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주"(으)로 총 6,895건 검색되었습니다.
- [현장취재①] 홍콩의 과학, 핫플은 어디?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기사를 보려면?Intro. [현장취재①] 홍콩의 과학, 핫플은 어디?Part1. [DAY1 홍콩 이공대학교] 우주선의 눈을 만든다!Part2. [DAY2 홍콩 과학기술대학교] 바람을 가르고 바람보다 빠르게!Part3. [DAY3 미생물 혁신센터] 장 속 미생물로 자폐를 진단한다?Part4. [DAY4 홍콩 중문대학교] 미래 먹거리는 콩이 책임진 ...
- [DAY1 홍콩 이공대학교] 우주선의 눈을 만든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카메라의 겉에는 방사선을 반사하는 얇은 보호막이 씌워져 있습니다. 덕분에 창어 4호는 우주에서 높은 밀도의 방사선과 최대 영하 170℃의 낮은 기온을 견디고 무사히 달의 뒷면인 남극에 착륙할 수 있었지요. 카이릉 융 교수팀은 또 표면 토양 채취 및 포장 시스템(SSPS)을 만들어 창어 5호에 ...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하나로 합쳐지며 어마어마한 에너지를 방출할 거예요. 또 폭발로 발생한 잔해들이 온 우주로 퍼질 테죠. 그렇다면 지구에 사는 우리에게는 아무런 영향이 없을까요? 뒷이야기가 궁금하다면 영상에서 확인해 보세요 ... ...
- 옥톡과 달냥의 우주탐험대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4호
- 갈 거야! 우린 우주를 떠돌아다니는 여러 탐사선에서 부품을 모아 우주에서 최고로 멋진 우주선을 만들기로 했어. 뉴 호라이즌스 호 2006년 미국이 발사한 뉴 호라이즌스 호는 명왕성을 탐사한 유일한 탐사선이에요. 명왕성은 태양으로부터 약 60억km 떨어져 있어요. 뉴 호라이즌스 호가 지구에서 ... ...
- [DAY4 홍콩 중문대학교] 미래 먹거리는 콩이 책임진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머물다가 지구로 돌아올 예정입니다. 렘 홍 밍 교수는 “지구와는 완전히 다른 극한의 우주 환경에서도 미생물이 잘 자란다면, 지금보다 더 다양한 환경에서 콩을 키울 수 있다”고 기대했어요. 30년 가까이 콩만 연구한 렘 홍 밍 교수, 자타공인 ‘콩 덕후’가 가장 좋아하는 콩 음식은 뭘까요? 콩과 ... ...
- [과학뉴스] 우주에서 태양광으로 만든 전기, 지구로 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3호
- 설명했습니다. 연구를 이끈 알리 하지미리 교수는 “아주 적은 수준의 에너지였지만 우주에서 지구로 전기를 보낸 것은 세계 최초”라며 “이 같은 방식으로 외딴 지역, 전쟁이나 자연재해로 황폐해진 지역에도 전기를 보낼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 ...
- [마이보의 과학영상 읽어줌] 어디에나 붙는 게코파워! 외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3호
- 견뎌야 합니다. 인류가 수성에 정착하려면 또 어떤 한계를 넘어야 할까요?지구에서 우주로 로켓을 발사하려면 아주 많은 양의 연료가 필요합니다. 그러다 보니 로켓의 대부분은 연료로 차 있지요. 이 영상에서는 로켓이 더 적은 연료로 더 많은 화물을 싣고 갈 방법으로 ‘스카이훅’을 제시합니다. ... ...
- [과학용어] 수성/협곡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3호
- 대부분 대기권에서 불타 사라져요. 이와 달리 대기가 거의 없는 수성에서는 우주물체가 대부분 수성의 표면에 그대로 충돌합니다. 그래서 수성 표면에는 달처럼 다양한 크기의 크레이터가 움푹 파여 있어요. 또 수성은 태양계에서 일교차가 가장 큰 행성입니다. 추울 때는 영하 183℃까지 떨어지고, ... ...
- [이야기로 냠냠! 어수잼] 친해지길 바라~! 분수나라와 소수나라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3호
- 먼 우주, 드넓은 원 모양의 세상에 ‘분수족’과 ‘소수족’이 살고 있었습니다. 두 민족은 세상을 절반으로 갈라 한쪽에 ‘분수나라’를, 반대쪽엔 ‘소수나라’를 세웠지요. 그러나 분수족과 소수족은 서로 문화가 달라 사이가 좋지 않았어요. 만나기만 하면 아웅다웅, 서로 으스대고 상대방을 ... ...
- [옥톡과 달냥의 우주탐험대] 보이저 2호 / 해왕성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3호
- 갈 거야! 우린 우주를 떠돌아다니는 여러 탐사선에서 부품을 모아 우주에서 최고로 멋진 우주선을 만들기로 했어. 보이저 2호해왕성을 직접 탐사한 탐사선은 현재까지 보이저 2호뿐이에요. 거리가 너무 멀어서 지구의 탐사선이 찾아가기 어렵거든요. 보이저 2호는 1989년 8월 해왕성으로부터 4800km ... ...
이전1112131415161718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