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재목
땔감
나무
땔나무
장작
목판
땔거리
뉴스
"
목재
"(으)로 총 163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늑대복원, 정말 필요할까
2015.02.02
일등공신은 초식동물이 아니라 사람이었는데 화석연료가 보급되고 건축이나 가구용
목재
를 수입하면서 사실상 숲이 방치되고 있기 때문이다. 또 사람의 손길이 닿지 않는 평지가 사실상 없기 때문에 야생 대형 초식동물이 없다. 고라니나 멧돼지가 늘고 있다지만 이들 때문에 숲이 황폐화되는 것 ... ...
[북극으로 가는 ‘제2 쇄빙선’] 북극 전용 쇄빙선 2020년 취역한다
2015.01.02
옵서버 자격 획득 동아일보DB 제공 북극항로의 가장 큰 장점은 석유, 광물,
목재
등의 수송 기간을 최대 절반까지 줄일 수 있다는 것. 가령 부산항을 출발한 배가 네덜란드 로테르담으로 갈 때 기존 수에즈 항로를 따라 인도양과 아프리카 해안을 거쳐 가면 24일간 2만100km를 가야 한다. 하지만 ... ...
가볍고 휘어도 OK… ‘종이 배터리’ 개발됐다
2014.09.30
‘종이 배터리’를 만드는 데 처음으로 성공했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이선영
목재
가공과 연구관팀과 울산과학기술대(UNIST) 이상영 에너지및화학공학부 교수팀은 공동으로 셀룰로오스로 만든 종이 분리막과 전극을 이용해 휘어지는 배터리를 구현할 수 있었다고 9월 30일 밝혔다. 종이의 ... ...
‘초록 기름’ 넣고 전투기 띄운다
과학동아
l
2014.07.11
수 있는 음식으로 자동차 연료를 만든다는 태생적인 한계가 있다. 2세대 바이오매스는 폐
목재
나 톱밥 등에서 셀룰로오스를 분해해 알코올로 만든다. 하지만 이 역시 기름 추출 효율이 떨어져 상용화가 어려운 실정이다. 이 때문에 최근에는 세계적으로 미세조류를 쓰는 3세대 바이오매스가 ... ...
버려진 나무로 전기 충전한다고?!
과학동아
l
2014.04.06
이현주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박사, 이상복 미 메릴랜드대 교수 등 공동 연구팀은
목재
폐기물에서 전극 소재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고 6일 밝혔다. 전극 소재의 원료는 나무에 들어 있는 리그닌. 리그닌은 셀룰로오스와 함께 나무의 30~40%를 차지하는 주성분으로 나무의 강도를 유지하는 ... ...
배산임수로 본 고택의 집터
동아사이언스
l
2014.03.28
시원한 람이 좀 더 머물수 있도록 해 준다는 것이다. - 양길식 제공 또한, 난방의 재료인
목재
를 주변 산에서 쉽게 얻을 수 있고 앞으로 흐르는 강이나 하천을 농업용수나 생활용수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 또한 있다. 이처럼 우리의 전통가옥은 그저 보기 좋은 곳에 적당히 놓여진 것이 아니다. ... ...
쌀만 있으면 '새집증후군' 끝
동아사이언스
l
2014.02.25
떨어져 습도가 높은 환경에 적당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을 해결한 것이다. 산림과학원
목재
가공과 이상민 박사는 “이번에 개발한 접착제는 합판 등 건축용 재료뿐만 아니라 벽지 도배용으로도 사용이 가능하다”며 “주거환경의 건강성과 안전성 개선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 ...
1000원이 1000엔보다 강하다고?
동아사이언스
l
2014.01.24
요판인쇄를 버티기 위해 사용되는 지폐 지질은 면 100%로 만들어진다. 일반 종이처럼
목재
에서 나오는 펄프를 이용하지 않는 이유는 면은 요판인쇄의 높은 압력에 잘 버틸 뿐만 아니라 면 내부 조직의 많은 공간 덕분에 다양한 ‘고분자 화학물질’이 쉽게 스며들 수 있기 때문이다. 정 ... ...
석유화학시대 넘어 바이오화학시대로
동아사이언스
l
2014.01.17
식량자원을 낭비한다는 지적과 함께 국제 곡물가 폭등의 원인으로 지목받으면서
목재
폐기물이나 볏짚, 옥수숫대 등 비식용자원과 바다에서 자라는 조류를 이용하는 기술이 개발됐다. 최근에는 미생물을 이용하는 기술까지 속속 선보이고 있다. KAIST 이상엽 생명화학공학부 교수팀은 지난해 ... ...
"닮아도 너무 닮았네"…숭례문 복원 뭘로 한거지?
동아사이언스
l
2014.01.08
보호하기도 했다. 나무 재질이 좋아 속이 70%이상 붉은 특징을 보이는 아주 우수한
목재
이기 때문”이라며 “러시아산 구주소나무과 가격 차이가 10배 이상 나는 만큼 앞으로 엄중하게 검사해야할 것”라고 밝혔다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