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박판
시트메탈
뉴스
"
박막
"(으)로 총 484건 검색되었습니다.
감염병 바이러스 10분 내 현장 진단
동아사이언스
l
2023.04.11
기능을 구현했다. 또 연구팀은 플라스틱 미세 유체 칩과 알루미늄
박막
을 결합해 `금속
박막
카트리지'를 개발해 값비싼 나노소재의 재사용률을 높이고 비용 효율을 극대화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플라즈모닉 핵산 분석 시스템'은 코로나19 바이러스를 10분 이내 95% 이상의 높은 정확도로 ... ...
[과기원은 지금] KAIST, 챗GPT에 쓰인 기술로 다공성 소재 물성 예측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4.06
기술을 개발했다고 5일 밝혔다. ㈜씨티셀즈와 공동으로 개발한 이 기술은 초
박막
하이드로젤을 이용해 유체 교환은 용이하되 세포 손실은 막도록 했다. 이를 통해 기존의 세포 염색 기술보다 높은 세포 보존율과 재현성을 확보했다. 희소 세포를 손실 없이 분석할 수 있어 향후 임상 연구에서 활용될 ... ...
[과기원은 지금] KAIST, 3D 반도체소자 구현 인쇄기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4.05
지난 2월 14일 공개됐다. ■ 양기정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책임연구원 연구팀은
박막
태양전지의 고효율화를 위한 결함을 식별하는 방법을 개발했다고 4일 밝혔다. 태양전지 효율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는 국제학술지 ‘카본 에너지’에 지난달 30일 온라인으로 ... ...
OLED 소재로 AI반도체 소자 개발…정보 저장·연산 한번에
동아사이언스
l
2023.03.15
거대 AI 시스템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시냅스 소자의 출력 전류가 낮게 조절돼야 하는데 초
박막
절연체를 트랜지스터 내부에 도입해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대규모 AI 연산에 활용할 수 있는 것도 확인했다. 연구팀은 개발된 신소자를 이용해 손글씨 데이터를 학습시킨 후 분류한 결과 정확도가 98% ... ...
반창고 대신 붙이는 ‘살아있는 세포 스티커’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3.12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승인을 받은 패럴린 유연
박막
을 세포 배양 표면으로 사용했다.
박막
표면 자외선 처리를 통해 세포가 배양 접시에는 안정적으로 붙을 수 있게 하면서 동시에 원하는 목표 조직으로 옮겨갈 수 있는 정도의 적절한 세포 부착 세기를 조절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세포 시트 ... ...
차세대 전기차 배터리 내구성 3배 올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2.28
결정 돌기가 생성되는 현상을 잡았다. 리튬메탈 전지의 음극소재로 쓰이는 구리
박막
을 얇은 탄소섬유로 대체했다. 탄소섬유는 종잇장 같은 형태로 탄소 단섬유 위에 무기 나노입자인 비결정질 탄소와 탄산나트륨으로 표면 처리를 한 것이다. 연구팀은 “리튬 친화적인 특성을 갖는 동시에 리튬 ... ...
석상일 UNIST 교수팀,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세계 최고 효율 갱신
동아사이언스
l
2023.02.17
이번 연구를 진행한 연구진의 모습. 윗줄 왼쪽부터 8번째 석상일 교수, 아랫줄 왼쪽 2번째 부터 박재왕 연구원, 김종범 연구원. 울산과학기술원(UNIST) 제공 국내 ... UNIST) 제공 첨가된 알킬암모늄 클로라이드의 종류에 따라 제어된 페로브스카이트
박막
의 결정화 거동. 울산과학기술원(UNIST) ... ...
집적도 올려 정보 처리·저장 동시 수행 뉴로모픽 반도체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2.08
형태의 소자를 실리콘 웨이퍼 기판상에 만들고 외부에서 전계를 가하면 전하를 띤 리튬
박막
안의 리튬이온이 가역적으로 움직인다”며 “전도도를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미국화학회(ACS) 응용재료 및 인터페이스’에 지난해 11월 17일 ... ...
마이크로LED 픽셀 수직으로 쌓아 디스플레이 화질 높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2.02
지속하고 있다. 지난해 8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칩이 없이도 작동할 수 있는 초
박막
전자피부를 개발해 발표하기도 했다. 칩이 없어 유연한 전자피부는 피부에 붙여 사람의 맥박이나 피부 상태를 측정할 수 있어 웨어러블 기기에 활용할 수 있는 기술로 평가받았다. 이번에 개발한 수직형 ... ...
위기감 드리운 K반도체..."R&D 질적 역량도 위기"
동아사이언스
l
2023.02.01
한국은 탄소나노튜브, 그래핀,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등의 주제에서 강점을 보였다.
박막
트랜지스터, 플렉서블 전자회로 등 ‘디스플레이 응용’ 관련 주제에 대한 연구 집중도가 매우 높았다. 한국은 비교적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를 수행하고 있지만 연구 활동도와 영향력 결합 분석에서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