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전인자
유전단위
인자
유도자
전승자
DNA
뉴스
"
유전자
"(으)로 총 4,864건 검색되었습니다.
"뇌질환 신약 같이 개발하자"…러브콜 쇄도 출연연 창업기업 '큐어버스'
동아사이언스
l
2025.01.24
mRNA 분석은 알츠하이머와 같은 신경 질환에서 특정 신경세포의 사멸과 관련된
유전자
발현을 분석해 질병 진행을 추적하고 치료 효과를 평가할 수 있는 중요한 지표다. 매우 불안정한 분자이기 때문에 정확한 분석을 위한 고도의 기술이 필요하다. 지씨씨엘은 CV-01 임상 시험 분석을 위해 mRNA 4종 ... ...
어머니 X염색체만 활성화된 암컷 쥐, 뇌 노화 빨라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1.23
유전자
가 비활성화된 것에 주목했다.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를 사용해 비활성화된 특정
유전자
들을 활성화한 결과 노년기에 인지 능력이 개선되는 것을 확인했다. 다만 어머니로부터 물려받은 X염색체가 어떻게 뇌 노화를 가속화하는지에 대해 구체적인 메커니즘은 밝혀지지 않았다. 듀발 교수는 ... ...
박테리아와 상호작용 활용해 유해 미세조류 독성 억제
동아사이언스
l
2025.01.23
쿼럼 센싱(Quorum Sensing‧세균의 세포밀도 인식메커니즘) 신호가 퍼시피컴의 독소 합성
유전자
발현을 초기 단계와 고도화 단계에 모두 걸쳐 촉진하는 것을 확인했다. 퍼시피컴은 자연에서 시스타우젠스와 영양분을 경쟁적으로 확보하며 독소의 합성경로와 에너지 대사를 조정했다. 박테리아와의 ... ...
[과기원NOW] 바이오머티리얼즈 젊은 연구자상에 장진아 포스텍 교수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1.22
영양소로 알려진 '이노시톨'의 대사 시스템 핵심효소인 'IPMK' 단백질이 동물세포의 핵심
유전자
발현 네트워크의 중요한 전사활성화 인자로 작용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암 치료 등 혁신적인 치료기술 개발에 속도가 붙게됐다는 의미가 있다. ■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강세병 생명과학과 ... ...
조기 출산 원인 단백질 발견…"분만 시기 조절 기대"
동아사이언스
l
2025.01.22
관련한
유전자
의 비활성 상태가 더 오래 유지될 수 있었다. KDM6B를 사용해 임신과 관련한
유전자
근처 히스톤의 메틸기를 조절하면 분만 시기를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KDM6B 단백질이 인간에게도 동일하게 작용하면 임신 기간을 예측하거나 조절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며 "대부분의 ... ...
암세포 증식 82%까지 줄이는 소형
유전자
가위
동아사이언스
l
2025.01.21
말했다. 이어 “eCas12f1은 작은 크기와 강력한
유전자
교정 능력을 바탕으로 향후
유전자
치료제 개발과 생명공학 응용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것”이라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7일 게재됐다. - doi.org/10.1038/s41467-025-56048-w ... ...
'무도병' 헌팅턴병 치료하는 샤페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1.20
단서가 등장하게 될지 관심이다. 헌팅턴병은 유전적 돌연변이에 의해 헌팅틴 단백질
유전자
에서 'CAG 반복서열'이 비정상적으로 증가해 발생한다. CAG 반복서열이란 시토신, 아데닌, 구아닌 등 세 개의 염기가 반복되는 서열이다. CAG 반복서열이 증가하면 헌팅틴 단백질의 급격한 응집을 유발해 독성 ... ...
AI
유전자
편집기·바이오봇…올해 첨단바이오 유망기술
동아사이언스
l
2025.01.20
기술은
유전자
치료제, 분자육종, 합성생물학 등 광범위한 파급력을 보여줬다. AI 기반의
유전자
편집기는 기존 시스템 한계를 극복하고 정밀생물학‧의료‧농업‧제조 분야에서의 응용 범위를 넓힐 것으로 기대된다. 노화 과정에서 증가하는 세포나 인자를 표적으로 제어하는 '항노화 항체치료제'와 ... ...
"털 자라고 염증 낮아져"…회춘 돕는 마이크로RNA
동아사이언스
l
2025.01.19
연구팀의 실험에서 인간 배아줄기세포에서 유래한 엑소좀에는 세포 분열에 관여하는 2개
유전자
에 영향을 미치는 miR-302b가 풍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20개월에서 25개월 사이의 살아있는 쥐를 대상으로 여러 실험을 시도했다. 이들 쥐는 사람 나이로 치면 약 60~70세에 해당한다. 연구팀은 ... ...
[사이언스영상] 독성 수컷으로 '감염병 매개 암컷 모기' 줄인다
SEIZE
l
2025.01.18
컴퓨터 시뮬레이션에서 효과를 확인했다. 먼저 초파리를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TMT로
유전자
가 변형된 수컷과 짝짓기를 한 암컷은 그렇지 않은 암컷에 비해 수명이 37~64%까지 줄었다. 컴퓨터 시뮬레이션 결과에서는 뎅기열을 전염시키는 이집트숲모기에 TMT를 적용하면 암컷 모기의 혈액 섭취율을 40~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