상
지층
은 공공수용성과 재해발생 시의 법적 보상 등의 근거를 확보한다면, 연간 2만t의 이산화탄소 주입 실증 프로젝트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주장했다. 그는 “향후 타 지역에서 상업적 규모의 ... ...
"땅 파지마" 자원·암반·CO2저장 연구 전국 곳곳 중단 위기
동아사이언스
l
2019.04.24
저장 연구도 아니고 덮개암이 깨지지 않을 정도의 양을 먼바다의 얕은
지층
에, 그것도
지층
에 힘을 가하지 않으며 주입하는 방식이라 지진을 유발할 가능성은 없다”고 말했다. 신 단장은 “저장된 이산화탄소는 공극 속 물에 녹은 뒤 수십~수천 년 뒤에 침전돼 고체가 돼 안전하고 이상적인 ... ...
연속적인 동해 지진, 활성단층 지도 없어 ‘오리무중’
동아사이언스
l
2019.04.22
시스템을 구축해 동남권 해상 일부 지역을 탐사하고 있다”며 “탄성파 탐사 자료와
지층
연대 데이터를 결합해 동해상 각 단층이 어느 시기까지 활동했는지 구분하는 데 연구 역량을 집중할 것”이라고 말했다. 동해안에서 바다 쪽으로 38~54km 떨어진 해역에서 지진이 연이어 발생함에 따라 이 ... ...
“동해 지진, 동해 사라지는 전주곡일지도”
동아사이언스
l
2019.04.22
교수와 소병달 강원대 지구물리학과 교수팀은 동해 가운데 한반도와 가까운 지역 사이의
지층
구조를 마치 X선처럼 지각 내부의 구조를 밝혀내는 탄성파 반사 기술 등으로 새롭게 밝혀 지난해 7월 지질학 분야 국제학술지 ‘지질학’에 발표했다. 이 연구에서 연구팀은 동해에는 한반도 남부의 ... ...
동해서 3일 만에 지진 발생, 한반도-동해 사이 단층 원인 가능성
2019.04.22
단층과 일치하거나, 그 바로 서쪽에 인접해서 발생했다”며 “두 지진 모두 이 섭입대
지층
이 밀려들어가는 과정에 발생한 지진”이라고 말했다. 해역의 단층면을 따라 추가 지진이 발생할 가능성은 적지 않다. 홍 교수는 “긴 단층 한쪽과 다른 한쪽에서 지진이 일어나면 가운데 부분에 해소되지 ... ...
필리핀에서 6만7000년 전 신종 인류 '호모 루조넨시스'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9.04.11
지역의 180만 년 전
지층
에서 작은 인류 화석이, 인도네시아 플로레스 섬의 5만 년 전
지층
에서 ‘플로레스인(호모 플로레시엔시스. 일명 호빗)’ 화석이 발견되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이들은 모두 오스트랄로피티쿠스 정도로 체구와 두뇌가 작은 인류였다. 기존 정설에 따르면, 이들은 모두 최초로 ... ...
6600만년 전 그날 거대한 불덩어리가 떨어졌다…소행성 충돌 직후 분석
동아사이언스
l
2019.03.31
운석에는 풍부한 원소인 이리듐이 잔뜩 쌓여 있는 것을 발견했다. 이리듐은 태니스
지층
에도 잔뜩 남아 있다. 당시 소행성 충돌이 세계적으로 큰 영향을 미쳤음을 나타내는 증거다. 칙술루브 소행성이 충돌한 지점. 구글 맵 ... ...
지열발전 '폐쇄만이 답?' 논란 가중
동아사이언스
l
2019.03.25
경우 셧인 이후 더 큰 미소진동이 발생했다는 사실이 학계에 보고돼 있다. 포항 일대
지층
의 장기적인 안전성 분석과 검토를 위해서도 시추공 셧인은 재고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규모 5.4의 포항지진 이후 지진을 일으킨 단층면에 축적된 응력과 스트레스는 어느 정도 해소됐다는 게 대체적인 ... ...
'지열발전이 포항지진 촉발'…CO₂해저저장연구에도 '불똥'
연합뉴스
l
2019.03.22
뒤 이산화탄소 대량 저장소를 건설할 수 있는 곳으로는 이산화탄소가 들어갈 수 있는
지층
(저류층)과 그 위에 가스가 새어나가지 않게 막아주는 두꺼운
지층
(덮개층)이 안정적인 구조를 이루고 있는 서해와 동해 해저가 꼽힌다. '포항분지 해상 소규모 CO₂주입실증 프로젝트' 책임자인 권이균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