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영문"(으)로 총 355건 검색되었습니다.
- 나는 기억 못해도 뇌는 기억한다과학동아 l2005년 04호
- 국, 여러 반찬이 있는 쟁반이 놓여있고, 환자는 식사를 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어찌된 영문인지 이 환자는 오른쪽에 놓인 반찬들만 먹을 뿐 왼쪽에 놓인 반찬들은 그대로 뒀다. 이런 현상은 식사 때마다 일어났다. 때로는 쟁반 왼쪽에 밥이 놓여 있는데도 병원에서 밥을 주지 않는다고 불평을 하기도 ... ...
- 손목이 자유롭게 움직이는 이유 - 손목뼈과학동아 l2005년 02호
- 붙여진 이름이다. 의대 학생들은 8개 손목뼈의 영문 이름까지 모두 외워야 하기 때문에 영문의 앞 철자를 따 친숙한 문구(파트라슈 호시탐탐, 포톤러쉬 호시탐탐)를 만들어 외우기도 한다.손목에는 손목뼈와 관절이 있어서 손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아래팔뼈와 손목뼈를 연결하는 손목관절은 ... ...
- 천재들의 기록을 원본으로 보다과학동아 l2005년 02호
- 처음 발견한 뒤 동료 과학자들과 3년 동안 함께 번역했다.존 캐리 | 옥스퍼드대 영어영문학 교수. 비평가, 출판평론가, 방송인 등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시인 존 던, 에밀리 디킨슨, 소설가 윌리엄 새커리에 관한 연구서를 포함해 많은 저서가 있고 최근의 저술로는 ‘지식인과 대중’이 있다. ... ...
- 과학동아가 선정한 2004년 하이테크 20選과학동아 l2004년 12호
- 납품돼 본격적인 운행에 들어갔다.‘하이브리드’는 ‘잡종’ ‘혼혈’이란 뜻의 영문단어. 일본 도요타가 1997년 12월 세계 최초로 개발한 하이브리드 자동차는 가솔린 엔진과 전기모터로 움직인다. 속도에 따라 엔진과 전기모터를 번갈아 가며 달리며 주행중에 만든 전기를 다시 충전해 사용한다. ... ...
- 2. 심장 왼쪽에 치우친 이유있다과학동아 l2004년 12호
- 종이 시계반대방향의 껍질을 갖고 있다.신체의 비대칭은 조류에서도 발견된다. 솔잣새는 영문명 ‘crossbill’에서 알 수 있듯이 위아래 부리가 서로 어긋나 있다. 사람으로 치면 덧니가 난 것처럼 보기에도 안 좋은 이런 형태를 갖는 이유는 무엇일까. 좀더 효율적으로 먹이를 먹기 위해서다. 보통의 ... ...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책임연구원 문대원과학동아 l2004년 11호
- 과학자들과 담소를 나누던 자리에서 미국과 호주 과학자들이 문 박사가 부럽다고 했다.영문을 몰랐던 문 박사는 “여러 분야 과학자가 함께 모여 한가지 연구를 할 수 있고, 서로의 연구에 대해 다양한 칭찬과 질타가 오가는 한국의 연구여건이 좋다”고 평가하는 그들의 설명을 듣고 고개를 ... ...
- 02. '죽음의 입맞춤' 유비퀴틴 발견과학동아 l2004년 11호
- 970년경 미국에서 티로신아미노트랜스페라제라는 효소를 연구하던 아브람 허쉬코 박사는 영문을 알 수 없었다. 이 효소가 분해될 때 세포 내 에너지원인 ATP가 소모되는 것이었다. 세포는 이 효소뿐 아니라 수명을 다한 단백질을 분해할 때 귀중한 에너지를 사용한다. 당시 허쉬코 박사는 이 호기심이 ... ...
- 03. 수소 경제가 뜬다과학동아 l2004년 10호
- 시장을 주도할 것으로 보인다. ‘하이브리드’ 는 ‘잡종’ ‘혼혈’ 이란 뜻의 영문표기. 하이브리드 자동차란 가솔린 엔진과 전기모터로 움직이는 차량이다. 속도에 따라 엔진과 전기모터를 번갈아 가며 작동하며 주행중 발전한 전기를 다시 전지에 충전해 사용한다. 하이브리드 차량은 ... ...
- 시뮬레이션으로 나노 세계 비밀 푼다과학동아 l2004년 07호
- 문제가 있다.강 교수팀이 사용하는 방법은 ‘KMLYP DFT’ 다. 여기서 K는 강 교수의 영문 머리글자이고, M은 그의 지도교수, LYP는 연구에 협조했던 다른 3명의 머리글자다. 강 교수가 스탠포드대 박사과정 시절 압 이니쇼 방법과 DFT 방법의 단점들을 보완해 개발한 새로운 방법이다.“우리 팀이 사용하는 ... ...
- 소행성에 한국과학자 이름 붙는다과학동아 l2004년 04호
- 발견한 소행성 5개의 고유명칭으로 제안했던 최무선 이천 장영실 이순지 허준의 영문 이름이 국제천문연맹으로부터 3월 6일 최종 승인을 받았다”고 밝혔다.이 소행성들은 2000-2003년에 한국천문연구원의 전영범 박사와 이병철 연구원이 보현산천문대에서 지름 1.8m 망원경으로 발견한 것이다. 전 ... ...
이전1112131415161718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