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방정
단언
적정
올바름
언명
결단
단결
뉴스
"
단정
"(으)로 총 273건 검색되었습니다.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테크니션이 아니라 '과학연구관'이라고 부르라
2019.06.20
우리가 얼마나 과거의 잣대로 세상을 재단하고, 과거의 잣대로 민주주의를 마음대로
단정
짓는 일에 능숙한지 돌아볼 필요가 있다. 민주주의는 완벽하거나 영원한 제도가 아니라, 끊임 없이 변화하는 제도일 뿐이다. 어제의 민주주의가 오늘의 민주주의가 아니듯, 내가 만족하는 오늘의 민주주의가 ... ...
전세계가 금지한 '프레온가스' 중국이 몰래 생산하고 있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23
들어가는 과정에서도 많이 나타나므로 프레온가스 배출지가 생산지와 일치한다고
단정
지을 순 없다”면서도 “관측된 배출량 증가는 실제 생산된 전체 프레온가스 양의 일부일 가능성이 크고, 프레온가스가 쓰인 새로운 단열재들에서 지속적인 추가 배출이 진행될 수 있다”고 말했다. 2008~2012년 ... ...
[과학촌평]지진,‘알 권리’와 정치,그리고 과학
동아사이언스
l
2019.03.31
“포항지진이 인재(人災)로 결론났기 때문에 포항은 이제 (지진에) 안전하다”는
단정
적인 여론이 형성되고 있다는 얘기도 들린다. 하지만 조사연구단도 “지진이 난 단층은 응력이 많이 해소됐지만 임계응력 단층이 여럿 있을 수 있다”고 밝힌 만큼 섣부른 판단은 위험하다. 긴 호흡을 갖고 포항 ... ...
포항지진은 촉발지진…진원 깊이 등 남은 쟁점들
동아사이언스
l
2019.03.20
일어난 단층에 축적된 응력에너지가 경주지진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느냐는 질문에 "100%
단정
할 순 없지만 직접 영향을 줬다고 보기에는 거리가 있다"고 밝혔다. 이강근 정부조사연구단장은 "동일본 지진이나 경주지진이 포항지진 단층면에 응력변화를 줬는지 계산한 결과 포항지진 단층을 움직일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우울증이 말하는 법
2018.12.29
비해 '절대''완전히''확실히''결코''모든''전부' '모두' '항상' '당연히' '무조건' 같은
단정
적 표현을 약 50% 정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표현은 다소, 어느 정도, 경향 같이 맥락에 따라 달라지며 해석의 여지를 주는 단어와 달리 정도나 확률에 있어 최상급을 의미한다. 보통 이것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매번 새로운 것을 추구하는 당신은 '마이너리티'
2018.11.25
않습니다. 인간의 성격은 다양한 요인으로 결정되기 때문에 어느 단일한 유전자 변이로
단정
지어서는 안됩니다. 게다가 어느 인구집단에서나 DRD4 III 7 repeat를 가진 사람은 소수입니다. 아무리 진취적인 집단에서도 여전히 마이너리티입니다. 대부분의 집단에서 DRD4 III 4 repeat가 압도적으로 많습니다. ... ...
'오무아무아’에 대한 하버드대 과학자들의 분석
동아사이언스
l
2018.11.11
결과다. 평균값은 태양 근처를 지날 때도 큰 변함이 없었다. 오무아무아를 혜성으로
단정
하기 어려운 이유다. 성간물체 오무아무아가 태양계에 진입해 빠져나가는 궤적(왼쪽). 빨간색 궤적으로 이동할 것으로 예상됐으나 태양 근처에서 예상보다 속도가 빨라지면서 실제로는 이보다 약 4만㎞ ... ...
태양계밖 8000광년 외계위성 추정 천체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8.10.05
때 지구에서 보는 달의 두 배 크기로 보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나 연구팀은 아직
단정
을 짓지 않고 또 다른 우주관측 장비인 ‘허블망원경’으로 내년 봄 추가적 관측을 진행할 예정이다. 허블의 해상도는 케플러망원경보다 4배 높기 때문에 허블로 같은 현상을 관찰할 수 있으면 새로 ... ...
“토성 고리에 물보다 유기물이 더 많아”
동아사이언스
l
2018.10.05
“D고리에서 발견된 유기물은 혜성으로부터 유입된 것으로 추정된다”며 “
단정
하긴 이르지만 혜성이 행성과 충돌하면서 고리를 형성한 증거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나머지 8개에 이르는 토성 고리의 성분은 아직 베일에 가려져 있다. 고리와 고리 사이에 존재하는 공간(간극)의 형성 ... ...
더 오래 머물고, 더 강력한 태풍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8.22
2배 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상연구는 변수가 많아 일부 연구결과를 사실로
단정
짓기 어렵다. 그러나 기상학계에선 최근 이같은 연구가 자주 발표되고 있어 예의 주시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한다. 한 기상학계 관계자는 “최근 한반도 태풍 위험성을 지적하는 연구들이 자주 제시되고 있는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