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인터뷰"(으)로 총 2,629건 검색되었습니다.
- 좌절된 아이디어는 어떻게 (이그)노벨상을 받았나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번도 연구비를 지원받지 못한 연구에 30년을 매달리지 않았던가. 박 박사는 4시간에 걸친 인터뷰를 노벨상 이야기로 매듭지었다. “일본에 노벨상 수상자가 많은데 우리나라는 왜 없냐는 이야기가 많이 나오죠. 하지만 일본은 사실 이그노벨상에서도 앞서 있습니다. 올해까지 17년 연속으로 ... ...
- [최신 이슈] 40년 만에 달라진 서울 지하철 노선도, 그 뒤에 인지과학이 있다과학동아 l2023년 11호
- 과정인 시지각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10월 6일, 그와 함께 개선된 노선도를 보며 전화 인터뷰를 진행했다.“이 지도를 처음 봤을 때 가운데 동그라미로 그려진 2호선 노선도가 확 튀어나와 보이죠? 그럼 당연히 우리의 주의도 동그라미로 쏠리게 됩니다. 비주얼 서치(시각 탐색) 과정에서 어떤 물체가 ... ...
- [최신 이슈] 넓디넓은 정수장에서 깔따구 찾기, eDNA면 가능!과학동아 l2023년 11호
- 해당 논문이 발표된 후 에린 머피 미국 뉴욕대 법학과 교수는 ‘뉴욕타임즈’와의 인터뷰에서 “DNA는 카메라와 달리 개인을 넘어 친척, 자녀, 조상을 추적한다”며 “미래에 DNA가 사람에게 어떻게 사용될지는 아무도 모른다”고 우려했다.개인정보 유출 우려에 대해 김무웅 ... ...
- [DGISTX융복합 파트너] 경쟁상대가 아닌 협업의 도구 AI-인간 상호작용을 연구하다과학동아 l2023년 11호
- 하나씩 들었다. DGIST, 하트, 그리고 연구실 이름인 ‘DIAG(다이아그)’다. 촬영을 마친 뒤, 인터뷰 첫 질문으로 연구실 이름의 의미를 물었다. “DIAG는 DGIST Intelligence Augmentation Group의 약자입니다.” 송 교수는 “인간과 컴퓨터 사이의 상호작용에 관해 연구하는 분야인 ‘HCI(Human Comput ...
- [가상 인터뷰] 초파리 장 세포에서 새로운 세포 소기관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생명체를 이루는 기본 단위인 세포! 현미경으로 들여다보면 세포 속에는 핵, 미토콘드리아, 세포질 등 여러 기관이 들어 있어. 교과서에서 본 적 있다고? 잠깐! 여기 하나 더 추가됐다는 소식이 있어. 나, 과학 마녀 일리가 자세히 알아보고 올게! 자기소개 부탁해. 안녕, 나는 세포야. 크기가 1~1 ... ...
- [Reportage] 영재학교판 두뇌 서바이벌 게임, 제2회 과학예술영재학교 수학교류전수학동아 l2023년 11호
- 진행해요. 한 팀의 학생이 모두 패배하면 게임은 종료되고 상대 팀이 이깁니다. [미니 인터뷰] 수학교류전 프로그램은 우리 손에서 탄생했다!제2회 수학교류전 준비위원회 위원장 : 전민성, 부위원장 : 김동황 Q. 어떻게 준비위원회 위원장과 부위원장을 맡게 됐나요? 전민성 : 제가 수학동아리 ... ...
- [가상 인터뷰] 십자로 이어진 통나무, 인류 최초의 목조 건축물과학동아 l2023년 11호
- 9월 20일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했다. doi: 10.1038/s41586-023-06557-9 연구 내용을 가상 인터뷰로 정리했다. Q 안녕하세요, 자기소개 부탁드려요. 저는 호미닌(hominin)이에요. 사람족이라고도 부르죠. 호미닌은 현생인류(호모 사피엔스)와 현생인류의 근연종들을 통틀어 가리키는 표현이에요. ... ...
- 탕후루, 과학적으로 만드는 방법과학동아 l2023년 11호
- 평소 단맛을 사랑하는 기자가 식품공학자들을 인터뷰하며 탕후루를 과학적으로, 절대 망치지 않고 만들 수 있는 꿀팁을 배워왔습니다. (!뜨거운 설탕물은 화상 위험이 매우 높습니다. 점성이 높아서 피부 접촉 시간이 길고, 그 결과 열이 피부 깊숙이 전달되기 때문입니다. 가급적 탕후루는 사 ... ...
- [노벨상 2023] 미약한 첫걸음,인류의 빛이 되다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인류의 빛이 되다Part1. [노벨상 2023] 노벨 생리의학상Part2. [노벨상 2023] 노벨 화학상Part3. [인터뷰] 후배 과학자들이 새로운 시도를 두려워하지 말길 (현택환 교수)Part4. [노벨상 2023] 노벨 물리학상Part5. 30년 뒤, 노벨상 수상자를 우리는 알아볼 수 ... ...
- 죽은 거미로 만든 로봇, 전기 충격 젓가락..., 이 과학자들, 왜 이랬을까?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저는 지난 12년 간 전기 미각에 관해 연구했거든요.” 10월 12일, 과학동아와의 e메일 인터뷰에서 미야시타 교수가 이렇게 대답했다. 12년 전인 2011년, 미야시타 교수는 당시 제자였던 히로미 나카무라와 함께 전기 미각 현상을 응용하는 방법을 발표했다. 그는 빨대나 포크나 젓가락을 전기회로에 ... ...
이전1112131415161718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