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조종"(으)로 총 1,099건 검색되었습니다.
- 뇌, 지금 연구 중 이신가요?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2호
- 보려면? Intro. 지금 연구 중 이신가요? 뇌Part1. 뇌파로 마음을 읽는다?!Part2. 빛으로 뇌를 조종한다?!Part3. 뇌, 이젠 직접 만든다.Part4. 뇌도 은행이 있다?! ★ 도움Richard Ramchurn(영화 감독), 임창환(한양대학교 전기·생체공학부 교수), 정재웅(한국과학기술원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 ...
- 빛으로 뇌를 조종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2호
- 속에서나 일어날 법한 일들이 아주 먼 미래의 일이 아닐 수 있답니다! 최근 빛으로 뇌를 조종하는 연구가 발표됐거든요. 아기새, 배운 적 없는 노래를 불렀다?!아기새의 지저귐을 들어본 적 있나요? 새가 노래 부르는 것을 들으면 보통 타고난 능력이라고 생각하기 쉬울 거예요. 하지만, 아기새들도 ... ...
- [과학뉴스] 알프스 빙하, 100년간 이만큼 녹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1호
- 왼쪽 사진은 1919년 늦여름 스위스 사진작가 월터 미텔홀저가 찍은 몽블랑이에요. 비행기 조종사였던 미텔홀저 작가는 세계 최초의 금속 비행기 ‘융커스 F 13’을 타고 몽블랑 위를 날며 사진을 찍었지요.이후 100년이 지난 2019년 8월, 던디대학교 연구팀은 정확히 같은 위치에서 사진을 찍기로 했어요.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뽀글뽀글 비눗방울을 키워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0호
- 모두 반응하는 나노입자 계면 활성제를 만들어 발표했어요. 외부 자극으로 액체방울을 조종하는 연구는 기존에도 있었지만, 다양한 자극에 모두 반응하는 나노입자 계면 활성제를 만든 건 이번이 처음이에요.연구팀은 친수성 부위에 금, 소수성 부위에 산화철 나노입자를 사용해 눈사람 형태의 계면 ... ...
- 로봇도 만나고, AI 연주도 듣고~! 2019 대전 사이언스페스티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0호
- 있어요. 타이탄 안에 들어간 사람은 로봇의 가슴 부분에 뚫린 창으로 밖을 보며 타이탄을 조종하지요. 타이탄은 커다란 덩치로 춤도 추고 노래도 불러요. 지난해 사이언스페스티벌에서는 눈에서 물을 발사하는가 하면 방귀를 뀌어 사람들을 즐겁게 했답니다. 올해 타이탄이 또 어떤 새로운 모습을 ... ...
- [과학뉴스] 응답하라, 착륙선 비크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9호
- 착륙선 반경 1km 내에서 움직일 수 있어. ISRO 소속 과학자들이 지구에서 원격으로 조종해 착륙선 주변에서 약 14일 동안 남극 표면을 관찰할 예정이었지. 물의 흔적을 추적하고 암석과 토양을 분석해 자료를 모두 지구로 보내려고 했는데…. 흑, 흑, 흑…. 왜? 무슨 일이 있는 거야?그게 말이야…. 나는 ... ...
- [섭섭박사의 메이커 스쿨] DIY 드론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7호
- 행복했습니다. 앞으로 능숙하게 조종할 수 있을 때까지 꾸준히 연습하겠습니다. 미숙한 조종에 고장날까 봐 걱정되기는 하지만요. 다음 섭섭박사님의 메이커스쿨은 또 어떤 재미있는 수업이 열릴지 기대됩니다 ... ...
- [섭섭박사의 메이커스쿨] 여기는 화성, 지구는 응답하라! 우주탐사 로버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5호
- 안테나’지요. 안테나는 로버가 모은 자료를 지구로 전송하거나 지구에서 로버를 원격조종할 때 사용한답니다. 로버 앞쪽에는 길쭉한 로봇 팔이 달려 있어요. 여기에는 암석을 긁어내는 장비, 카메라, 현미경, 각종 분석 장치 등이 장착되어 있답니다. 또한 로버의 양옆에는 태양열을 이용해 전기를 ... ...
- 달 착륙 50주년, 다시 달의 땅 밟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4호
- 현역 여성 우주인 12명 중에서 나올 가능성이 크다. 이들은 40~53세로, 전직 군 조종사, 의사, 과학자 등 다양한 직업 출신이다. NASA는 먼저 2020년 아르테미스 1호를 달 궤도로 보내요. 2022년에는 아르테미스 2호에 사람이 타고 달 궤도를 돌지요. 그리고 2024년, 우주비행사가 아르테미스 3호를 타고 달에 ... ...
- 기생충이 지구에서 사라진다면?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3호
- 죽이는 걸로 유명한 ‘연가시’도 생태계 유지에 한몫을 하고 있어요. 연가시에게 조종당해 물에 빠진 곤충들이 물고기의 먹이가 되어준 덕분에 주변의 민물고기들이 살 수 있거든요. 그런데 2014년 일본 교토대학교 타쿠야 사토 교수팀은 기생충이 보기보다 연약하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어요. ... ...
이전1112131415161718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