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비물
오물
대변
똥
쓰레기
분뇨
배출
뉴스
"
배설물
"(으)로 총 167건 검색되었습니다.
‘위생의 제국’ 고대 로마, 알고 보면 ‘기생충 천국’
2016.01.10
것이다. 장내 기생충의 유행 원인은 배변 처리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당시 로마는
배설물
을 모아 비료로 썼는데, 이때 기생충의 알이 작물 재배 과정에서 살아남고 사람이 이를 섭취할 경우 다시 회충 등에 감염되면서 장내 기생충의 유행을 불러왔다는 것이다. 음식문화도 영향을 미쳤다 ... ...
빌 게이츠가 마신 물이 사실은 ‘
배설물
’?
2015.12.29
제공 올해 초 빌 게이츠 마이크로소프트(MS) 공동창립자는
배설물
로 만든 물을 시음하는 모습을 공개해 주목을 받았다. 오수를 높은 온도로 끓여 순수한 수증기만 골라 식수를 얻는 기계 ‘옴니프로세서’를 활용한 것이다. 김경식 연세대 기계공학과 교수(사진)팀은 옴니프로세서보다 효율이 2배 ... ...
바퀴벌레는 ‘똥’으로 친구 부른다
2015.12.08
바퀴벌레를 끌어모으는 효과가 강력한 것으로 나타났다. 스칼 교수는 “바퀴벌레
배설물
은 유충에게 안전한 장소가 어디인지 알려주는 지표 역할을 하기도 한다”며 “효과적인 바퀴벌레 퇴치제 개발에 응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아기에게 항생제 많이 썼다가 살 찔라
2015.10.09
항생제를 처리했더니
배설물
의 열량은 줄고 비만도가 증가했다는 것이다. 이 쥐의
배설물
에서 장내 세균집단(세균총)을 뽑아내 무균 생쥐에게 이식했더니 몸무게가 늘었다. 연구진은 항생제 때문에 장내 세균총의 기능에 이상이 생겨 음식물에서 더 많은 에너지를 뽑아낸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런 ... ...
가장 이색적인 똥 직업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8.14
있었어요. 그래서 캄캄한 밤 희미한 촛불에 의지한 채 공중 화장실의 정화조에 있던
배설물
을 퍼냈지요. 인분이 무릎이나 허리, 심지어 목까지 차는 환경에서 일했기 때문에 악취와 유독가스에 찌들어 희생되는 경우도 많았어요. (W) 제공 ※ 더 많은 과학기사를 2015년 8월 15일자 ... ...
진드기 기르는 남자 vs. 바퀴벌레 기르는 남자
2015.06.25
연세대 의대 의용절지동물은행에서 7년째 바퀴벌레를 기르고 있는 남성현 연구원(왼쪽)과 25년간 진드기를 길러온 ‘진드기 아빠’ 이인용 박사. - 신선미 ... 달라고 하는 곳도 있다. 바퀴벌레라면 체에 걸러 주면 되지만 진드기라면 현미경을 보며 붓으로
배설물
을 직접 골라야 한다. ... ...
[신문과 놀자!/별별과학백과]공기방울-분뇨로도 전기 만들어요
동아일보
l
2015.05.13
뉴욕시도 공원 여기저기에 있는 개똥을 모아 전기를 만들 계획을 세우고 있다. 사람의
배설물
도 전기 발전의 원료가 된다. 올해 초 영국 웨스트잉글랜드대 연구팀은 사람의 오줌으로 전기를 만드는 연료전지를 개발했다. 이 전지는 오줌 안에 있는 유기물을 미생물이 분해할 때 나오는 전자를 모아 ... ...
빙그레, 메론맛우유 전량 회수 결정… 이유는 소비자 안전
동아닷컴
l
2015.04.09
장티푸스성 질환을 일으키는 장티푸스균과 파라티푸스균을 비롯해 동물에 감염되어 그
배설물
에 의한 오염으로 식중독이나 위장염을 일으키는 게르트너균 등을 말한다. 익히지 않은 육류나 계란을 먹었을 때 감염될 수 있으며 섭취 후 8~24시간이 지난 뒤 급성장염을 일으켜 발열, 복통, 설사 등의 ... ...
검은 가마우지, 한강 밤섬 하얗게 만들다
동아일보
l
2015.03.26
2010년 427마리였던 밤섬의 가마우지는 올 들어 1506마리까지 급증했다. 강한 산성인
배설물
은 좁은 밤섬(27만9000m²)을 온통 하얀색으로 물들였다. 조류 전문가들은 일단 가마우지 급증을 밤섬 생태계 회복의 ‘청신호’로 해석했다. 몸길이 1m가 넘는 대형 조류인 가마우지는 큰 덩치만큼 잉어 붕어 ... ...
헉! 500nm 작디 작은 나노입자도 먹이사슬 타고 전달
2014.09.24
올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설명했다. 또 안 교수는 “실험에 쓴 나노입자는
배설물
을 통해 배출됐기 때문에 체내에 농축되는 경향을 보이지는 않았지만 종류에 따라 누적이 심각한 나노입자도 존재할 수 있다”며 “오늘날 나노입자의 활용이 늘어나는 만큼 생태계로의 유입을 방심해선 안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