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자손"(으)로 총 481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RO. 인류최후 에너지 핵융합과학동아 l2014년 12호
- 별빛과 태양빛에서 오지 않은 게 없다. 우리는 초신성의 후예일 뿐 아니라 별과 태양의 자손이기도 하다. 최근 인류는 대담한 도전을 하고 있다. 별빛과 태양빛을 지상에서 인공적으로 만들려는 ‘핵융합’이다. 핵융합은 깨끗하고 안전한 에너지를 만들고자 한 인류 꿈의 완결판이다. 이 꿈은, ... ...
- [hot science] 동물은 왜 수컷이 더 클까과학동아 l2014년 12호
- 거의 모든 암컷이 일정한 수의 자식을 기대할 수 있다. 반면 수컷은 경쟁에서 승리하면 자손이 많지만 경쟁에서 지면 아예 짝을 구할 수가 없다. 이 경우, 암컷 입장에서 보면 걱정되는 것은 자신이 아니라 자식, 그 중에서도 아들이다. 양질의 아들을 낳으면 대박이지만, 질 낮은 아들은 쪽박이다 ... ...
- PART 2.Y가 사라진 세상과학동아 l2014년 11호
- 한 쪽이 도태되기 마련이다. 자손을 번성케 하려는 인류의 욕구는 가장 완벽한(건강한 자손을 많이 낳을 수 있는) 조합을 추구하기 때문이다.하지만 헤르마프로디토스는 개인주의가 심화된 미래사회에 아주 잘 맞는 성별이었다. 수컷이 없으면 암컷을 스스로 만들어내는 흰동가리마냥, ... ...
- [hot science] IQ떨어지는 인류, 혹시 바보가 되는 중?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여러 가지 가설이 제기되고 있다. 대표적인 게 교육을 많이 받은 ‘똑똑한’사람들이 자손을 덜 갖는다는 주장이다. 이 주장이 맞다면 후대로 갈수록 ‘머리 좋은’ 유전자는 줄어들 수밖에 없다. 계산을 통해 앞으로 얼마나 많은 인구가 ‘머리 나쁜’ 사람들로 채워질지도 예상할 수 있는데, 영국 ... ...
- [knowledge] 생명의 양자도약과학동아 l2014년 11호
- 티민, 구아닌과 시토신은 각각 두 개, 세 개의 수소를 매개로 결합된다. 부모의 DNA를 자손에 전달할 때, 이 결합이 끊어진다. 결국 생명의 핵심 원리인 유전은 바로 이들 원자 몇 개 수준, 즉 양자역학적 원리에 따라 제어되고 있는 것이다.하지만 놀랍게도 생물학자들은 양자역학을 잘 모른다. 왜 ... ...
- PART 1. Y염색체 1000만 년 뒤 사라질까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주는 정보를 가지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인공수정이 아닌 정상적인 관계로 자손을 만들기 위해서는 Y 염색체의 많은 부분이 아직은 필요하다. 다만 긴 시간이 지나면 이들이 어떻게 달라질지는 아무도 모른다. Y 염색체는 긴 생명의 역사를 통해 매우 특이한 방식으로 현재의 모습이 됐다. 2 ... ...
- [knowledge] 야생담배의 매력에 빠지다과학동아 l2014년 10호
- 먹고 사라지면, 뿌리로 보냈던 영양분을 이용해 새로운 잎을 만들고 꽃을 만들어 자신의 자손(씨앗)을 남기기 위한 활동을 다시 시작한다.재미있는 것은 애벌레일 때 천적이었던 만두카가 다 자라 나방이 되면 야생담배의 꽃가루를 멀리 있는 다른 꽃에 묻혀 수정을 도와준다는 점이다. 그래서 주로 ... ...
- 빨간 모자는 궁금한 걸 못 참아 텔로미어를 뛰어넘는 할머니의 힘!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생물종은 오래오래 유지될 수 있을 거야.하지만 나이를 먹은 뒤 늙게 만드는 유전자는 자손을 남기는 데 영향을 미치지 않아서 그대로 살아남기 쉽단다. 결국 노화를 일으키거나 관련이 있는 ‘나쁜 유전자’들은 인간의 진화 끝에 살아남는 ‘승자’인 셈이지.“왜” 창문 밖 늑대는 저렇게 ... ...
- 초파리도 실연당하면 술을 마신다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아름다운(?)’ 유전자를 발견했다. 이 유전자의 이름을 프루트리스(fruitless)로 지었다. 자손을 남길 수 없다는 뜻이었다. 이것이 그 유명한 동성애 유전자다. 계속된 연구 결과, 프루트리스는 초파리의 성을 결정하는 핵심 전사인자며 수컷과 암컷의 신경계를 분화시키는 촉발자로 밝혀졌다.홀은 ... ...
- 식물부대 사령관 ‘꼬치라 부르리’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7호
- 팽창하면 기공이 열리게 된다.미션4 씨앗을 날려라~!“이제 마지막 문제다. 식물은 자손을 번식시키기 위해서 씨앗을 멀리 보내지. 털이나 날개 모양의 구조를 이용해서 말이야. 그래서….”마지막 문제는 씨앗 날리기다. 종이 한 장을 이용해서 헬리콥터처럼 빙빙 도는 비행기를 만들어 보자.꽃이 ... ...
이전1112131415161718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