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잠정
데모
배포
평가
d라이브러리
"
임시
"(으)로 총 291건 검색되었습니다.
유럽 환경지킴이 3色 스토리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독일인들은 정부가 결정한 사안이 환경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준다고 판단하면
임시
로 시민협의체를 조직해 이의를 제기해요.”스페인 메뇨르카 환경보호 매니저 - “100개가 넘는 환경 평가 지표”“한국 탐방단이시죠? 환영합니다. 지역신문 ‘메뇨르카’ 기자가 한국에서 온 여러분을 취재하러 ... ...
우주정거장서 국산 귀마개 끼고 잔다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잘 가능성이 높다.미국의 데스티니 모듈은 ISS에서 실험실 역할을 하는 곳인데, 5년 전 ‘
임시
수면시설’(TeSS)이라는 이동식 침실이 하나 들어왔다. 간의탈의실처럼 생긴 이 시설은 우주인이 혼자 잘 뿐 아니라 옷을 갈아입거나 조용히 책을 읽을 수 있는 개인 공간이다.신체리듬 깨지지만 코골이는 ... ...
도대체 태양계 행성은 몇 개야?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0호
열리는 국제천문연맹 총회에서 새로 인정받을 수도 있습니다. 현재 ‘2003 UB313’ 이라는
임시
이름을 가지고 있는 천체가 바로 그 후보입니다. 이 천체의 별명은 ‘제나(Xena)’ 로 신화 속의 여전사 공주(Warrior Princess)입니다. 따라서 나중에 우리말로는 ‘여왕성’ 이라는 이름을 가질 확률이 ... ...
붉은 카펫 위로 걸으세요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다하고 있을까.공항에 도착한 기자는 국립수의과학검역원(이하 검역원)에서 발급받은
임시
출입증과 표찰을 목에 걸고 출국심사대를 벗어나 잠깐 ‘출국’했다. 승객들이 비행기에서 내려 공항 안으로 들어오는 통로를 가장 먼저 찾았다.한국에 도착한 승객들을 환영하는 듯 붉은 카펫이 깔려 있다. ... ...
날씨가 척척 디지털 예보 시대!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6호
어떤 모습일지 미리 진단해 봐요.한눈에 보는 기상관측의 역사1904년 3월 최초의
임시
기상관측소 설치(목포 등 5개 지점) 기상청에 설치되어 있는 기상관측장비는 기온, 기압, 풍향, 풍속, 습도, 강수량, 일사량 등을 자동으로 측정한다.1949년 8월 국립중앙관상대 건립1956년 2월 세계기상기구(WMO) ... ...
고성에서 날아온 '백악기 공원' 초대장
과학동아
l
2006년 05호
밝혀졌다. 다이노피아관에 뭔가 특별한 것이 있다엑스포 전시장은 행사가 끝나면
임시
로 마련된 모든 전시관이 사라지고 공원으로 남는다. 대신 상설전시관인 ‘다이노피아관’은 공룡 교육시설로 남는다. 다이노피아관은 일반적인 박물관과 달리 영상과 음향, 조형물, 전시물이 복합된 시설이다 ... ...
성폭행범 귀에 경 읽기
과학동아
l
2006년 04호
아직 혐오조건 형성이나 역할극처럼 구체적이고 개별적이지 못하다. 시범 운영되는
임시
프로그램인데다 죄수들이 형을 선고받기 전에 잠깐 멈무는 구치소에서 이뤄진다는 시간적 한계가 큰 탓이다.하지만 처음 이 프로그램에 참여했을 때 성적 망상때문에 구치소까지 오게된 모범생 ‘김 박사’는 ... ...
부끄럼 많은 태양계의 외톨박이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관측결과에 따르면 명왕성은 카론 외에도 2개의 위성을 더 갖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
임시
로 ‘S/2005 P1’과 ‘S/2005 P2’라는 이름을 얻은 이 천체들은 명왕성에서 카론보다 2~3배 더 멀리 떨어져 있다. 크기도 지름이 1200km인 카론에 비해 매우 작아서 100~200km 정도일 것으로 추산된다.태양계 행성 중에서 ... ...
1905년 11월 1일 날씨맑음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1907년 4월 1일 마침내 일본은 일본 중앙기상대에 소속된 모든
임시
관측소와 대한제국 소속의 모든 측후소를 흡수해 통감부 관측소로 만들었다. 1908년 4월 이들 통감부 관측소는 다시 일본 농상공부 관측소로 이름을 바꾸고 모든 업무를 일본인들에게만 맡겨 버렸다. 여기엔 두 ... ...
아니수타인 박사를 모셔라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씨였다. 재미교포였던 그는 3·1 운동이 일어나자 도산 안창호와 함께 상하이로 건너가
임시
정부에 참여했던 분이다. 황진남 씨는 아인슈타인이 동아시아를 여행한다는 소식을 듣고 상대성 이론과 아인슈타인을 소개해야겠다는 생각으로 동아일보에 원고를 보냈다. 그는 글을 쓰며 5년 전 취리히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