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깃
페더
솜
털
우모
뉴스
"
깃털
"(으)로 총 164건 검색되었습니다.
작지만 끈질긴, 가볍지만 정교한
과학동아
l
2015.04.27
파악할 수 있다. 올빼미는 귓구멍 주변에 깔때기처럼 소리를 모을 수 있는 특이한
깃털
들도 나 있다. 자기장을 감지해 항법 보조수단으로 활용하기도 한다. 흐린 날에도 집을 찾고, 지구를 반 바퀴나 돌아온 철새가 매번 같은 바위에서 번식을 하는 이유다. 학계에서는 이것을 지구 자기장을 감지할 ... ...
“등뼈 넓으면 수컷, 좁고 뾰족하면 암컷”
2015.04.23
외양에 따라 다른 경우가 많다. 사자는 수컷이 갈기가 있고, 공작도 수컷이 화려한 꼬리
깃털
을 갖고 있다. 이미 멸종한 공룡도 동물처럼 암수 모습이 다르다는 연구 결과가 최근 나왔다. 영국 브리스톨대 에반 새타(Evan Saitta) 연구원은 스테고사우루스가 암수 모양이 서로 다르다는 사실을 ... ...
일부다처제 동물일수록 ‘마초 유전자’ 강하다
2015.03.30
오른쪽)와 달리 암수간 유전자와 겉모습의 차이가 크다. - Wikimedia 제공 공작새의 화려한
깃털
, 사자의 갈기는 암컷을 유혹하기 위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생존에 다소 불편한 형태이지만 번식에 유리할 경우 진화에 성공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성선택설’의 대표적인 사례다. 최근 이를 ... ...
[신문과 놀자!/별별과학백과] 치키노사우루스 복원 가능할까
동아일보
l
2015.03.18
팔 화석에서 작은 돌기들을 발견했기 때문이다. 칠면조의 날개에서 크고 무거운
깃털
이 달려 있는 돌기도 이와 똑같이 생겼다. 이 외에도 공룡의 뿔이나 가시는 이성을 유혹하는 용도였을 가능성이 커서 공작 꼬리처럼 화려한 색깔을 가졌다고 추정할 수 있다. 천적의 눈에 띄지 않게 주변과 비슷한 ... ...
백설공주의 유전자를 찾을 수 있을까
2015.02.11
햇빛을 보지 않는 설치류 정도가 있을까요. 햇빛을 받으면서 살아가는 동물 중 털이나
깃털
로 온몸이 덮여 있지 않은 것은 인간뿐입니다. 인류가 정말 피부에 털이 없는 것은 아닙니다. 인간은 몸집이 비슷한 다른 포유류와 비슷한 수의 모공을 갖고 있으며, 털도 비슷하게 나 있습니다. 다만 짧고 ... ...
고흐의 ‘별이 빛나는 밤’은 과학이 그렸다?
2015.01.25
것이다. 저자는 그 이유를 “뉴턴이 늘 사색에 잠겨 있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하얀
깃털
을 단 모자를 쓰고 붉은색 벨벳 외투에 금으로 장식한 허리띠를 걸치고 파리의 거리를 거닐었던 수학계의 원조 패셔니스타 데카르트와 수학자를 여덟 명이나 배출한 수학계의 명가에서 태어난 베르누이 ... ...
공룡의 직계 후손은 닭?
과학동아
l
2015.01.14
조류가 진화했다는 가설은 널리 알려져 있다. 특히 1990년대 중국 랴오닝성 등지에서
깃털
달린 공룡이 발견되며 새의 공룡기원설에 힘이 실렸다. 그렇다면 현생 조류 가운데 공룡의 ‘직계 후손’은 누구일까. 최근 닭이 공룡과 가장 가까운 새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영국 켄트대 생물학과 다렌 ... ...
[Happy New Year! 을미년] ‘푸른 양’ 정말 있을까
2015.01.01
공작새의
깃털
이나 모포나비 날개의 진짜 빛깔은 청색이 아니라 투명하다. 공작새의
깃털
에는 100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 지름에 수백 nm 길이의 투명한 단백질이 층층이 쌓여 있는데 여기에서 빛의 산란이 일어난다. 태양빛이 총천연색으로 분리된 뒤 청색만 외부로 반사되기 때문에 우리 ... ...
앵무새 뇌에는 노래 유전자가 3개
2014.12.14
이번 주 ‘사이언스’ 표지(사진)는 ‘새대가리’다. 마치 닭볏처럼 머리에 난 뾰족한
깃털
이 인상적인 이 새는 아마존강에 사는 호아친이라는 종이다. ‘사이언스’ 가 생태 화보집처럼 새 사진을 표지에 내세운 이유는 48종에 달하는 조류(鳥類)의 유전체 분석이 완료됐기 때문이다. 2011년 ... ...
이-바퀴벌레-흰개미 중 가장 먼저 등장한 곤충은?
2014.11.09
학계에 알려진 것과는 다른 결과도 나왔다. 털이 달린 생물에 기생하는 이는 지금까지
깃털
달린 공룡이 등장하면서 생긴 것으로 알려져 있었지만 이번 연구 결과 새와 포유류가 나타나기 전까지는 이가 퍼져나가지 않았던 것으로 밝혀졌다. 네이처 제공 이번 주 ‘네이처’ 표지에는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