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교수"(으)로 총 996건 검색되었습니다.
                                            
                                                        - 바다거북 탐사대 in 야쿠시마기사                                        l20230613
- 비가 너무 많이 와서 이보윤 연구원님의 이야기책을  들었습니다. 가는데 원숭이가 나와서 기뻤습니다. 그런데 원숭이들이 정이권 교수님을  경계해서 웃겼습니다. 해변으로 이동 후 저녁을 다른 사람들 보다 빨리 먹은 저는 해변에 나가봤는데 거북이가 1미터 30센티미터 정도 해변에서 가까이 해엄쳐서 놀랐습니다.   시간이 흐르고 밤 9시 30분 쯤 바 ...
                            
                                                        - 바다거북탐사대 in 야쿠시마기사                                        l20230611
- 있어서 호텔 로비로 나와서 기다렸습니다. 내용은 바다거북이와 야쿠시마 원숭이에 대한 이야기였습니다. 바다거북이는 장이권 교수님이 말씀 해주셨는데 바다거북이가 비닐 봉지와 보트 스크류 때문에 위험에 처해있다고 하셨습니다. 이보윤 연구원은 야쿠시마 원숭이를 소개해주셨습니다. 야쿠시마 원숭이는 털이 검고 몸집이 본토 원숭이 (일본 야쿠시마를 빼고 일 ...
                            
                                                        - 오늘 만큼은 나도 소방과학자!기사                                        l20230607
- 과학실,실험실에서 쓰는 소형 가열기구 마지막으로 실험 사진 보고 가시죠.         실험기구를 준비해주신 성동소방서,경민대학교 교수님과 대학생 언니오빠들에게 감사드리고            이 기사를 읽어주신 모든 분들에 게 감사합니다 ... ...
                            
                                                        - [챌린지] 누리호 3차 발사기사                                        l20230520
-  우주에서의 지구 관측 데이터는 해양 환경 오염, 산림 생태 변화, 북극 해빙 변화에 사용됩니다. 위성 개발을 이끈 카이스트의 장태선 교수는 "누리호에 대한 SAR의 해상도가 세계 최고는 아니지만, 개발 과정에서 국내 연구원들이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차세대 소형 위성 2호도 지구에 가까운 궤도에서 우주 방사선을 관측할 예정입 ...
                            
                                                        - 왜 경의중앙선은 늦게 올까? [챌린지 4/8]기사                                        l20230425
- 온다.   게다가 툭 하면 지연되서 정말 짜증이 나기도 하는데, 경의중앙선은 왜 제시간에 도착하지 못할까?   한국교통대 이상호 교수가 말한 것을 써 드리자면, "중앙선 청량리역 부터 망우역 사이 구간에 선로 용량이 별로 없습니다. 차도로 설명을 드리자면 2차로 밖에 없는데 차는 많이 다니는 그런 상황 인 겁니다."   경의중앙선 열차가 계속  ...
                            
                                                        - 백두산이 폭발하면 우리나라는 괜찮을까?[챌린지 8/8]기사                                        l20230425
- 않을까? 등등   주변을 초토화 시킬 여러가지 시나리오가 있다.   백두산 폭발 연구 전문가이자 기상청 화산특화연구센터장인 윤성호 교수에게 물어보니 이중 한국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것은 '화산재' 라고 했다. 특히 백두산 주변 바람의 영향에 따라 피해가 커질 수도 있다. 보통은 백두산이 있는 지역은 편서풍이 분다. 그러면 화산재가 동쪽으로 가지만 ...
                            
                                                        - 소식가들은 조금 먹어도 죽지 않을까? [챌린지 6/8]기사                                        l20230424
-  저처럼 치킨 반인분은 소식이지만, 라떼 한잔 마시고 버티시는 분들은 절식 입니다. 그 질문에 대한 윤지현 서울대 식품영양학과 교수님의 말씀을 요약하자면   "정말 하루에 바나나 1개를 먹고, 무슨 라떼 한잔을 먹고 버틴다는 건 사실은 계속 그렇게 먹으면 죽을 걸요? 단기간적으로는 그렇게 먹어도 생명에 지장이 없죠, 그렇게 계속 먹으면 언젠가  ...
                            
                                                        - 눈 감고 큐브 맞추는 방법기사                                        l20230424
- 언제 어디서 만들어 졌는지와 기타등등(1.) 눈 감고 큐브 맞추는 방법입니다.(2.)       1.1974년 헝가리의 응용미술대학 디자인과 교수였던 에르뇨 루빅으로부터 만들어 졌습니다. 이젠 우리나라도 큐브대회가 많이 열립니다. 이젠 눈 감고도요!!!       2.눈 감고 어떡해하지? 고민하면 보통 색!그래 색을 암기하자 라고 생각 할 것입 ...
                            
                                                        - MBTI: 소개편기사                                        l20230423
- 아니었으므로 여러 교수들과 박사들에게 좋지 않은 시선을 받기도 했습니다.   최초의 MBTI 매뉴얼은 1962년에 출판되었고, 이후 몇몇 교수들에게 지원을 받게 됩니다.  앞서 소개하였을 때 마이어스-브릭스 유형 지표의 줄임말이 MBTI라고 하였는데 이 때 마이어스-브릭스가 바로 두 모녀의 이름을 따 온 것이라고 합니다. 3. MB ...
                            
                                                        - 제11회 지구사랑탐사대 발대식을 다녀와서 [4/8]기사                                        l20230421
-   가장 먼저 동/식물 과의 만남, 비슷한 것을 좋아하는 사람들과의 만남, 그리고 나와의만남이 있다고 하셨습니다.  장이권 교수님의 연설이 끝난 뒤에 다른 연구원님들이 나와서 "심화 프로젝트-시민 과학프로젝트"를 설명하셨습니다.    2022년 10회 지사탐에서는 시민 과학 프로젝트가 많이 없었는데, 올해에는 갑자기 확 늘어났습니다.  총 11 ...
                            
 이전1112131415161718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