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방
전시
계방
개봉
상연
전람
공시
뉴스
"
공개
"(으)로 총 10,609건 검색되었습니다.
공작새 깃털로 레이저 만들 수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7.29
사실을 확인하고 연구결과를 7월 1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츠'에
공개
했다. 공작 깃털은 색소 없이도 표면 미세구조를 통해 특정 파장의 빛을 반사하는 '구조색'을 낸다. 선명한 파란색과 녹색, 무지갯빛 스펙트럼 등 색소로는 구현하기 힘든 색을 구현할 수 있다. 레이저는 보통 ... ...
인간 면역체계, VR속 감염 위협만으로 경계 상태 돌입
동아사이언스
l
2025.07.29
작동한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연구결과를 28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네이처 신경과학'에
공개
했다.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 병원체는 체내에 침투하면 면역 반응을 유발한다. 병원체가 접촉해 감염이 진행되기 전에 뇌와 면역체계가 어떻게 반응하는지는 그동안 명확하지 않았다. 연구팀은 우리 몸이 ... ...
폭염 속 에어컨 바람과 겨울 추위 다르게 느끼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5.07.28
전달하는 신경회로를 규명하고 연구결과를 28일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공개
했다. 열 감지 경로가 온도에 따라 적절한 행동을 유도할 만큼 세분화돼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연구팀은 영상기술과 전기생리학 분석을 활용한 쥐 실험에서 피부에서 뇌까지 저온 자극이 전달되는 과정을 ... ...
걸을 때 생기는 정전기로 신경치료…배터리 없는 '간편 전자약'
동아사이언스
l
2025.07.28
성공했다고 28일 밝혔다. 연구결과는 23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공개
됐다. 신경 손상, 감각 저하, 신경 재생 지연 등 다양한 신경계 질환 치료에서 전자약이 주목받고 있다. 전자약은 신경세포에 전기 자극을 가해 손상된 신경 기능을 회복시키는 기술이다. 약물 방식보다 ... ...
수천겹 '전복 껍데기' 구조 모사한 유연·고강도 전자소재
동아사이언스
l
2025.07.28
28일 밝혔다. 연구결과는 6월 26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사이언스'에
공개
됐다. 기존 소재는 유연하면 쉽게 찢어져 변형되고 단단하면 쉽게 부러지는 '트레이드오프(trade-off)'가 발생한다. 연성과 강도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어렵다는 뜻이다. 웨어러블 전자장치를 구현하려면 구부리거나 ... ...
"기초과학, 한국의 또다른 '케데헌' 되길"…'과학자들의 올림픽' 2027년 인천 개최
동아사이언스
l
2025.07.28
최근 대규모 자연재해가 발생했을 때 국제 연구기관들이 피해국가 정보를 일정 기간
공개
한 사례가 과학의 공공성을 보여주는 예라고 설명했다. 이상묵 교수는 IUGG 총회를 계기로 ‘원 얼스 센터(One Earth Center)’ 설립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아시아 후발국의 젊은 과학 인재들이 한국에서 과학 ... ...
뇌신경 희귀 유전질환, 차세대 유전자가위로 '정밀 치료'
동아사이언스
l
2025.07.28
AHC)에 걸린 생쥐를 치료한 연구결과를 21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셀'에
공개
했다. 아동기교대반신마비증은 'ATP1A3'이라는 유전자의 돌연변이로 발생한다. 신경세포의 기능에 이상이 생기면서 전기적 신호 전달이 불안정해지면서 영아기부터 발작과 한쪽 마비 증상이 교대로 나타난다. 지적·운동 ... ...
네안데르탈인, 구더기가 주요 식단이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25.07.27
먹었을 가능성이 있다는 연구결과를 25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공개
했다. 과학자들은 30여년 전인 1991년 약 12만 90000~1만 1700년 전 ‘플라이스토세 후기’에 살았던 고대 인류 네안데르탈인 뼈에서 하이에나나 늑대와 같은 대형 육식 동물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많은 양의 ... ...
[표지로 읽는 과학] 해양보호구역서 불법 여전하지만 "지정 효과 유의미"
동아사이언스
l
2025.07.27
불법 어업의 빈도가 적다는 사실을 각각 발견하고 연구결과를 24일(현지시간) 사이언스에
공개
했다. 해양보호구역은 해양 생태계 중에서도 특히 어류 개체군을 보호하기 위해 설립된다. 해양보호구역마다 어업과 기타 활동을 완전히 금지하거나 일부 허용하는 등 보호 수준이 다양하다. ... ...
[동물do감] 가짜다리 건들자 화들짝…문어도 느끼는 '고무팔 착각'
동아사이언스
l
2025.07.25
사실을 발견하고 연구결과를 21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커런트 바이올로지'에
공개
했다. Kawashima et al.(2025)/Current Biology 제공 사람뿐 아니라 원숭이, 쥐 등 다른 포유류도 고무팔 착각이 일어난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무척추동물 등 신경계 형태가 다른 동물도 고무팔 착각을 일으키는지는 알려지지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