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틀"(으)로 총 843건 검색되었습니다.
- [맛있는 수학] 함수 품은 블랑망제 푸딩수학동아 l2019년 04호
- 19세기 빅토리아 시대의 요리책인 ‘원의 매일 요리법’에서 푸딩의 형태를 만드는 틀을 보고 이름을 떠올렸다고 해요. 톨은 블랑망제 함수의 이름에 대해 이렇게 말했어요. “타카기가 발견했으니까 타카기 함수라고 부르는 게 맞을지도 모르겠어요. 아마도요. …하지만 블랑망제라는 이름이 ... ...
- [동아리탐방] 수학 보드게임 들고 전국으로! 거제연합수학동아리수학동아 l2019년 03호
- 참여할 기회를 준 것이다. 2016년에 활동한 학생들이 조 교사와 함께 보드게임의 틀을 잡았다면 2018년에 활동한 학생들은 게임을 더 재미있게 개선하는 역할을 했다. 그렇게 완성한 게임의 이름은 ‘시크릿 피겨’와 ‘오차내차’다.체험전 참가하며 재미 업그레이드2018년 1년 동안 조 교사와 ... ...
- [큐레이터조의 수학미술관] 일상용품을 예술 작품으로~ 마르셀 뒤샹의 ‘샘’수학동아 l2019년 02호
- 누군지 눈치 채셨다고요? 네, 바로 프랑스 출신의 미국 예술가 마르셀 뒤샹입니다. 틀에 갇힌 창조와 해석의 미를 근본적으로 바꾸려던 뒤샹은 ‘개념미술’이라는 새로운 예술 세계를 열며 현대 미술의 선구자가 됩니다. 변기를 작품으로 만드는 기발함이 지금에 와서는 *레디메이드 개념을 ... ...
- [스타쌤의 수학 공부꿀팁] 몸 쓰는 수학 공부법수학동아 l2019년 02호
- 예를 들어 여러 명의 출연자들이 자리 싸움을 하는 예능 프로그램을 수업 시간에 틀어놓은 뒤 특정 연예인이 원하는 자리를 택할 경우의 수를 학생들이 직접 구해보도록 했다. 그리고 비슷한 사례가 있는 영상을 학생들이 찾아 선생님처럼 직접 문제를 만들어보는 것이다. 때로는 더 과감한 ... ...
- [이달의 PICK] 귤, 붕어빵, 군고구마...겨울 간식 3대 천왕의 비밀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일본에서 만들어진 ‘도미빵(다이야키)’입니다. 일본 과자 중 하나로 도미 모양의 금속 틀에 밀가루 반죽을 담고 팥소를 넣은 빵입니다. 일제 강점기 때 한국에 전해졌다고 알려졌습니다. 이 시기는 호떡이나 붕어빵에 자주 쓰이는 감미료 사카린이 퍼지기 시작한 때와도 일치합니다. 사카린은 ... ...
- AI 기자 경기 내용을 분석해서 담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8호
- 넣을 것인지, 문단별로 어떤 내용을 나열할 것인지 틀을 만드는 거예요. 이후 틀 안에 해당되는 문장들을 넣으면 기사가 완성되는 거랍니다.아쉽게도 AI 기자 부분에는 두 팀만 참여했어요. 전문가들은 이번 대회의 세 분야 중 코딩하는 방법이 가장 복잡하고 까다로웠기 때문이라고 분석했지요. ... ...
- [현장취재] 인기 크리에이터가 되고 싶은 친구들 모여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7호
- 대부분 길다고 답했어요. 이처럼 우리가 ‘무엇무엇은 어떻다’라고 생각하는 인식의 틀을 ‘프레임’이라고 불러요. 만약 누군가 의도적으로 프레임을 이용해 뉴스를 보도하면, 이 뉴스를 본 사람은 사건에 대해 왜곡된 생각을 가질 수 있어요. 그래서 여러분이 영상이나 덧글을 볼 때도 어떤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함수와 조건을 이용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4호
- 원래 수학에서 배우는 용어예요. 어떤 값을 입력했을 때 그에 대응되는 값을 내놓는 틀을 함수라고 하지요. 예를 들어 음료수를 뽑을 수 있는 자판기에는 함수의 원리가 있어요. 자판기의 콜라 버튼을 누르면 콜라가, 사이다 버튼을 누르면 사이다가 나오지요. 여기서 어떤 버튼을 누를 때 그 버튼에 ... ...
- Part 1. 참고래, 땅에서 꺼내던 날!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있던 참고래의 골격이 나타나기 시작했어요. 처음으로 발견한 건 목재 틀이었어요. 목재 틀을 부수자 그 안에서 커다란 두개골이 나왔지요. 이후 아래턱뼈인 하악골과 어깨뼈인 견갑골을 꺼내고, 척추뼈와 꼬리뼈들도 차례로 꺼냈어요. 참고래 골격이 망가지지 않도록 연구원들이 직접 조심스럽게 ... ...
- 노벨상 5대 트렌드- 연령 높아지고, 여성 증가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모호해졌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노벨상이 100년 이상 수상 기준과 수상 분야의 틀을 고스란히 이어온 탓에 새로운 연구 분야가 탄생하거나 세분화되는 현대 과학의 흐름을 쫓아오지 못한다고 비판하는 시각도 있다. 5. 일본 약진, 벌써 23명 수상수상자의 국적에 따라 국가별로 노벨 과학상 ... ...
이전1112131415161718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