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체적
크기
용적
입방적
사이즈
양
수량
뉴스
"
부피
"(으)로 총 647건 검색되었습니다.
[과기원은 지금] KAIST, 온도 제어로 반도체 패키징 내구성 40% 향상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5.03
그의 주요 연구 분야는 용융염 전기화학 기술을 활용한 사용후핵연료와 방사성폐기물의
부피
및 독성 저감 기술 개발이다. 박 교수는 기존 방식으로 처리하기 어려운 방사성폐기물을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해 주목받고 있다. ... ...
해양 플라스틱 쓰레기 청소 기대주…'해파리 로봇' 등장
동아사이언스
l
2023.04.26
휘는 촉수를 수축하면서 바닷속을 자유롭게 헤엄친다. 촉수가 오므라들 때는 해파리의
부피
가 줄어들지만 움직이는 데는 문제가 없다. 이번에 개발된 해양쓰레기 청소용 로봇 ‘젤리피쉬봇’은 해파리의 모습을 그대로 구현했다. 본체 밑에 여러 개의 플라스틱 구체를 이어 붙여 로봇이 움직이는 ... ...
유리개구리, 투명한 이유는 "간 때문이야"
과학동아
l
2023.04.22
혈액 속 적혈구의 89%를 간에 보관한다. 이렇게 적혈구 대부분이 간으로 가면 간의
부피
는 40% 증가하고, 혈관은 2~3배 더 투명해진다. 이때 유리개구리의 간을 비롯한 장기는 빛 반사도가 높은 구아닌 결정에 둘러싸여 보이지 않게 된다. 여기서 흥미로운 점은 유리개구리가 어떻게 하루 중 무려 1 ... ...
전기차 충방전 반복시 배터리 용량 감소 문제 잡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4.19
높은 에너지 밀도를 보인다. 실리콘 음극은 리튬이온과의 합금반응을 통해 발생하는
부피
변화가 최대 400%다. 400% 정도 팽창과 축소를 반복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균열이 발생해 용량이 감소한다. 이런 문제점을 막기 위해 첨가제를 사용한다. 현재 불소화 물질인 ‘플루오르에틸렌 ... ...
암 진단·치료 동시에...방사성동위원소 주권 실현 꿈꾼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4.17
원자력연 사이클로트론은 국내 방사성동위원소 생산 대형연구시설 3개 중 하나다.
부피
로 따지면 스포츠유틸리리차량(SUV) 6대 가량, 면적으론 115㎡다. 1.5V 건전지 2000만 개에 해당하는 최대 30Mev(메가전자볼트)의 에너지로 입자를 가속할 수 있다. 방사성동위원소 대량 생산에 방점이 찍혔다. 박 ... ...
바이오제약사 '우주 러시' 이유 있다...우주의학 연구 '봇물'
동아사이언스
l
2023.04.07
암세포 100% 사멸을 유도한 결과를 얻었다. 쥐를 대상으로 한 동물 실험에서도 종양
부피
가 4일만에 91% 감소했다. 마이크로퀸의 연구는 세포 내부 환경 조절 단백질 TMBIM을 암 세포 사멸을 유도하는 '스위치'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목을 끌었다. 특히 연구 성과를 우주 공간에서 얻어내 ... ...
100% 실리콘 전극 사용한 전고체전지 최초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4.03
이동이 용이해지며 전지의 안정적 충방전이 가능해진다는 의미다. 실리콘 웨이퍼는
부피
당 밀도가 가장 높은 구조로 전지의 고에너지 밀도 달성에 유리하다. 실제 연구팀은 현재 상용화된 리튬이온 전지보다 면적 용량이 약 2~3배로 큰 전고체전지를 구현했다. 상온에서 100회 안정적 충방전에도 ... ...
[씨즈더퓨처] NASA 신상 우주복 '어깨핏'에 숨은 비밀
2023.04.02
지금까지 쓰인 우주복 EMU도 우주인이 입고 잘 걷지 못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
부피
가 크고 단단해서 체형이 작은 여성에게 맞지 않았고, 무게도 145kg에 달했다. 물론 개발 비용은 만만치 않다. 당초 NASA는 우주복을 자체 개발하려 했지만, 재정 등의 이유로 포기했다. 이에 2022년 미국 ... ...
"알츠하이머 치료제, '뇌 수축' 유발"...연구결과에 학계 파장
동아사이언스
l
2023.03.29
측은 “주요 실험에서 레켐비를 복용한 환자들은 위약을 복용한 환자들보다 더 많은
부피
의 뇌 피질이 손실됐지만 이는 뇌에서 아밀로이드베타 단백질이 제거되고 염증이 발생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일”이라고 밝혔다. 학계는 뇌 수축이 사람에게 미치는 영향을 정확히 확인해야 한다고 ... ...
[과기원은 지금] KAIST, 고분자 보호막으로 수명 늘린 리튬 금속 전지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3.29
임성갑 생명화학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리튬 이온전지 전해액 속에서 용매를 흡수해
부피
가 늘어나는 초박형 공중합체 고분자 보호막으로 리튬 금속 전지 수명을 획기적으로 늘리는 데 성공하고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에너지 머티리얼즈'에 게재했다고 28일 밝혔다. 연구팀은 '개시제를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