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오직"(으)로 총 699건 검색되었습니다.
- [Issue] 짭조름한 천덕꾸러기? 소금의 반전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염전이라고 하면 떠오르는 바둑판 모양의 땅에서 모두 소금을 채취하는 것이 아니라, 오직 결정지에서만 소금을 채취한다. 소금이 자연스레 흘러갈 수 있도록 첫 번째 증발지에서 결정지까지 약 5° 정도의 경사가 나도록 만들었다. 증발지를 거치면서 갯벌에 함유된 미네랄이 바닷물에 더해진다 ... ...
- Part 2. 양자역학, 인류의 물질관을 재정립하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일이 생긴다. 전하량이 전자의 3분의 1밖에 안 되는 상태가 만들어진다(67쪽 그림 참조). 오직 전자로만 구성된 자연계에서 전자보다 작은 전하를 만들어낼 때 이것을 ‘발현된(emergent) 전하’라고 부른다. 러플린 덕분에 이제 분수 전하를 가진 쿼크 같은 기본 입자조차도 이런 발현성의 결과라고 볼 ... ...
- [매스미디어] 히든 피겨스수학동아 l2017년 04호
- 않았고 NASA 또한 여성을 엔지니어로 고용할 생각이 없었기 때문이다. 세 주인공 중 오직 메리 잭슨만이 상사의 추천을 받고 백인 학교에 다니도록 허가를 받은 뒤에야 겨우 엔지니어가 될 수 있었다. 그런 메리도 결국에는 자신이 좋아하던 엔지니어직을 버리고 여성과 소수자를 양성하는 직책으로 ... ...
- [Culture] 이상한 용손 이야기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나는 ‘관동별곡’이나 2차 도함수의 그래프에 대해서는 아무것도 생각하지 않고, 오직 그녀에게 말한다는 그 생각만 했다. 생각할수록 생각은 커져서 떨치기 힘들었다. 지금 정확히 설명하려면 마땅히 잘 설명할 방법도 없지만, 그때는 ‘말하고 거절 당해도 그게 정말 좋은 것이다’라는 말이 뭔가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년 03호
- 갖고 태어나고 B는 건강하게 태어날 수 있습니다. UBE3A가 앞서 말한 각인 유전자라서 오직 엄마에게서 받은 UBE3A만 발현되기 때문입니다. 즉, 아빠로부터 비정상 UBE3A를 받았더라도 어차피 발현되지 않기 때문에, 장애 없이 정상으로 발달 할 수 있습니다.최근에는 엄마의 UBE3A 유전자가 비정상일 때, ... ...
- [Origin] 잠자는 사자는 과연 너그러운 걸까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최후의 방편으로 적응을 들먹여야 할 때조차 그 적응 은 집단의 이득이 아니라 오직 유전자의 이득을 위함이라고 역설했다. 당시 유행했던 집단 선택론에 종지부를 찍고, 자연 선택의 단위는 유전자임을 못박은 것이다. 유전자 선택론은 나중에 도킨스가 ‘이기적인 유전자 이론’으로 체계화했다. ... ...
- [Origin] 일본 iPS세포연구소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여러 분야의 연구자들이 모여 줄기세포 전반에 대한 연구를 합니다. 그런데 CiRA는 오직 iPS세포 연구만을 위해 2010년 4월 설립됐습니다. 연구소장인 야마나카 교수를 중심으로 32개 연구그룹 약 300명의 연구원들이 모여 있습니다.iPS세포 연구도 종류가 다양한데요. 환자의 iPS세포를 유전자 교정을 통해 ... ...
- [Origin] 원숭이 사회에 흔한 관계, 동성애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진화적으로 가장 먼 원시원숭이의 경우, 여우원숭이상과(科)에 속한 13개 속 가운데 오직 한 개의 속에서만 동성애가 관찰됐다. 광대원숭이상과와 안경원숭이상과에 속한 9개 속에서는 현재까지 동성애가 한 차례도 발견되지 않았다.여기까지만 본다면, ‘동성애 행위와 고등영장류로의 진화 사이에 ... ...
- [가상 인터뷰] 박쥐는 치타보다 빠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4호
- 위에서 아래로 떨어질 때의 속도로, 중력이 더해진 속도지요. 한편 수평 속도는 오직 바람과 동물의 힘만을 사용해 수평방향으로 이동했을 때의 속도랍니다.이전까지 수평속도가 가장 빠르다고 알려진 동물은 시속 110km로 나는 ‘유럽칼새’였어요. 하지만 이번 연구 결과로 수평속도가 가장 빠른 ... ...
- [가상 인터뷰] 백악기에도 새는 노래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2호
- 싶어! 미안하지만 과학마녀 일리는 새처럼 노래를 부르는 게 쉽지 않을 거예요. 명관은 오직 새에게만 있는 발성기관이라, 일리 같은 포유류는 높은 고음의 새소리를 낼 수 없답니다.명관은 다른 동물의 발성기관보다 근육이 더 발달되어 있어요. 새가 다채로운 소리를 낼 수 있는 것은 바로 이 근육 ... ...
이전1112131415161718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