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현대사회"(으)로 총 1,189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평범한 발상, 비범한 과학자를 만나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시즌 1에서는 주로 혈연 사이의 이타성이 어떻게 형성됐는지를 중심으로 현대 진화론의 형성 과정을 살펴봤다. 시즌 2에서는 여러 가지 세부 주제들을 탐구한다. 먼저 비친족간 상호성이다. 가족도 친척도 아닌 생판 ‘남’을 우리는 왜 서로 돕고 있을까.여러분은 오늘 혼자 목욕탕에 왔다. 열심 ... ...
- [수학동아클리닉] 수학으로 만나는 우리 고장의 근대역사수학동아 l2016년 12호
- 지난 화에 이어 대구 근대문화골목에서 매스 투어를 계속해 봅시다. 골목을 둘러보며 여러 가지 숫자와 도형, 규칙을 쉽게 찾을 수 있었습니다. 남은 일곱 가지 미션도 수학의 눈으로 해결해 볼까요?대구의 일곱 가지 역사 이야기대구 근대문화골목에서 해결할 첫 번째 미션은 과거 사과로 유명했던 ... ...
- [Knowledge] 뉴턴에 날개 달아준 여성 물리학자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2017년은 뉴턴의 ‘프린피키아’가 출간된 지 330주년이 되는 해다.출간 당시 뉴턴을 지지하는 과학자들은 그의 새로운 물리학을 알리기 위해 노력했다.여기에는 잘 알려지지 않은 사람도 포함돼 있다. 바로 소수의 여성 과학자들이다.당시 과학은 여전히 남성이 주도하는 학문이었지만, 그럼에도 여 ... ...
- [Knowledge] 뒤섞인 시체들의 신원 파악은?과학동아 l2016년 12호
- “그 구덩이엔 아홉 구 묻을 거니까 좀 더 깊이 파”, “이쪽 구덩이로 시체 한 구 더 옮겨와.”사람들은 숨을 거칠게 몰아 쉬며 지시에 따라 구덩이마다 시체를 넣기 시작했다. 시체가 한 구 놓인 구덩이가 있는가 하면 많게는 아홉 구가 들어간 구덩이도 있었다. 분주히 시체를 옮기는 사람들 사이 ... ...
- [Interview] 우주생물학자의 ‘발칙한’ 문명 재건법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책을 썼다.“솔직히 이 책은 종말과는 아무런 관계가 없어요. 말하고 싶었던 건, 현대사회가 작동하는 방식이었습니다. 우리는 활과 화살을 들고 직접 사냥하지 않아도 배불리 먹을 수 있죠. 이것을 가능하게 해주는 숨은 공로자들 말이에요.”물론 한정된 지면에 모든 과학기술을 정리할 수는 ... ...
- [Tech & Fun] 로봇 의수의 혁신 ‘아이림’과학동아 l2016년 11호
- Electronic Hand스타워즈에 등장하는 로봇 의수를 꿈꿀 수 있게 된 것은 전자공학이 등장한 뒤부터다. 전자공학의 역사는 트랜지스터가 발명된 1948년부터 시작됐다. 복잡한 연산을 빠르게 할 수 있는 집적회로(IC)가 만들어졌고, 인간의 두뇌와 같은 역할을 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가 개발됐다.이제 남아 ... ...
- [Tech & Fun] 외로우니까 사람이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지난 해 통계청이 조사한 결과를 보면 우리나라 1인 가구의 수는 전체 가구의 25%를 훌쩍 넘는 520만 명이다. 사회가 점차 고령화되고 초혼 연령이 늦어지면서 1인 가구가 부쩍 늘어났기 때문이다. 문제는 1인 가구가 증가하면서 사회적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가 생겼다는 것이다. ‘외로움’이다. 올해 ... ...
- [Tech & Fun] 과학은 네트워크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지구가 지금의 지구인 데는 이유가 있다. 수많은 천체와 힘겨루기를 한 결과다. 액체 물로 된 바다, 생명력을 주는 바람과 비, 발 딛고 설 단단한 토양 등 지구가 원래 가진 속성이라기보다 우주라는 네트워크가 만든 우연한 결과다. 만약 우주를 이루는 요소 중 하나가 갑자기 사라지면 그 이후 지구 ... ...
- [포커스 뉴스] DNA에 새겨진 아프리카계 미국인의 비극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최근 아프리카계 미국인 4000여 명의 DNA를 분석한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지금까지 대규모 유전 연구는 대부분 유럽계 인구를 대상으로 했다. 유전자에는 아프리카계 미국인이 살아온 격동의 역사가 낱낱이 기록돼 있었다. 유전자에는 역사가 기록돼 있다. 어떤 민족이 대규모로 다른 지역으로 이주 ... ...
- [Career] “기계 없는 현대는 상상할 수 없죠”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우리는 이동하는 매 순간, 기계를 만난다. 그만큼 기계는 우리 삶에 있어 지배적인 존재다. 공학에서도 마찬가지다. 컴퓨터공학, 생명공학 등 많은 공학이 기계의 도움을 받고 있다. 지난 8월 5일에 만난 이관중 서울대 기계항공공학부 교수는 “기계항공공학은 현대 공학 그 자체”라며 “다른 모든 ... ...
이전1112131415161718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