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효과
효험
효력
영향
효용
유효성
결과
d라이브러리
"
효능
"(으)로 총 389건 검색되었습니다.
암세포만 찔러 죽이는 바이러스 항암제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지금까지 항암 바이러스를 이용한 모든 임상시험에서는 바이러스를 암세포에 직접 넣어
효능
을 확인해 왔다. 따라서 암세포가 몸속 깊은 곳에 있거나 민감한 장기에 퍼졌을 때는 주사하기가 힘들었다. 그러나 이번 임상시험 결과는 항암 바이러스를 정맥주사제로 쓸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줬다. ... ...
[knowledge] 고대 화장품은 현대 화장품과 다르다? 같다!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치료 목적으로 개발했다가 환자들의 얼굴에서 피부 탄력과 주름이 개선되는 뜻밖의
효능
을 발견하면서 화장품에 결합했다. 레틴A는 각질층에 쌓인 늙은 세포는 떨어져 나가게 하는 반면 젊은 세포는 성장을 촉진시켜 피부를 젊은 세포로 회복하게 만든다. 레티놀은 레틴A에서 만든 유사품으로 공기 ... ...
Part 2. 건강기능식품 돈 값 못한다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효과가 있다.] 하지만 한국보건의료연구원의 2010년 보고서에 따르면 글루코사민의
효능
은 알려진 것보다 제한적이다. 이 보고서는 글루코사민에 관한 국내외 임상연구 37편을 종합 평가했다. 퇴행성관절염 환자에게서 통증이 줄고 관절의 기능이 향상됐지만 서로 상반된 결과가 있어 효과가 있다고 ... ...
쥐, 인간을 구하다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ErbB2) 유전자를 억제하는 치료제예요. 많은 사람들이 이 약으로 유방암을 고쳤죠.
효능
이 엄청 좋았었나 봐요. 그런데 얼마 지나지 않아 이 약을 먹고 심장병으로 죽는 환자가 나타났대요. 환자 보호자들은 약의 부작용 때문이라고 회사를 상대로 소송을 걸었어요. 그러나 개인이 거대한 회사에 ... ...
주삿바늘 없는 독감 백신 나왔다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활성화시킨다. 따라서 다양한 바이러스를 공통으로 방어할 수 있는 것이다.플루미스트는
효능
을 인정받아 지난 2003년 미 식품의약국(FDA)의 승인을 받았다. 지금까지 미국에서만 2700만 명이 인플루엔자 백신으로 플루미스트를 사용했다. 신종플루가 기승을 부렸던 지난해에는 플루미스트를 신종플루 ... ...
Part 1. 비타민, 추락하다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여러 건강기능식품에서도 동일하게 벌어지고 있다. 최근 셀레늄이나 글루코사민도
효능
이 없다는 연구 결과가 나오지만 여전히 팔리고 있다. ‘과학적으로 입증’됐다는 광고를 한 번 더 깊이 생각하고 바라보는 혜안을 가져야 한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건강기능식품 먹으나 마나 ... ...
게보린 먹어도 되나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단정지을 수 없다고 했다. 단 국민들의 감정과 불안을 고려해 ‘IPA 함유 의약품의
효능
과 효과를 ‘진통 및 해열 시 단기 치료’로 제한하고, 15세 미만 소아는 투여를 금지하며, 수회(5~6회) 복용해도 나아지지 않으면 복용을 중지하고 의사 또는 약사와 상의해야 한다’는 조치를 내렸다. 독일과 ... ...
가장 무섭고 편안한 집짓기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고통스러웠다. 히스타민으로 대표되는 말벌 독의 성분은 페니실린보다 1만 배 이상의
효능
이 있고, 꿀벌 550마리에 해당하는 독소를 갖고 있다.이렇듯 말벌은 대표적인 경계색과 강력한 독성 무기를 갖고 있고 무리 지어 살면서 엄청난 힘을 갖고 있으므로 모든 종류의 곤충이 열심히 닮으려는 ... ...
식중독 백신 개발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이틀밖에 걸리지 않는다”고 덧붙였다.연구팀은 이번에 개발한 백신을 실험용 쥐를 통해
효능
을 확인했다. 백신의 부작용인 열, 체중감소 등 감염 증상도 보이지 않았다. 리 교수는 “세계적으로 매년 2100만 명이 노로바이러스성 식중독에 걸린다”며 “앞으로 단백질 옷을 입히는 방식으로 다른 ... ...
아삭 아삭! 특별한 김치를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21호
식품영양학과 교수): 이 곳은 우리나라의 제1호 법정 김치연구소로, 김치의 여러 가지
효능
과 저장 방법, 숙성 조건 등을 연구해 오고 있어요. 그 결과 김치가 몸에 나쁜 지방을 줄여 주고 암이나 당뇨병, 노화를 막는 똑똑한 식품이라는 것이 밝혀졌답니다. 김치의 우수성이 과학적으로 뒷받침되면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