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응축
압축
요약
축약화
용해
응결
축합
d라이브러리
"
액화
"(으)로 총 160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Ⅰ 개념과 실체 미래 첨단산업의 기초
과학동아
l
1989년 01호
창출하기 위한 시스팀개발이 핵심이 되며 스터링냉동기 등의 소형 냉동기류와 헬륨
액화
기, 헬륨희석냉동기, 자기냉동기 등의 개발이 그 대상이 되고 있다.극저온 응용분야로는 초전도 자석에 의한 핵융합로 열유체발전 무손실전력저장 자기부상열차 및 선박의 고속추진 NMR-CT(핵자기공명 단층촬영 ... ...
PARTⅢ 국내 수준을 살핀다 실험실 수준 하루빨리 벗어나야
과학동아
l
1989년 01호
세계수준에 크게 미치지 못하고 있다. 극저온 발생기술의 경우 미국은 헬륨
액화
온도인 4K(-269℃)수준인 냉동기를 개발 실용화하고 있고, 일본은 초고속컴퓨터를 위한 조셉슨소자 개발을 추진중이나 국내에서는 4K 측정기술개발에 머무르고 있는 실정.고진공기술도 선진국에서는 ${10}^{-10}$torr ... ...
세계에 4천여명, 국내에 50여명
과학동아
l
1988년 11호
불필요하게 되는 잇점이 있다.냉동수정란도 등장난자나 수정란을 영하 1백96˚C의
액화
질소로 얼려 보존하는 동결건조법도 최근 국내에서 시도되었다. 이 방법은 많은 장점들을 가지고 있는데, 다음 6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첫째 IVF나 GIFT를 시행, 얻어진 여러 개의 난자중 사용하고 남은 수정란을 ... ...
폐암 일으키는 방사능 물질
과학동아
l
1988년 09호
곧 전자를 얻어 헬륨원자로 되는 것을 증명하였다.라돈은 냄새없는 무색의 기체이다.
액화
되어도 색을 띠지 않는다. 라돈가스의 반감기는 3.8일 간으로 다음의 핵분열 과정에서 생성되고 있다.${}^{238}$U(우라늄)→${}^{230}$Th(토륨)→${}^{226}$Ra(라듐)→${}^{222}$Rn(라돈)>→${}^{218}$Po(폴로늄)→${ ...
화염병에서 콤포지션C4까지 폭발의 과학
과학동아
l
1988년 03호
연료로 사용하는
액화
석유가스(LPG) 등이 있는데 일반연소반응과 유사하다.가정에서
액화
석유가스를 사용할 때 불꽃을 보면 주위에서 공기(산소)가 공급되어야 정상으로 됨을 알 수 있듯이 산소와 이 가스와의 적정한 비율이 맞아야 가장 효율적인 연소가 된다. 가끔씩 신문에 보도되는 LPG ... ...
극한의 과학
과학동아
l
1987년 10호
액체 핼륨의
액화
온도(-2백69℃)에서의 초전도 현상을 이용하는 조셉슨소자와 질소의
액화
온도(-1백96℃)에서 초고속 동작을 나타내는 소자, HEMT(고전자이동도 트랜지스터, High Electron Mobility Transistor의 약자 이다.HEMT의 경우 제조과정이 기본적으로 실리콘 기술과 같은 연장선상에 있기 때문에 실용 ...
기계 발견의 역사 호기심과 실험으로 밝힌 공기의 정체
과학동아
l
1987년 10호
따라서 헬륨 은 대기중에도 존재하는 기체의 한 종류임이 확인되었다. 이것이 최초로
액화
된 것은 1908년이었다.아르곤과 헬륨이 발견되자 화학자들은 대기중에 또 다른 불활성기체가 존재할 것이라고 굳게 믿게 되었다. 그들은 농축된 액체공기에서 산소와 질소 그리고 아르곤과 헬륨을 제거한 ... ...
극초소형 실리콘트랜지스터 개발
과학동아
l
1987년 09호
시험하기위해 극히 미세한 선을 새길수 있는 고도의 석판기술(石版技術)과 이장치가
액화
질소의 온도인 영하 161℃ 상태에서 작동될 수 있도록 하는 냉각 기술 등 각종 실험적인 기술들이 사용됐다.IBM 과학자들은 이 트랜지스터가 컴퓨터에 실제 사용되면 기상예보나 연속 음성인식 등 현재로는 ... ...
보다안전하고 공해없는 천연가스
과학동아
l
1987년 06호
건설에는 LNG공급의 성격상 우리나라도 투자를 했다. 이곳에서 -1백62℃의 초저온에서
액화
된 천연가스는 LNG탱크에 저장되었다가 LNG운반선에 실려진다. 이 배는 인도네시아의 '아룬'에서 평택 인수기지까지 LNG를 운반한다. 6천1백km의 먼 거리에서 초저온의 액체를 실어나르는 이 운반선은 초첨단의 ... ...
제2의 전기혁명은 오는가? 초전도체 개발 경쟁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온도를 낮출 수 있기 때문에 이 보다 높은 온도에서 초전도가 일어나는 물질이 개발돼야
액화
질소를 쓸 수 있는 것이다. 초전도 물질의 경제성 기준 온도를 절대온도 77도로 잡는 것은 바로 이같은 이유 때문이다. 물론 초전도 물질을 냉각시키지 않고도 보통 온도에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면 ... ...
이전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