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로고스
지력
이법
기성
완성
두뇌작용
지능
d라이브러리
"
이성
"(으)로 총 461건 검색되었습니다.
개코보다 더 개코 같은 돼지코의 비밀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후각에 이상이 있는 사람들은 연애할 때 상대적으로 어려움을 겪게 되며 만나게 되는
이성
의 수도 작다는 조사도 보고 된 바 있다. 돼지의 경우 좀더 연구가 필요하지만 짝짓기에서 후각이 큰 역할을 할 가능성이 있다.또 다른 흥미로운 사실은 어류나 조류의 후각수용체 유전자 수다. 이들은 코를 ... ...
재즈 피아니스트가 된 수학 영재, 고희안 교수
수학동아
l
2013년 02호
하냐고요? 아뇨. 작곡은 전혀 계산하지 않고 떠오르는 악상으로 바로 만들어 내요.
이성
이 아니라 감으로 하는 거죠. 제가 만든 곡은 만드는 데에 30분 이상 걸린 곡이 없어요. 재즈는 진실된 음악이에요. 솔직하게 내 얘기를 하는 거지요. 그런데 30분 이상 걸리는 건 꾸며 내는 것이고, 거짓말이라고 ... ...
[수학뉴스] 머리를 쓰지 않고 수학 문제를 푼다고?
수학동아
l
2013년 01호
있다고 한다. 우리가 알아차리지 못하는 순간에도 무의식이 의식을 대신해 논리적이고
이성
적인 판단을 내리고 있다는 것이다.란 하신 박사는 학생 270명을 대상으로 양쪽 눈에 서로 다른 이미지를 보여주는 실험을 했다. 오른쪽 눈에는 몬드리안의 추상화 같은 색색의 이미지를 1초에 10번씩 빠르게 ... ...
[수학실험실] 눈결정보다 아름다운 오더리 탱글스
수학동아
l
2013년 01호
점이다. 대칭은 오래 전부터 아름다움의 조건이었다. 실제로 얼굴과 몸매가 좌우 대칭인
이성
에게 사람들은 더 매력을 느낀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따라서 대칭은 오래전부터 사람들의 관심 대상이었다.수학자들도 예외는 아니었다. 수학자들의 대칭 연구는 고대 그리스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 ...
천재수학자의 완벽한 알리바이 용의자 X
수학동아
l
2012년 12호
첫번째 단서를 발견한다. 다시 수사에 박차를 가한 민범은 결국, 석고가 화선을 좋아해
이성
적 판단이 흐려졌다는 결론을 내린다.원작 VS 영화지난 10월 18일에 개봉한 영화 는, 일본 작가인 히가시노 케이고의 을 바탕으로 제작됐다.원작은 수학자가 이야기를 끌고가는 추리 ... ...
대학 잘 가려면 남녀공학 가지 마라?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쓰느라 학업에 소홀하게 된다고 한다. 상식적으로 생각해봐도 그럴 법하다. 주변에
이성
이 있으면 아무래도 자꾸 눈이 가고 자기 외모도 더 가꾸게 되지 않겠는가. 하물며 사춘기인 십대 시절이라면 말할 것도 없다.이런 선입견처럼 정말 남녀공학에 다니면 성적이 떨어질까. 2011년 12월 강창희 ... ...
함께 사는 지구, 그런데 왜 부자만 건강할까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 소유권과 법률의 제정에 따라 안정되고 합법화된다고 결론 내릴 수 있다.” 불평등은
이성
과 기술의 발달이 가져온 부산물이며 자연스럽지도 않다. 오늘날의 소득불균형 역시 마찬가지다. 이를 줄이는 노력은 법과 제도 외에 과학과 의학에서도 급박하다 ... ...
INTRO. 무엇이 표심을 지배하는가?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생각하면 굉장히
이성
적이어야 할 투표 행위는 비논리적인 판단과 감정적인 선택으로 가득 차 있다. 냉철하게 판단해 계산적으로 표를 주는 사람이 과연 얼마나 될까. 웬만한 사람은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남의 얘기, 악의적인 소문, 혹은 타고난 성향에 휘둘리게 된다. 만약 우리가 무엇에 ... ...
PART 1. 나는 왜 그 사람을 찍었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영향을 끼치는 요소는 많다. 12월 19일, 투표장으로 떠나기 전에 잘 생각해 보자. 정말
이성
적으로 투표할 후보를 골랐는지. 아니면 무엇에 휘둘리고 있는 건 아닌지.▼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무엇이 표심을 지배하는가?PART 1. 나는 왜 그 사람을 찍었을까?PART 2. 친구 따라 투표장 가는 ... ...
죽음의 공포를 삭제할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예다. 이 공포는 우리 대뇌 신경회로에 태어날 때부터 새겨져 있다. 워낙 강력해서 어떤
이성
적 결단도 죽음의 신경회로 앞에 굴복하게 된다.반면 후천적 공포는 공포를 불러올 수 있는 상황에 노출됐을 때 그 상황이나 그때의 감정(극심한 공포)을 기억하는 것이다. 미국의 9·11 테러사건을 예로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