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말
말소리
국어
랭귀지
language
어학
언어학
뉴스
"
언어
"(으)로 총 1,267건 검색되었습니다.
AI가 지어낸 '헛소리', AI가 잡아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6.21
하는 방법을 개발했다. 서배스천 파쿼 영국 옥스퍼드대 컴퓨터과학과 연구원팀은 거대
언어
모델(LLM)이 생성한 답변을 다시 LLM으로 평가해 AI 환각을 줄이는 방법을 개발하고 연구 결과를 19일(현지 시간)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공개했다. ● AI가 만든 환각, AI로 잡는다 챗GPT처럼 방대한 양의 ... ...
[과기원NOW] KAIST "GPT-4V 보다 뛰어난 대형
언어
모델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6.20
크기를 키우거나 고품질의 시각적 지시 조정 데이터셋을 만들지 않고 멀티모달 대형
언어
모델의 시각 성능을 획기적으로 높였다. ■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백승렬 인공지능대학원 교수 연구팀이 인공지능(AI)이 기존 지식을 유지하면서도 새로운 정보를 학습할 수 있는 'SDDGR' 기술을 개발했다고 2 ... ...
[과기원NOW] KAIST, 거대
언어
모델로 기업 의사결정 문제 풀이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4.06.19
김민수 KAIST 전산학부 교수. KAIST 제공 ■ KAIST는 김민수 전산학부 교수 연구팀이 거대
언어
모델을 이용해 의사결정에 필요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 ... RAG를 이용해 미시적 차원의 분석을 한다. 연구 결과는 자연어처리 분야 국제 학회인 ‘북미컴퓨터
언어
학학회(NAACL)’ 에 17일 게재됐다. ... ...
[이덕환의 과학세상] '국어'보다 '영어'에 더 정성인 사회
2024.06.19
전자책(e-book)을 AI 디지털교과서로 착각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걱정스럽다. 대규모
언어
모형(LLM)을 기반으로 하는 현재의 생성형 AI는 학생들의 지식 교육을 맡길 수 있는 수준으로 완성된 것이 절대 아니다. 자칫하면 학생들을 아무도 책임질 수 없는 '환각'(hallucination)이나 아무도 책임질 수 없는 ... ...
보행자 경로 예측 AI 개발…"질문-답변으로 발 디딜 곳 파악"
동아사이언스
l
2024.06.18
인간의 행동 역학을 배워 미래 동작을 예측했다는 데 학술적 의의가 크다"며 "거대
언어
모델이 물리 역학적 추론까지 가능하면 인공일반지능(AGI)으로의 확장과 실용화를 앞당길 것"이라고 기대했다. ... ...
노래 부르는 법 까먹지 않으려 연습하는 금화조
동아사이언스
l
2024.06.12
노래로 암컷에게 구애하는 금화조가 암컷이 없을 때에도 계속 노래를 부르는 이유가 밝혀졌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노래로 암컷에게 구애하 ... 기본 메커니즘에 대해 통찰력을 줄 수 있으며 장기적으로 외국어 발음 개선이나
언어
장애 치료 등을 연구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수학계 대통일 이론 '랭글랜즈 프로그램' 한발짝…30년 난제 해결
동아사이언스
l
2024.06.10
시도를 한다. 그중 하나가 정수론을 기반으로 쓰여있던 랭글랜즈 추측을 기하학적
언어
로 다시 쓴 랭글랜즈 프로그램의 기하학적 추측이다. 이 추측에 대해 유필상 교수는 "원작이 되는 소설을 영화나 만화로 옮겼다고 이해하면 쉽다"고 설명했다. 랭글랜즈 프로그램의 일부인 셈이다. 이번 ... ...
루간다어 등 소수
언어
도 OK…메타, 200개
언어
번역 AI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24.06.07
R. 코스타 주사 메타 AI 연구팀 연구원은 "지금껏 온라인에서 거의 번역되지 않았던
언어
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인터넷 및 기타 기술에 접근하는 데 우리 기술이 도움이 될 것"이라면서 "교육에 활용되길 바라며 여전히 오역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계속 기술을 발전시키겠다"고 했다 ... ...
"제목 단순한 기사가 조회수 높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6.06
제목은 단순성 지수에서도 거의 항상 더 높은 점수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
언어
를 단순하게 하는 노력이 일반 독자들의 관심을 높인다"고 설명했다. 온라인 뉴스 사이트인 업워디(Upworthy)의 제목으로도 2만2664건의 실험을 진행했다. 워싱턴 포스트의 결과처럼 독자들이 제목을 클릭하는 ... ...
태양계 외곽 혜성, 지구에 당분 전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6.04
우주선이 근접 비행으로 관측한 뒤 아로코스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아메리카 원주민
언어
로 '하늘'을 뜻한다. NASA 제공 혜성을 통해 포도당을 포함한 유기물이 지구로 전해졌을 가능성이 제시됐다. 미국 연구팀이 태양계 외곽에 있는 천체 '아로코스(Arrokoth)'에서 유기물이 형성되는 과정을 재현해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