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무절제
버릇 없음
뉴스
"
과도함
"(으)로 총 1,635건 검색되었습니다.
뉴욕 타임스퀘어도 꺼졌다…초연결 시대 'IT대란 반복'의 서막
동아사이언스
l
2024.07.22
초연결 사회가 심화되면서 IT 대란이 반복될 위험이 높아졌다. Thapana Onphalai/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지난 19일 전 세계 전산망 시스템이 동시다발적으로 ‘먹통’됐다. 전 세계가 인터넷으로 연결되는 ‘초연결 사회’인 오늘날 이번 사태는 지속 반복될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적인 지적이다 ... ...
미토콘드리아로 퇴행성 질환 제어 실마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22
(왼쪽부터) 김유식 KAIST 생명화학공학과 교수, 김수진 박사, 탄 스테파니 박사과정생. KAIST 제공. 과도한 면역반응을 일으키는 ‘미토콘드리아 이중나선 RNA’를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이 확인됐다. 퇴행성 질환 발병과 진행 과정을 통제하는 방법을 찾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KAIST는 김유 ... ...
국가마다 다른 규제… 대마의 두 얼굴
과학동아
l
2024.07.20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2년 전 아시아 최초로 대마를 마약류에서 제외한 태국이 지난 6월 대마를 다시 마약으로 지정하겠다고 밝혔다. 반면 미국은 엑스터시와 같이 매우 위험한 약물로 분류됐던 대마를 의사의 처방이 있으면 복용할 수 있는 약물로 재분류할 방침이다. '의학적 효용'이냐, '남용의 위 ... ...
[이덕환의 과학세상] 교사자격증도 없이 교단에 서는 생성형 인공지능
2024.07.17
디지털 교과서-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2022 에듀테크 코리아 페어'에서 참관객들이 디지털 교과서를 체험하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내년 3월부터 학교 현장에 '인공지능 디지털 교과서'(AIDT)가 등장한다. '지식·개념 교육은 완벽한 수준별·맞춤형 교육을 제공하는 챗GPT와 같은 생성형 인공지 ... ...
"프로포폴, 뇌 흥분시켜 정신 잃게 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16
프로포폴이 무의식을 유도하는 매커니즘을 밝힌 연구결과가 나왔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한국에서 의료용 전신 마취제로 분류되는 프로포폴이 뇌의 안정성과 흥분성 사이의 정상적인 균형을 깨뜨려 환자의 무의식을 유도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전신 마취를 받는 환자를 모니터링하는 도구 ... ...
'응답하라 전공의' 무응답 일관…의대 교수들 "기본권 침해 탓"
동아사이언스
l
2024.07.15
임현택 대한의사협회 회장이 15일 오후 협회 회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의협 제공. 수련병원 전공의 복귀 또는 사직 처리를 완료해야 하는 디데이인 15일 전공의들의 복귀 움직임은 없었다. 의대 교수들은 전공의의 기본권을 침해하고 압박하기보다 ‘정책 바로 세우기’를 우선 시 해야 한 ... ...
빛으로 '기억 소멸' 조절…외상후스트레스장애 치료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7.15
우리 뇌에 강한 공포 기억이 제대로 사라지지 않으면 정신 질환인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의 원인이 될 수 있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우리 뇌에 극심한 공포 기억이 제대로 사라지지 않으면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의 원인이 될 수 있다. 국내 연구팀이 빛으로 기억 형성을 억제하는 단백질 활성 ... ...
탄소중립 위한 'CCUS 기술' 걸림돌 해결하는 나노촉매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7.14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연구팀이 이산화탄소 포집 장치의 전해질 범람 현상을 억제할 은 촉매를 개발했다. KIST 제공 발전소나 공장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CO2)를 포집해 저장하거나 유용한 물질로 재활용하는 CCUS(Carbon Capture, Utilization, and Storage) 기술은 탄소중립 실현에 기여할 기술로 주목받는 ... ...
알츠하이머 유발 단백질 엉킴 제거하는 세포 메커니즘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10
알츠하이머병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면역세포로 작용하는 미세아교세포의 새로운 메커니즘이 규명됐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국내 연구진이 알츠하이머병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면역세포로 작용하는 미세아교세포의 새로운 메커니즘을 규명했다. 알츠하이머병의 원인으로 지목되는 단백질 엉킴 ... ...
잇따른 화재 유발…폭발 없는 리튬 전지는 언제?
동아사이언스
l
2024.07.05
지난달 25일 경기 화성시의 리튬 배터리 제조 업체인 아리셀 공장 화재 현장. 화성=송은석 기자 silverstone@donga.com 지난달 24일 경기 화성시에 있는 리튬 전지 제조 공장에서 발생한 화재 참사로 30명이 넘는 사상자가 발생했다. 불과 일주일 뒤인 1일 새벽에는 서울 지하철 3호선에서 선로 유지·보수를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