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주도"(으)로 총 1,537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디지털 세상, 안전하게 누리자!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Q 디지털 리터러시를 기르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디지털 환경에서 자율적이고 주도적으로 행동해 보세요. 대부분의 플랫폼은 좋아하던 콘텐츠 위주로 추천해주고 있어요. 한번 더 생각하지 않고 추천하는 대로 소비하면 한쪽으로 치우친 의견을 갖게 될지도 몰라요. 다양한 책을 읽으면서 ... ...
- [수학뉴스] 우주 산업의 미래를 그리다! 뉴스페이스 코리아 업리프트수학동아 l2020년 12호
- 논하는 행사 ‘뉴스페이스 코리아 업리프트’가 열렸습니다. ‘뉴스페이스’는 정부 주도로 우주 탐사가 이뤄지던 과거와 달리 민간 기업이 우주산업을 이끄는 시대를 뜻합니다. 11월 15일 스페이스X가 우주비행사 4명을 태운 ‘리질리언스’를 발사한 것이 뉴스페이스의 대표적인 예입니다.첫째 ... ...
- [기획] 놓치고 가면 섭섭한 2020 수학 이슈수학동아 l2020년 12호
- 수학계는 논문 출판 과정에 모치즈키 교수가 관여하지 않았어도 소속 대학 주도로 검증한 것을 인정할 수 없다며, 추가 검증이 필요하다는 입장입니다.ABC추측은 1 이외의 공약수가 없는 서로소인 A, B, C가 A+B=C의 관계를 만족할 때 세 수의 소인수의 곱에 0에 가까운 작은 양수를 더한 수는 언제나 ... ...
- [인터뷰] 꿈의 에너지에서 현실의 에너지로 "선진 기술로 핵융합 상용화 주도할 것"과학동아 l2020년 12호
- 그때가 된다면 현재 핵융합 연구자들은 연구현장에서 물러나고 새로운 세대가 주도적인 역할을 할 것입니다. 그들이 바로 현재 청소년들이죠. 지금까지 선배 연구자들이 이뤄낸 성과를 바탕으로, 핵융합 에너지의 상용화는 똑똑하고 창의적인 미래 세대의 연구자들이 완성해 나가주길 바랍니다 ... ...
- [오쌤의 수학공부법] 자기 주도적 방학 계획 세우기수학동아 l2020년 12호
- 것은 물론, 공부하는 데 가장 중요한 자신감의 원천이 됩니다. 그러니 방학 동안 자기 주도의 핵심인 메타인지 능력과 자신감을 길러야겠지요.여러분은 그동안 거창한 계획을 세우고 실패하기를 반복하면서 노력의 부족함만 탓하지는 않았나요? 노력은 ‘열심히 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 ...
- 바다거북 알 도둑, 코끼리 밀렵꾼 과학이 끝까지 잡는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그레이트 엘리펀트 센서스는 국제 코끼리 보호단체 ‘국경 없는 코끼리’ 등이 주도한 역사상 가장 넓은 범위의 야생동물 개체 수 조사 프로젝트다.이에 아프리카 국가들은 코끼리를 보존하기 위해 단속반을 만들거나 밀렵 관리 정보망을 구축하는 등의 정책을 펴고 있다. 과학계도 이를 지원하는 ... ...
- [오쌤의 수학공부법] 내 진로에 수학이 필요한 이유수학동아 l2020년 11호
- 단언하며 수학이 국부의 원천이 되는 시대가 도래했다고 밝혔습니다.1·2차 산업혁명을 주도했던 영국 역시 ‘수학이 AI, 자율주행 자동차, 항공우주 등 4차 산업혁명의 심장이 됐다’며, 수학 인재를 확보하고 수학과 관련된 인프라를 구축하는 것에 모든 것을 걸어야 한다고 강조했죠. 이처럼 4차 ... ...
- [매스미디어] 테슬라수학동아 l2020년 11호
- 테슬라는 이 방법으로 모두가 저렴하게 전기를 사용할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오랜 주도권 싸움 끝에 교류 전기 시스템이 표준으로 인정 받으며, 테슬라 역시 업계에 이름을 알리게 되죠. ▲ PDF에서 고화질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직 끝나지 않은 전류 전쟁전류 전쟁에서 에디슨의 직류 ... ...
- [가상인터뷰] 외계행성 찾아 떠난 위성 ‘키옵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이 관측 결과로 켈트-11b의 지름이 18만 1600km에 달한다는 걸 알아냈어. 키옵스 프로젝트를 주도한 베른대학교 빌리 벤츠 박사는 “지구에서 잰 것보다 5배는 더 정확한 수치”라고 말했지. 그럼 진짜 탐사에 들어가면 뭘 할 거야?진짜 탐사에 들어가면 키옵스는 용암 바다로 덮인 ‘게자리 55 e(55 ... ...
- [비하인드 로켓] 한국 잘못? 러시아 잘못? 나로호 발사 실패 책임 공방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시작해 이후 30년 넘게 발사체 개발에 몸담았다. 1993년 1단형 과학로켓 KSR-Ⅰ 개발에 주도적으로 참여했고, 1990년대 후반 KSR-III 사업부터 2002~2013년 나로호 사업까지 총책임자를 맡았다. 2014~2017년 한국항공우주연구원장을 맡아 2021년 발사 예정인 한국형발사체 누리호(KSLV-Ⅱ) 개발을 이끌었다. gwcho@ ...
이전1112131415161718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