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동쪽"(으)로 총 161건 검색되었습니다.
- 뻘뻘~ 비석이 땀을 흘린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080714
- 흘러들기 좋지요.” 이 때 똘똘한 냥냥이가 잽싸게 지형도를 건네 준다. “표충비가 있는 곳은 마치 커다란 대접처럼 북쪽, 서쪽, 동쪽으로 산이 아늑하게 둘러싼 분지 지형이에요. 마치 그릇에 담겨 있듯 찬 공기가 오래 머무르기 때문에 다른 지역의 비석보다 표충비의 온도가 훨씬 더 떨어질 수 있었던 거죠.” 이제야 비명대사의 얼굴에 의심의 빛이 사 ...
- 지구 곳곳, 무엇을 먹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080514
- 먹는 고기의 양은 14.1㎏밖에 되지 않아요. 호주 사람들이 차드 사람보다 7.5배나 많은 고기를 먹는 셈이지요. 이번엔 만난 가족은 차드 동쪽의 브레이드징 난민촌에 사는 아부바카르 씨 가족입니다. 아기까지 6명의 가족이 일주일 동안 먹는 음식이 이것뿐이라니 놀랍죠? 일주일치 식품을 사는 데 든 돈도 우리나라 돈으로 고작 1000원 정도랍니다. ...
- “에너지 팍팍!” 무릎 발전소어린이과학동아 l20080229
- 탐사선이네요. 실제로 어디까지 갔다 왔나요? 나는 2007년 12월에 처음 운항을 시작했는데, 그 동안 한 번도 멈추지 않고 푸에르토리코 동쪽에 있는 세인트 토마스 섬과 세인트 크로이 섬을 왔다갔다하고 있어요. 날 만든 연구팀에 따르면 앞으로도 6개월 동안은 지금처럼 움직일 수 있을 거래요. 그런데 구체적으로 어떤 활동을 하며 왔다 갔다 하는 ...
- 가마우지의 여행 태안의 자연을 찾아서(1)어린이과학동아 l20080131
- 태안[소제끝] 우선 하늘에서 태안을 내려다보니 가장 먼저 눈에 들어오는 건 구불구불한 해안선! 에헴! 아는 체 좀 해 볼까? 태안은 동쪽을 뺀 나머지 세 면이 모두 바다로 둘러싸인 반도야. 약 120개의 섬도 속해 있고, 한국에 유일한 해안국립공원도 있는 곳이지. 전형적인 리아스식 해안이라 해안선이 복잡해. 해안선의 총 길이는 530㎞로 서울에 ...
- 시간 공장, 새해를 만들다!(2)어린이과학동아 l20071229
- 시간의 기준입니다. 이 선을 기점으로 동쪽으로 12개, 서쪽으로 12개의 시간대가 결정되지요. 서쪽으로 1개씩 갈수록 1시간씩 느려지고 동쪽으로 1개씩 갈수록 1시간씩 빨라지죠. 후아~, 이게 잘못 되면 온 세계의 시간이 잘못 되기 때문에 정말 조심해서 만들어야 한답니다. 이 선을 처음 만든 이유는 기차 때문이었어요. 19세기 후반 ...
- 호수가 빚은 말의 귀,,,, 마이산어린이과학동아 l20071213
- 전라북도 진안군의 마이산은 멀리서 보면 마치 쫑긋 세운 말의 두 귀와 비슷해요.‘ 마이’란 바로 말의 귀라는 뜻이에요. 가까이 다가가면 마이산은 거대한 콘크리트 더미처럼 보여요. 1억 년 전쯤 이 곳은 아주 커다란 호수였어요. ... 산들이 만들어졌어요. 마이산은 이런 산의 하나예요. 절벽에 움푹 팬 구멍들은 박혀 있던 자갈이 빠져나간 자국이에요. 마이산 ...
- 속이 다 보이는 투명 개구리어린이과학동아 l20071031
- [소제시작]사이언스 시간여행 과거속으로[소제끝] 1880년 11월 1일 대륙이동설 제안한 알프레드 베게너 출생 베게너는 아프리카 대륙의 동쪽 해안과 남아메리카 대륙의 서쪽 해안이 퍼즐을 맞추듯 잘 들어맞는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대륙이동설을 주장했다. 그는 멀리 떨어져 있는 두 해안에서 비슷한 동물의 화석이 나오고 옛날 기후의 흔적이 비슷하다는 ...
- 태왕사신기-사신의 부활어린이과학동아 l20071031
- 쇠, 불, 물, 흙이라는 다섯 가지 기운에 의해 이루어진다는 이론이다. 오행의 기운이 작용하는 다섯 가지 방위를 ‘오방’이라고 하며, 동쪽은 나무, 서쪽은 쇠, 남쪽은 불, 북쪽은 물, 중앙은 흙의 기운이 다스린다고 여겼다. 이러한 오행론을 따르던 고구려 사람들은 오방을 신령스러운 동물인 ‘오신’이 지킨다고 생각했고, 청룡, 백호, 주작, 현무 ...
- 오락가락~ 변덕쟁이 가을 날씨어린이과학동아 l20071011
- 이르렀단다. 일단 육지로 올라온 태풍은 더 이상 열과 습기를 얻지 못해 힘이 약해진단다. 이런 태풍은 서쪽에서 부는 바람을 타고 동쪽으로 빠져나가면서 일생을 마쳐. [소제시작]하루에도 몇 번씩 변덕부리기[소제끝] 아침에 이불에서 나오면 으스스~ 찬기가 몰려들지? 낮에 뛰놀다 보면 은근히 더울 거야. 하루 동안 달라진 기온의 정도를 ‘일교차’라고 ...
- 과학자들의 수다 최고 과학자 3인은 누구?(1)어린이과학동아 l20070920
- 천구)에 붙어서 지구 둘레를 돈다고 생각했지. 하지만 내가 수성, 금성, 화성, 목성, 토성의 움직임을 관찰해 보니 태양이나 달처럼 동쪽에서 서쪽으로 이동하지만은 않더군. 뒤로 가기도 하더라 이 말이야. 거 참 이상하지 않나? 그래서 고민 끝에 그 다섯 개의 행성은 원래의 원 위에 또 다른 작은 원을 따라 운동한다고 결론내렸지. 어떤가? 그게 ...
이전111213141516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