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부"(으)로 총 2,432건 검색되었습니다.
- ..??포스팅 l20240618
- 오늘이 18일 이잖아요..?? 원래 이 시간에 포스팅이 그렇게 많지 읺았는데 놀랍슴다 역시 부지란하지군요 ...
- 폭염이 계속되는 게 지구 온난화 때문이라고?기사 l20240617
- 이산화탄소 측정소를 세웠고, 측정소에서 계속 이산화탄소 농도를 기록하고 분석하였습니다. 킬링 곡선(Keeling curve)은 1958년 부터 현재까지 이산화탄소량이 증가하는 것을 보여주는 그래프로 처음 기록했을 당시에는 315.7ppm(1958년), 2023년에는 약 424ppm으로 증가하였습니다. 과학자들은 기후변화의 문턱을 약 400ppm ...
- 학교에서 경보 울렸습니다..포스팅 l20240612
- 학교 아침시간에 친구들과 대화하며 놀고있는데 각자 폰에서 엄청 크게 경보가 울렸습니다.. 다들 놀라서 패닉하고 있었죠.. 전쟁 중인 나라에서 경보가 울리지 않는 날이 있겠습니까.. 보니까 전북 부안쪽으로 지진이 났다는 거에요? ... 흔들림이 느껴졌습니다.. 기분 탓이라고 생각하고 학교가 끝나 하교했는데, 그걸 집에 있는 부모님마 ...
- 한강을 되살리다, 한강 종합 개발 사업기사 l20240611
- 건설했어요. (사진출처: 네이버 블로그) 한강 종합 개발 사업은 한강을 인공 하천으로 만들어 생태계가 빠르게 복구되지 못했다는 부정적 평가도 있지만, 한강의 기적을 마무리짓고 지금의 깨끗하고 찬란한 한강을 완성시킨 사업이며 한강 정비를 통해 수질을 개선하고 홍수를 효과적으로 예방했다는 평가가 더 많아요. 간단히 말하자면, 한강 르네상스 프로젝트 ...
- 역사 속으로! 경주 여행기!기사 l20240610
- 대표적으로 누워있는 주상절리, 서있는 주상절리, 부채꼴 주상절리 등이 있습니다. 전 파도소리 길에서 가장 유명한 주상절리인 부채꼴 주상절리를 촬영했습니다. 정말 정교하지 않나요? 저는 주상절리를 감상하고 숙소로 들어갔습니다. 3일차 오늘은 마지막날인 만큼 지금까지 배운 내용을 복습할 겸 국립경주박물관으로 갔습니다. 국립경주박 ...
- 이거 맞아요?포스팅 l20240610
- 20대의 청년의 얼굴과는 딴 판 이었다. 신비스러운 푸른색의 연기가 정장의 목 부분에서 피어 나오고 있었다. 게다가 그 연기의 몇 부분에는 감겨있거나, 또는 반쯤 감긴 눈 대여섯개가 무작위로 떠있었다. 처음엔 꽤 공포스러웠으나 어차피 죽었으니까- 하는 마음으로 말을 꺼냈다 "왜알유 프롬?" "앙?" "영어 못함?ㅋ" 'ㅋ'의 ...
- 바이오 블리츠 서울에 다녀와서 (푸른 수목원)기사 l20240609
- 관속식물은 수분 양분들 통로가 되는 조직을 가진 식물이고 선태류는 흔히 말하는 이끼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은 생활중 한부분이라도 강이나 하천의 바닥등에서 살면서 육안으로 개체가 구별되는 크기의 척추가 없는 동물을 뜻합니다. 저는 1일에는 어류를 2일차에는 조류를 하게 되었고 행사장에서 지사탐 대원 분들도 뵐수 있었습니다. 드디어 1일차 어류 ...
- 우리나라 현대사가 담긴 대한뉴스기사 l20240608
- 역사에 뒤안길로 사라졌어요. 대한뉴스의 국정 홍보 역할은 KTV 국민 방송이 대신 맡게 되었죠. 정부 선전 수단으로 써졌다는 부정적 평가도 있지만, 국가기록원은 한국 현대사의 주요한 맥락을 매주 기록해 나갔다는 점에서 역사적 가치를 가진다고 평가했어요. 그럼 이상으로 기사를 마칠께요~ 감사해요 ... ...
- 어제 규현 카이 낮공 후기 프랑켄포스팅 l20240607
- 한 인간이 있었네 그저 / 한 괴물이 있었네 )과 여러 상징들 덕분에 가장 좋아하는 넘버. 누구나 가지고 있을 상처, 그게 외부인지 내부인지는 중요하지 않다. 지워지지 않는다는 것이지. 이 장면에서 괴물이 의도적인 살인을 하며(어린 아이 물에 빠뜨림) 이제 ‘괴물’ 이라 불리던 생명체가 자신 스스로 그 푸른 선함을 깨뜨리고 악한 붉 ...
- 리만가설에 대하여기사 l20240607
- "비자명근이란 함수값이 0이 되지 않는 수이다. 실수부란 아래에 설명되어 있다여기서 R처럼 생긴 기호가 실수부, 다른 기호가 허수부다. 참고로 복소수를 쓸때 두 기호를 많이 쓴다그게 1/2라는 것이다. 이것이 리만 가설이고 소수 가설을 증명하는데 사용되는 것이고 소수 가설 자체를 의미 하는 것은 아니다. 이미 소수 가설 ...
이전1112131415161718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