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식량
형식
식품
스타일
음식
방식
영양물
d라이브러리
"
양식
"(으)로 총 717건 검색되었습니다.
바닷속 골칫덩어리에서 특별한 요리로!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2호
멋있는 산호가 가득해질 거란 얘기예요.사람들을 괴롭히고 있다고?물고기를 키우는
양식
장에 매달려 사람들을 방해해요. 어선에서 내린 그물에 붙어 있거나 커다란 구멍을 뚫기도 한답니다. 또 여름에 해수욕을 즐기는 사람들에게 다가가 따가운 독을 쏘기도 하죠. 하지만 우리를 불청객으로만 ... ...
골뱅이 vs 우렁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2호
물레고둥은 주로 동해안에서, 큰구슬우렁이는 서해안에서 잡히는데 둘 다
양식
이 어려워 자연에서 채취하지요. 우렁이우렁이는 논에서 볼 수 있는 연체동물로 골뱅이의 한 종류예요. 하지만 골뱅이처럼 우렁이도 종류가 다양하고, 논뿐만 아니라 바다에 사는 종도 있어요. 우렁이를 포함해 ... ...
한양대 이정은 입학사정관 인터뷰 “면접의 핵심은 인성입니다”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줄이기 위해 항목을 여러 개로 나눠 작성하게 했던 추천서
양식
을 올해는 종합추천
양식
으로 바꿨습니다. 학생부나 자기소개서와 비슷하게 쓰기보다는 다른 서류에서 볼 수 없던 점을 써 주세요. 자기소개서 작성을 어려워하는 학생에게 조언 부탁합니다. 일단 자기소개서를 왜 받는지 생각해보면 ... ...
독도의 괭이갈매기 탐방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바위 벼랑에 붙어서 알을 낳고 새끼를 가르며 집단으로 서식하고 있다. 생활
양식
은 무리 생활을 하며, 1회에 4~5개의 알을 낳는다.(…중략…) 서울에서 출발하여 울릉도에 도착한 후 다시 하루를 기다려서 독도에 갈 수 있었다. 다양한 새들이 있었지만 괭이갈매기는 다른 새보다 눈에 잘 띄는 편이 ... ...
재료공학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석기·청동기·철기 시대로 구분하는 기준은 무엇일까? 바로 생활
양식
을 바꿔버린 새로운 ‘재료’다. 새로운 재료는 시대 패러다임을 바꿀 만큼 영향력이 엄청나다. 다음 세대를 명명할 새로운 재료는 무엇일까? 열쇠는 바로 ‘재료공학’에 있다.1 재료공학이 뭐죠?재료공학은 보고 만지며 쓰는 ... ...
국내 최강 IT기술 이제는 바다로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상태를 알면 어떤 물고기가 언제 어디에 있을지 알 수 있다. 전복이나 어패류 가두리
양식
을 하는 어민에게는 재앙이라 할 수 있는 냉수괴의 접근을 예측해 피해를 예방할 수도 있다. 또 바다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기술을 이용해 기후변화를 좀 더 정확히 예측할 수도 있다. 해수의 ... ...
아낌없이 주는 숲 맹그로브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10000m2)에 해당하는 작은 섬마을 사람들의 주된 생업은 수산업. 어패류를 잡아먹고 해초를
양식
해 가공업자에게 팔기도 한다. 섬에는 식수가 없어 외지에서 사와야 한다. 하루하루가 어렵고 힘들지만 마을 사람들에게도 희망은 있다. 바로 섬을 둘러싸고 있는 ‘맹그로브 숲’이다. 열대의 늪이나 ... ...
해상 풍력의 비밀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1991년 7월 11일 덴마크 남쪽 빈데비 해상에 높이 40m가 넘는 풍력발전기 11기가 우뚝 섰다. 해안가로부터 1.5km나 떨어져 있어 육지에서는 흐릿한 기둥 ... 제주도가 계획하고 있는 복합형 해상풍력 발전 단지 조감도. 해상풍력 단지 아래 가두리
양식
과 ‘아쿠아리움’을 결합한다는 계획이다. ... ...
성공도 실패도 모두 노력의 흔적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군은 서울대 지원 서류를 2학년 겨울 방학 때부터 준비했다. 자기소개서도 전년도
양식
을 미리 받아서 써뒀다. 그리고 조금씩 수정하면서 준비했다. 첨부서류는 10개까지 제출할 수 있는데 10개 꽉 채워냈다. 스펙이라고 하면 외부에서 받은 상만을 떠올리지만 모의고사 성적표, 2학년 때 참여한 ... ...
물처럼 꾸준하고 쉼없이 도전하라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깨지지 않고 있고, 앞으로도 깨질 것 같지 않다.매주 교수님과 만날 때는 한 가지 독특한
양식
을 만들어야 했다. 그 달의 연구목표와 그 주의 연구실적, 그리고 다음 주에 할 연구주제를 미리 작성한다. 처음에는 안 맞는 옷을 입은 것처럼 귀찮고 부자연스러웠지만 점차 익숙해지면서 자연스럽게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