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우주
객체
바깥
밖
바깥세계
외부
주위
뉴스
"
외계
"(으)로 총 613건 검색되었습니다.
금성 대기 중 수분 너무 적어 지구 호극성균조차 생존 못해
연합뉴스
l
2021.06.29
있을 것이라고 했다. 연구팀은 올해 말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이 배치되면 태양계 밖
외계
행성 대기의 온도와 기압, 수분량 등을 측정할 수 있다면서 이번 연구에 활용된 방식을 통해 수분활성도를 측정해 생명체 존재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 ...
인류문명 등장 이후의 지구를 본 별 얼마나 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21.06.28
수 있다는 시점전환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새롭다. 천문학자들은 이번 연구가
외계
생명체 탐사 목표의 우선 순위를 설정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했다. 칼테네거 교수는 “이들 별은 우주라는 거대한 극장의 가장 앞좌석에 앉아 인류를 지켜보고 있는 것과 같다"며 "인류가 우주를 ... ...
미 정보당국 “UFO가 뭔지 결론 내리기 어렵다”…
외계
인 존재 가능성 배제 안해
동아사이언스
l
2021.06.27
미 공군은 이 중 정체가 확인되지 않은 비행체는 총 701건으로 발표했지만, 이들이
외계
우주선이라는 증거를 발견하지 못했다며 UFO의 존재를 부인했다. 한편 1993~2018년 방영된 미국 드라마 ‘X 파일’은 전 세계적으로 인기를 끌며 ‘진실은 저 너머에 있다’ 등 명대사와 함께 UFO에 대한 대중적 ... ...
신임 NASA 수장 "UFO 실체 밝힐 연구 추진"…"
외계
인 증거 없지만 배제하지 않아"
동아사이언스
l
2021.06.06
과학 부국장은 이달 3일(현지시간) 열린 브리핑에서 “UFO가 기술적으로 진보한
외계
문명의 증거라고 믿지 않는다”고 밝혔다. 저버켄 부국장은 “인간은 자연을 과소평가하는 경향이 있는데 사실 자연에선 많은 기적이 일어나고 있다”며 “과학적인 수단을 이용해 UFO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데 ... ...
한국 참여하는 미국 주도 달탐사 ‘아르테미스' 프로젝트란 무엇인가
2021.05.27
달에서 희토류 등 광물 채굴이 진행될 수 있음을 시사했다. 지난 1979년 달을 포함한
외계
행성의 자원에 대한 상업적 이용을 금지하는 유엔의 ‘달 조약(Moon Agreement)’ 비준안에는 위배된다. 미국은 비준안에 동의하지 않았고, 현재 이 비준안을 승인한 국가는 전 세계 18개국이다. 아르테미스 ... ...
한미 정상회담서 韓 참여 밝힌 ‘아르테미스 협정’이란
동아사이언스
l
2021.05.24
달에서 희토류 등 광물 채굴이 진행될 수 있음을 시사했다. 이는 1979년 달을 포함한
외계
행성의 자원에 대한 상업적 이용을 금지하는 유엔의 ‘달 조약(Moon Agreement)’ 비준안에는 위배된다. 미국은 비준안에 동의하지 않았고, 현재 이 비준안을 승인한 국가는 전 세계 18개국이다. 아르테미스 ... ...
태양계 안팎 혜성 대기서 철·니켈 등 중금속 원소 첫 확인
연합뉴스
l
2021.05.21
중금속 원소가 포착됐다"고 설명했다. 중금속 원소를 가진 기체는 별에 근접한 초고온
외계
행성이나 태양에 바짝 붙어서 지나가는 혜성에서 포착되지만, 연구팀은 지구~태양 거리의 세 배가 넘는 약 4억8천만㎞ 떨어진 혜성의 대기에서도 철과 니켈 원소를 포착한 것으로 밝혔다. 이와함께 ... ...
태양계 밖 행성 내부엔 돌 섞인 얼음층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5.18
비슷하지만 질량은 지구의 3분의 2수준이어서 물이 풍부할 것으로 예상된다. 만약 이
외계
행성의 물 함량이 전체 행성 질량의 50%가량이라고 가정하면 맨틀 내부의 물층과 암석층의 경계부에는 대기압의 25만에 이르는 고압이 가해지고, 이에 따라 맨틀의 넓은 구간에 걸쳐 물층과 암석층이 명확히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우주 어딘가에 반물질로 이뤄진 반별이 있을까
2021.05.11
여기서 인위적인 신호가 포착되지 않는 한 생명체의 존재를 확인할 방법이 없어
외계
생명체가 있다고 확정적으로 말할 수 없다. 영국의 물리학자 프랭크 클로우스는 지난 2009년 출간한 책 ‘반물질’에서 “AMS위성이 대기권 위에서 반물질을 탐색했고 남극 상공에 기구를 띄워 반물질을 ... ...
1년 동안 지구에 내리는 우주먼지는 얼마나 될까
과학동아
l
2021.05.10
이는 일반 운석이 매년 지구에 도달하는 양(10t 미만)보다 훨씬 많은 양이다. 미세운석이
외계
물질의 주요 원천이라는 뜻이다. 우주먼지의 80%는 밀도가 낮고 내부에 구멍이 많은 점으로 미뤄 먼지와 얼음으로 구성된 혜성에서 기인했을 것으로 추정됐다. 연구결과는 ‘지구 및 행성과학 저널’ 4월 1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