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후속"(으)로 총 325건 검색되었습니다.
- [Tech & Fun] 음주 기자 친구의 술 체질 허와 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학술지 ‘인간분자유전학’). 최 교수는 “알코올과 관련된 또 다른 유전자를 찾기 위해 후속 연구를 했는데, 아시아 사람들에서는 결국 ADH와 ALDH 유전자가 가장 중요하다는 점을 확인했다”며 “알코올 중독 환자들에게 ALDH 유전자를 방해하는 마이크로 RNA를 주입해 술을 잘 못 마시는 체질로 ... ...
- [Tech & Fun] 걸어서 대형연구소 속으로 ➌ 오크리지 국립연구소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은 5년마다 새로운 슈퍼컴퓨터를 세상에 내놓는다. 현재도 IBM, 인텔 등과 함께 타이탄의 후속 슈퍼컴퓨터인 ‘서밋(Summit)’을 개발하고 있다. 서밋의 목표는 150∼300페타플롭이다. 2018년 최종 개발을 목표로 소프트웨어를 담당하는 ORNL 연구원과 하드웨어를 담당하는 기업 연구원들이 매달 직접 만나 ... ...
- [지식]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_저르퍼시의 추측수학동아 l2016년 02호
- 그런데 논문이 15쪽으로 매우 짧아 많은 수학자들이 놀랐습니다. 현재 두 수학자는 후속 연구로 이와 관련된 더 어려운 문제, 다른 저르퍼시의 추측을 해결하고 있습니다.저르퍼시의 추측은 그래프 색칠 문제로 바꿔 생각해 볼 수가 있습니다. 시험을 보는 N명의 학생 하나하나를 꼭짓점으로, 서로 ... ...
- [News & Issue] 금성에 5년 지각, “그래도 잘 부탁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잡아냈다. 비너스익스프레스와의 공동관측을 하지는 못했지만, 그 바통을 이어받아 후속 연구를 할 수 있게 됐다. 물론 아쉬운 점도 많다. 아카쓰키가 진입한 궤도는 5년 전 계획했던 것보다 금성으로부터 훨씬 멀리 떨어져 있다. 원래 계획된 궤도라면 금성으로부터 가깝게는 300km, 멀게는 8만km ... ...
- [Knowledge] 강철이 연료가 되는 세상과학동아 l2016년 02호
- 넣어 폭발시키겠다며 금속 연료용 엔진의 개념도까지 공개했다. 그러나 연구는 실패했고 후속 연구도 모두 사라졌다. 접촉을 시도해 봤지만 현재는 연구 책임자마저 연락이 닿지 않는 상태다. 성 교수는 “비슷한 시도들이 있었지만, 대부분 원하는 출력을 지속적으로 얻지 못하거나 경제성과 ... ...
- 가장 번성한 동물 사회의 비결은?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8호
- 개체들이 서로 혈연으로 연결돼 있는 경우도 많았지만, 남남인 경우도 있었어요. 후속 연구를 통해 친족 관계보다는 과거에 피를 나눠 준 경험 때문에 박쥐가 피를 나눠 주는 것으로 나타났지요.남남끼리도 도움을 주고받는 호혜 이타주의남남끼리의 이타행동은 흔히 ‘협동’으로 알려져 있어요. ... ...
- [Hot Issue] 남의 고통은 나의 행복?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사람이 근본적으로 악하다는 ‘성악설’을 지지하는 근거가 될지도 모른다. 다양한 후속 연구가 잇따르고 있기 때문이다.미국 하버드대 심리학과 미나 시카라 교수는 지인이 안 좋은 일을 당했을 때, 평소 그에 대해 느꼈던 부러움이 클수록 기쁨에 해당하는 생리적인 반응이 나타난다는 연구 ... ...
- PART6. 일반상대성이론 뒤집히나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수정해야 한다는 증거는 관측되지 않았다. 드발리의 다차원 모형 역시 필자를 포함한 후속 연구에서 관측된 자료와 맞지 않았다. 하지만 수정중력 모형은 점점 진화해나가고 있다. “상대론을 수정해야 할지도 모른다”고 생각할 수도 있는 현상은 점점 많이 보고되고 있다. 드발리가 다차원수정 ... ...
- PART2. 쇼미더에볼라 '에볼라 잡을 대망의 치료제는?'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서아프리카 기니에서 얻은 자료를 바탕으로 ‘티케이엠-에볼라-기니’라는 후속 시리즈를 준비 중입니다. ★3위★ 아비-7537 아비-7537은 형제가 많습니다. 7539, 7287, 7288 등이죠. 암호 같은 숫자는 에볼라 유전자를 뜻합니다. 예를 들어 7537은 VP24, 7539는 VP35 유전자와 결합합니다. 많은 형제 중 7537이 .. ...
- [Hot Issue] 두 발 괴물, 빅풋은 없었다!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연구팀은 히말라야 곰이 지금은 멸종한 고대 곰과 갈색곰의 잡종인지를 알아내기 위해 후속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어쩌면 지금까지 몰랐던 진화의 비밀을 새롭게 밝힐 수도 있다는 얘기다.연구팀은 신비동물학자들이 새로운 희망을 품고 숲으로 돌아갔다고 전했다. 빅풋의 존재를 밝힐 황금의 털 ... ...
이전1112131415161718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