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촉각"(으)로 총 330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주에서 온 로보너트2의 편지과학동아 l2011년 10호
- 손가락마다 관절이 3개 이상 들어가고 여기에 물건의 딱딱한 정도를 느끼는 힘 센서와 촉각 센서도 들어가거든.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 연구진이 나를 덱스트러스 방식으로 만든 이유는 더 다양한 분야에 나를 활용하기 위해서야. 집게손은 빵이면 빵, 접시면 접시처럼 한정된 대상만 집어 올릴 수 ... ...
- 후크송은 왜 뇌를 중독시킬까과학동아 l2011년 08호
- 등장한다는 점도 후크송이 촉각을 자극하게 만든다.후크송은 춤 없이 음원만으로도 촉각을 자극한다. 배 교수는 송대관의 ‘네박자’와 원더걸스의 ‘노바디’ 음원을 분석한 스펙트럼을 보여줬다. 사운드스펙트럼은 전체적으로 빨간 세로줄로 빽빽하게 나타났다. 가사가 나오는 부분은 목소리 ... ...
- 냄새 잘 맡아서 똑똑해진 포유류과학동아 l2011년 06호
- 미세하게 움직일 수 있게 됐다. 고대포유류가 다른 동물들에 비해 감각기관, 특히 후각과 촉각이 많이 발달한 것이 두뇌와 신경계 발달로 이어졌다는 것이 티모시 교수팀의 설이다. 이 연구 결과는 과학학술지 ‘사이언스’ 5월 20일자에 실렸다 ... ...
- 완전수 6으로 떠나는 여행수학동아 l2011년 06호
- 말.*육탄공격무기가 아닌 몸으로 공격한다는 의미.*육감(six sense)시각, 청각, 후각, 미각, 촉각의 5가지 감각 외에 직관적으로 상황을 파악하는 정신작용. 이번에도 눈치가 빠른 사람은 금방 알았을 거야. 그래, 정답은 바로 ⑤야. 그런데 원의 구면접촉수가왜 6이고, 이것이 무엇을 뜻하는지 모르는 ... ...
- “나의 영혼이 로봇 속으로 들어간다”과학동아 l2011년 05호
- 줄 수 있다. 기계가 감각을 느끼게 만드는 것도 가능하다. 이미 사람의 피부 역할을 하는 촉각센서나 기울임을 느끼는 자이로센서 등이 개발돼 있다.하지만 최대 난관은 로봇이 느낀 감각을 사람이 똑같이 느낄 수 없다는 데 있다. 현대과학기술로도 아직 인간의 신경체제를 모두 이해하지는 못하고 ... ...
- ‘아바타’ 정말로 만들 수 있다과학동아 l2011년 03호
- 활발히 반응하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이런 현상을 유체이탈이라고 부르는, 시각과 촉각 사이에 불균형이 일어나기 때문에 뇌가 혼란을 일으키는 현상이라고 설명했다. 연구진은 이 같은 유체현상을 이용하면 컴퓨터 게임을 좀 더 실감나게 즐길 수 있고 또는 거식증에 걸린 사람에게 망가진 ... ...
- 집게냐 손가락이냐 그것이 문제로다과학동아 l2011년 02호
- 거기다가 사람의 촉각을 대신하기 위해 물건의 딱딱한 정도를 느끼는 힘 센서나 촉각 센서도 붙여 주어야 합니다. 그리고 나면 센서에서 들어오는 신호를 손가락의 움직임과 유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동작 패턴을 만들어 주어야 합니다.마루Z의 손을 만든 오용환 KIST 책임연구원은 “로봇팔 하나를 ... ...
- 말보다 정직한 ‘몸의 언어’과학동아 l2010년 12호
- 비언어 커뮤니케이션이란 표정과 제스처, 신체 움직임(동작학), 근접거리(공간학), 접촉(촉각학), 자세, 옷차림 등을 말한다. 일부에서는 비언어 커뮤니케이션이 경험에 의존해 그다지 과학적이지 않다는 주장도 있다.저자는 25년간 FBI에서 일했던 경험을 토대로 비언어 커뮤니케이션을 설명하고 ... ...
- 채소일까, 사람일까? 숨바꼭질하는 그림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11호
- 악보는 청각을, 카네이션은 후각을, 빵과 포도주는 미각을, 그리고 체스판과 카드는 촉각을 의미해요. 특히 이 물건 가운데 만돌린과 거울이 크게 그려져 있어요. 체스판과 카드는 속임수를 나타내기도 하기 때문에, 속임수의 유혹에서 벗어나 자신을 돌아보고 도덕적인 말씀에 귀를 기울이라는 뜻이 ... ...
- 2000년 찰스 주커 교수의 쓴맛 수용체 발견과학동아 l2010년 11호
- 변환하는 메커니즘을 규명했다.1992년에는 관심을 물리적 감각(청각, 균형감각, 위치감각, 촉각)으로 옮겨 많은 발견을 했다. 특히 1999년에는 물리적 자극을 감지하는 분자인 이온통로의 유전자를 찾아냈다. 이 연구 결과는 청각을 매개하는 분자를 찾는 데도 실마리가 됐다.1999년 주커 교수는 다음 ... ...
이전1112131415161718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