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후기"(으)로 총 544건 검색되었습니다.
- [Tech & Fun] 두근두근♡실습일지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수업의 실습이었다. 윤정이 꾸벅꾸벅 졸고 있을 때, 나긋나긋한 목소리의 교수는 데이트 후기 레포트였던 이 수업의 기말 레포트가, 데이트 채점을 위해 특별히 고안한 AI가 실습 후 채점하는 시스템으로 바뀌었다는 이야기를 했다. 학기 중에 한 시간 반씩 네 번 로봇과데이트를 하는 실습이었다. ... ...
- [Tech & Fun] 음료만 마셔도 릴렉스~ 된다고요?과학동아 l2016년 07호
- ‘그런 음료는 애초에 안 들어왔다’는 말만 듣고 나오길 수차례. 인터넷에 마셔봤다는 후기들은 계속 올라오는데 기자만 못 구하는 건지 유통사에 문의해 봤다. 한국쥬맥스 관계자는 “갑자기 판매량이 수십 배 급증해 국내 재고는 전량 판매됐고, 재입고는 7월에나 가능할 것”이라 답했다.올해 ... ...
- [수학뉴스] 서울교육청, 특목고와 자사고를 일반고로 통합할까?수학동아 l2016년 04호
- 것도 문제점으로 들었습니다. 전기에서 원하는 학교 진학에 이미 한 번 실패한 학생이 후기 일반고에 진학했을 때 만족하지 못할 것이라는 거지요.김 교수팀은 문제점을 토대로 개편 방안을 단기와 중장기로 나눠 제시했습니다. 먼저 단기적으로는 일반고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교사 1명당 ... ...
- [Knowledge] 공룡의 그늘 밑에서 살아 남아라!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다른 동물이 사라진 틈을 타 그 역할을 대신했다. 가장 대표적인 예는 마다가스카르의 후기 백악기 마에바라노층에서 발견된 시모수쿠스다.아프리카 남동쪽에 위치한 마다가스카르 섬은 백악기 때도 지금처럼 고립된 곳이었다. 당시에는 모든 대륙에서 초식공룡인 갑옷공룡이 존재했는데, 이들은 ... ...
- [Tech & Fun] 의자 없앤 사무실 잘못하면 건강 망친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일하는 동안 좀 더 자주 움직일 생각이다. 이것도 참 어려운 일이지만 말이다.편집자 후기이 기사를 쓰고 한 달 정도 최 기자를 봤는데 전보다 자주 움직인 것 같진 않았다. 사람 습관 무섭다 ... ...
- [Knowledge] 직립보행의 선구자 원시 악어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발견된 에피기아의 경우, 처음 발견됐을 당시에 공룡으로 분류됐을 정도다. 미국의 후기 트라이아스기 쿠퍼캐니언층에서 발견된 슈보사우루스도 타조공룡으로 분류된 적이 있다. 이렇게 원시 악어와 공룡이 유사한 모습으로 진화하게 된 이유는 서로 살아가는 방식이 유사해서인 것으로 추정된다. ... ...
- [Knowledge] 러닝 머신에 올라간 동물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00m 고도에서 겨울잠을 자고 있는 아메리카흑곰(Ursusamericanus ) 6마리를 찾아내 동면 초기와 후기에 각각 근육의 힘과 피로 저항도 등을 측정했다.그 결과, 곰은 동면한 지 110일 만에 근력의 약 29%를 잃었다. 누워만 있었으니 당연한 거 아니냐고? 동면하지 않는 동물, 예컨대 인간이 이렇게 지낸다면 ... ...
- [수학동아클리닉] 수학실험실_사라진 어진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6년 03호
- 무척 엄격한 기준으로 초상화를 그렸기 때문에 수준이 높을 수밖에 없었습니다.조선 후기 초상화 작가들은 회화적 표현기법을 크게 발전시켰습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이런 기법은 일제강점기를 거치며 거의 사라지고 말았습니다. 남아있는 작품을 더욱 소중하게 여겨야 하는 이유입니다.긴 ... ...
- 만약에~ 공룡이 멸종 하지 않았다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않았다면 인류형으로 진화하지 않았을까요?공룡의 진화를 꿈꾸는 과학자들은 백악기 후기에 살았던 수각류 트로오돈을 주목했어요. 공룡 중 몸집에 비해 뇌 크기가 가장 크고, 커다란 눈은 정면을 바라볼 수 있을 정도로 모여 있거든요. 앞다리의 발가락 세 개는 관절이 발달해 거의 인류 수준으로 ... ...
- [Knowledge] 파충류의 속사정2 하늘의 거인 케찰코아틀루스과학동아 l2016년 02호
- 하늘을 날 수 있었을까. 미국 텍사스 주에는 7000만 년 전에서 6650만 년 전 사이에 형성된, 후기 백악기 지층인 자벨리나층(Javelina Formation)이 있다. 1971년 미국 텍사스대지질학과의 대학원생이었던 더글러스로슨은 이 지층에서 놀라운 발견을 했다. 감귤만 한 크기의 뼈 화석 하나가 사암층언덕에 박혀 ... ...
이전1112131415161718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