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탄력
탄성
회복력
검댕
유연성
그을음
부드러움
d라이브러리
"
유연
"(으)로 총 742건 검색되었습니다.
[포토뉴스] 쌍곡면으로 바다 민달팽이처럼 움직이는 로봇 만든다
수학동아
l
2019년 04호
움직임을 연관지어 생각하지 못했다”며, “이 연구가 에너지 효율이 높으면서 극도로
유연
한 연체 로봇을 향한 길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 ...
[융·복합 파트너@DGIST] 로봇공학전공
과학동아
l
2019년 04호
할 경우 뇌보다는 팔다리에 하는 것이 부담이 적기 때문이다. 실제로 김 교수팀은
유연
한 신경전극을 개발해 개의 대퇴부에 있는 말초신경의 신호를 고해상도로 측정하는데 성공해 2017년 국제학술지 ‘신경공학저널’에 발표했다. doi:10.1088/1741-2552/aa7493김 교수는 “말초신경에서 나오는 신호는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우연이 만든 혁명 유기 태양전지
과학동아
l
2019년 02호
무기물이 손상돼 성능이 저하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연구팀은 이를 극복하기 위해
유연
한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재질의 기판과 ‘꿈의 신소재’로 불리는 그래핀을 전극으로 사용하고, 실제 광전효과를 내는 핵심 재료인 유기물을 이용해 태양전지를 제작했습니다. doi:10.1002/anie.201807 ... ...
[과학뉴스] 먹기만 해도 살 빠지는 칩 탄생!
과학동아
l
2019년 02호
체중도 서서히 늘어났다. 왕 교수는 “딱딱하고 자주 충전해야 하는 기존 칩의 문제점을
유연
하고 생체친화적인 발전기를 사용해 해결했다”며 “추후에 돼지를 대상으로 실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2018년 12월 17일자에 게재됐다. doi:10.1038/s414 ... ...
[과학뉴스] 中 연구팀, 두부 집을 수 있는 로봇 손 개발
과학동아
l
2019년 01호
첸샤오핑 중국과학기술대 컴퓨터과학부 교수팀이 개발한 로봇 손은 자체적으로 개발한
유연
한 소재로 이뤄져 부드럽거나 깨지기 쉬운 물체도 쉽게 잡을 수 있다. 조작도 간단하다. 첸 교수팀은 2018년 8월 9~11일 호주 뉴캐슬에서 열린 ‘국제지능로봇및응용콘퍼런스’에서 이 로봇 손에 관한 기술을 ... ...
[화보] 작은 우주가 담긴 당신의 눈동자에 건배
과학동아
l
2019년 01호
감마선을 포착하는 망원경을 개발하기도 했다. 달팽이 | 달팽이 머리에는 뿔처럼 생긴
유연
한 더듬이가 두 쌍 있다. 기다란 쪽이 대촉각, 짧은 쪽이 소촉각이다. 대촉각 끝에는 시력이 거의 없지만 명암을 판별하는 눈이 있다. 네 개의 더듬이 모두 넣었다 뺐다 할 수 있어서 손으로 톡 건드리면 쑥 ... ...
[서울대 공대|재료공학부] 현대판 연금술사 키운다
과학동아
l
2019년 01호
doi:10.1038/s41586-018-0034-1 2018년 6월에는 이태우 교수팀이 미국 스탠퍼드대 연구팀과 함께
유연
한 유기 소자로 생물의 촉각 신경을 모사한 인공 감각 신경을 개발해 ‘사이언스’에 게재했다. 연구팀이 만든 인공 촉각 신경은 생물의 촉각 수용체처럼 압력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압력 센서, 뉴런처럼 ... ...
현실같은 AR 게임 언제쯤 플레이할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9년 01호
KIST) 전자재료연구단 책임연구원이 이끄는 연구팀은 콘택트렌즈 내에서 작동 가능하도록
유연
한 박막전지를 개발해 국제학술지 ‘나노 에너지’ 2018년 8월 24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 doi:10.1016/j.nanoen.2018.08.054 연구팀이 개발한 박막전지는 모든 구성 요소를 고체 필름 형태로 제작했다는 점이 ... ...
[헷갈린 과학] 표범이야, 고양이야? 마게이 VS 오셀롯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22호
나무 사이를 뛰어다니며 새와 원숭이들을 사냥하지요. 발목이 180°까지 돌아갈 정도로
유연
한 덕분에 나무 위에서도 자유롭게 자세를 바꿀 수 있답니다. 지난 2010년에는 마게이의 놀라운 사냥기술이 하나 더 밝혀졌어요. 바로 ‘성대모사’랍니다. 마게이가 원숭이의 일종인 타마린의 울음소리를 ... ...
구조성공! 잠수 위험을 줄여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6호
체력이 떨어져 수영이 힘들기 때문에 ‘스케드(sked)’라 불리는 들것에 실려 운반됐어요.
유연
한 플라스틱 재질의 스케드(sked)는 좁고 구불구불한 동굴을 빠져나오기에 적당했지요. 구조 작업에는 한 명의 소년을 두 명의 잠수부가 이동시키는 ‘버디 시스템’이 이용되었답니다. 소년은 들것에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