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융합"(으)로 총 1,617건 검색되었습니다.
- 잘 읽히는 글꼴, 기억 잘 되는 글꼴은 따로 있다?과학동아 l2021년 10호
- 두 글꼴에 비해 가독성이 현저히 낮았다. 반면 정성원 서울과학기술대 나노IT디자인융합대학원 연구원이 65세 노인을 대상으로 한 2016년 실험에서는 모든 글자 크기 조건에서 바탕체가 돋움체보다 읽는 속도가 빨랐다. doi: 10.5392/JKCA.2016.16.11.661박윤정 국민대 시각디자인학과 교수는 “한글의 ... ...
- 해양데이터 리터러시, 교실에서 바다를 읽다과학동아 l2021년 10호
- 했다. STEAM 수업은 과학, 기술, 공학, 인문, 예술, 수학 등 다양한 분야를 통합해 융합적 사고력을 키우는 교육방식이다. 송태윤 환경과학기술 부사장은 3일간의 교사직무연수를 마치며 “해양데이터 리터러시를 통해 학생들은 데이터에서 도출한 정보와 지식으로 해양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책임 있게 ... ...
- 탄소중립 달성, 눈속임 넘어 실질 감축 이뤄야과학동아 l2021년 09호
- 원 대에서 거래되고 있다. 6월에는 1만원대까지 떨어지기도 했다. 전의찬 세종대 기후환경융합센터장은 “가격이 너무 낮아 탄소배출권을 팔려는 기업이 없다 보니 거래도 활발히 이뤄지고 있지 않다”며 “가격이 더 한참은 더 올라야 거래도 활발히 되고, 배출권 가격에 부담을 느낀 기업들이 탄소 ... ...
- [특집] 땅에 묻혀있던 하늘이 드러나다수학동아 l2021년 09호
- Q 수학동아 독자들이 주목할만한 또 다른 천문학 기기가 있나요? 동서양의 과학이 융합된 혼천시계를 봐줬으면 좋겠어요. 시계의 동력으로 물을 이용한 건 동양에서 쉽게 볼 수 있는데, 동력을 서양의 자명종 시계와 연결해 썼다는 점이 독특합니다. 또 흠경각 옥루는 자격루에 비해 많이 알려지지 ... ...
- [IBS×수학동아 수학동아 l2021년 09호
- 빈곤문제를 다루기 위해 고해상도 인공위성인 ‘센티넬-2’의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는 융합 연구를 새로 시작했습니다. 이 연구를 통해 위성영상을 분석하는 인공지능 딥러닝 알고리듬을 개발했고, 이러한 첨단 과학의 응용 분야는 무궁무진해요. 지난 6월엔 정우성 포스텍 산업경영공학과 교수, ... ...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8화. 숫자 암호가 안내한 곳은? 파헤칭단에게 보물을 뺏길 순 없어!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8호
- 듯이 말했습니다.“어차피 다른 방법이 없잖아요. 게다가 딱지는 선장님의 방망이랑 융합돼 있으니 방망이를 잃어버리지 않으려면 딱지를 따라가는 게 나을걸요?”루띠가 말했습니다.“그런데 갈수록 계산식이 어려워져요. 여기 이건 물체의 운동을 계산하는 식인데 암산으로는 못하겠어요 ... ...
- [특집] 새로운 세상 메타버스가 온다!수학동아 l2021년 08호
- 토큰인 ‘NFT의 존재 여부’를 꼽았어요. 이런 조건을 모두 만족해야 실제와 가상이 융합된 메타버스라 할 수 있는 거죠. 메타버스의 4가지 분류 메타버스는 크게 4가지로 나눠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 기준은 2007년 ASF가 발표한 내용에 포함돼 있었죠. 아래 표와 같이 메타버스의 배경 공간이 ... ...
- 잔잔하던 산업에 물결이 일다과학동아 l2021년 08호
- 과거 자동차산업이 기계 부품 위주의 제조 산업이었다면 현재는 첨단 과학기술이 융합된 첨단 산업으로 돌입하고 있다. 그렇기에 소프트웨어와 전자, 네트워크 등 다양한 영역의 기업이 서로 다른 부품 공급 구조를 형성하면서, 기존 기계 부품 중심의 부품 공급 구조도 대폭 변화할 가능성이 있다. ... ...
- [특집] 불가능을 현실로 만드는 메타버스수학동아 l2021년 08호
- 이뤄지고 있는데요, 로커스 역시 작년 10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최한 확장 현실 융합 프로젝트 사업에 선정되며 개발에 뛰어들었습니다. 이 PD는 “테러에 대응할 수 있는 있는 확장 현실 교육훈련 시스템을 제작하고 있다”면서 “실시간으로 가상과 현실이 이어지도록 만드는 기술이 결과를 ... ...
- [기획] AI로 가짜뉴스 잡아볼까?수학동아 l2021년 07호
- SNS에서 제목 위주로 기사가 유포되곤 해서 문제입니다. 지난 3월, 박건우 숭실대학교 AI융합학부 교수팀은 이러한 가짜뉴스의 특성에 기반해 본문과 다른 내용을 제목에 나타내는 가짜 뉴스를 판별하는 인공지능(AI)을 개발해 국제학술지 ‘국제전기전자공학회(IEEE) 엑세스(Access)’에 발표했습니다. ... ...
이전1112131415161718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