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해독"(으)로 총 67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DNA는 의외로 수다스럽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말했다(doi:10.1016/j.fsigen.2015.12.012).▼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그날’의 사건을 해독한다 新 DNA 과학수사Prologue. 당신, 도대체 누구야?Part 1. DNA는 의외로 수다스럽다Part 2. 미생물은 모든 것을 알고 있다Part 3. DNA로 몽타주를 그릴 수 있을까Bridge. D ...
- [과학뉴스] 고래의 짝짓기를 엿보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짝짓기 행동에 관한 새로운 해독법이 나왔다. 캐나다 댈하우지대 다라 오르바흐 연구원 팀은 지난 4월 22~26일 미국 시카고에서 열린 ‘2017 실험생물학 연례회의’에서 고래 암컷과 수컷의 생식기 모양을 시각화해 짝짓기가 어떻게 진행되는지 발표했다.짝짓기를 할 때, 바닷물이 암컷의 자궁으로 ... ...
- Part 3. 암 치료, 두 가지 트렌드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수 있다.이런 검사를 개발하는 데에는 다량의 DNA를 한꺼번에 해독하는 차세대 염기서열 해독 기술(NGS)이 밑바탕이 됐다. NGS는 혈류 속 돌연변이 DNA를 한꺼번에 관찰할 수 있다. 폐암처럼 기존에 알려진 암의 특정 돌연변이를 추적하는 과거의 방식보다 암을 진단하는 민감도가 훨씬 높다.국내 ... ...
- 인터뷰. 육군사관학교 수학과 교수 박석봉수학동아 l2017년 06호
- 다를 뿐이지요. 예를 들어 정수론과 암호학을 이용해 군에서 사용하는 암호를 생성하고 해독하는 수학적 이론을 배우고, 미분방정식을 이용해 전투 모델링을 하는 방법을 배우지요. 그런데 육군사관학교에서만 들을 수 있는 수업이 있습니다. ‘운영 분석’이라는 과목입니다.운영 분석이 ... ...
- Part 3. 수학으로 만든 보드게임수학동아 l2017년 05호
- 컴퓨터는 정보를 2진수로 보낸다. 전송하는 과정에서 오류가 없다면 정보를 정확하게 해독할 수 있지만, 어떤 경우 0을 1로 하나만 잘못 보내도 큰 문제를 일으킨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수학자는 정보를 받는 사람이 스스로 오류를 발견할 수 있는 방법을 고안했다. 그 중 하나가 해밍부호다 ... ...
- [Career] 미래 도시 농장의 초석을 놓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것”라고 말했다.연구팀은 일 차 대상 식물로 애기장대를 선정했고, 이미지 정보를 해독해 215가지 생리적 지표들로 생육상태를 정량화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해 학술지 ‘프론티어즈 인 플랜트 사이언스’에 지난 2월 23일에 발표했다. 애기장대는 크기가 손가락 두 마디 정도로 작고, 2만8000여 개의 ... ...
- [Future] 기억의 우주에서 불멸이 되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만들었던 것처럼 말이다. 물론, 아직은 해마칩에서 측정되는 신경 신호를 읽어 내서 해독하는 것은 기술적으로 불가능하다.하지만 오늘날의 바이오닉 기술들도 모두 상상에서 시작됐다는 사실을 떠올린다면 50년, 아니 30년 뒤에는 인터넷 상의 정보를 머릿속에 다운로드 받는 것이 당연해질지도 ... ...
- 뇌 속 내비게이션의 길 찾기 전략 4과학동아 l2017년 04호
- 그들이 가진 302개의 세포와 8000여 개의 연결망이 20여년의 연구 끝에 모두 해독됐다. 반면 인간 뇌의 신경망 수는 1000조 개에 달하는데다, 매 순간마다 변화를 거듭한다. 새로운 연결이 생겨서 굵어졌다가도 어느새 사라져버리고 만다. 새로운 곳으로 이사하면 그곳의 지리, 사람 등 온갖 정보를 다시 ... ...
- Part 2. 변신의 귀재, 인플루엔자의 똑똑한 생존전략과학동아 l2017년 02호
- 번 거칠수록 더 많이 달라진다. 현재 유행하고 있는 인플루엔자바이러스의 유전정보를 해독한다고 해도 100% 방어할 수 있는 백신을 만들기가 어려운 이유다. 또 매년 다른 인플루엔자바이러스가 유행하는 이유이기도 하다.에이즈와 에볼라도 RNA바이러스가 옮긴다. 하지만 인플루엔자는 이들보다 ... ...
- Part 4. 바닷가재의 장수 비결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2호
- 발견됐지요.연구팀은 바닷가재의 심장과 피부, 근육 등의 세포를 추출해 유전 정보를 해독했어요. 그 결과 염색체 끝부분에서 같은 유전 정보가 반복된다는 사실을 발견했지요. 연구팀은 텔로머레이스 효소가 활성화되어 끝 부분이 계속해서 복제됐고, 그 결과 바닷가재의 텔로미어가 짧아지지 ... ...
이전1112131415161718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