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누기
물기
수분
수증기
습도
d라이브러리
"
습기
"(으)로 총 397건 검색되었습니다.
금메달을 만드는 명품 얼음과 눈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역할을 해주면서 앞으로 나아가는 원리를 이용한다. 이 때문에 빙판 표면에는 약간의
습기
가 있는 것이 좋다. 피겨 종목만 해도 빙판 아래 온도는 영하지만 빙판 위는 0℃보다 조금 높다. 특히 점프와 착지, 스핀과 턴, 스텝이 연속적으로 반복되는 피겨 종목의 경우 얼음 상태가 너무 딱딱해도, ... ...
도넛 가득한 세상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말려야 하므로 두꺼울 필요가 없다. 또 고추장 메주를 빚는 시기는 온도가 높고
습기
가 많아 메주를 발효시키기에 적합하지만 동시에 부패하기도 쉽다. 결국 순창에서는 고추장 메주를 재빨리 건조시켜 발효균이 잘 자라는 환경을 만들기 위해 고추장 메주를 도넛형으로 빚는다. 도넛형 메주는 긴 ... ...
조립식 천체망원경 HT-40400 DIY 망원경으로 겨울밤을 만끽하자!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천체를 관측하기 가장 좋은 계절이다. 봄은 황사 때문에, 여름은
습기
때문에 하늘이 맑지 않고 날씨도 정확히 예측하기 어렵다. 가을과 겨울은 하늘이 맑아 관측하기 좋다.특히 추운 겨울은 대기가 안정돼 별이 또렷하게 보인다. 천체 마니아들이 추운 날을 기다려 별을 보는 이유다. 천체망원경을 ... ...
소라에 ‘전세’ 사는 육지소라게와 ‘바다 밤톨’ 성게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대부분의 소라게는 바다에서 살지만 육지소라게는 변형된 아가미가 있어 따뜻하고
습기
가 많은 육지에서 산다.소라게는 일반 게와는 달리 몸이 기다랗고 부드럽다. 몸이 연약하기 때문에 단독으로 살지 않고 빈 고둥 껍데기를 집으로 삼는다. 몸 뒷부분을 그 안에 집어넣고 달팽이처럼 껍데기를 ... ...
완전궁금! 올 여름 날씨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2호
부근에서 햇빛에 데워져 상승한 공기가 아열대 지역의 바다에서 오랫동안 머무르면서
습기
를 많이 머금어 생깁니다.올해는 이 북태평양고기압이 평년보다 훨씬 거세질 전망이라고 합니다. 그래서 올해는 평년의 여름 기온인 19~26℃보다 기온이 높고, 습도도 높아 눅눅한 여름이 될 거랍니다."지난 10 ... ...
아시아 최초 슬로시티 태평염전에 가다!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흥미롭다. 팔만대장경이 보존된 해인사 창경각의 지반을 조성할 때도 해충을 막고
습기
를 흡수하기 위해 소금을 사용했다고 하니 그 활용 범위가 무궁무진하다. 여러 종류의 소금을 구경하는 재미도 있다.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소금은 바닷물을 가둬두고 햇빛에 수분을 증발시켜 얻는 천일염이지만 ... ...
“사슴벌레 기르는 SW로 아프리카 굶주림 해결”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높아진다는 사실이다. 자연에서 사는 사슴벌레는 강한 햇볕이 비치면 그늘로 이동하고,
습기
가 많으면 마른 땅으로 기어갈 수 있지만 우리에 갇혀서는 그럴 수 없기 때문이다. 사육 장비의 환경을 사슴벌레가 좋아할 수 있도록 수시로 관리하면 되지만 그런 사육 장비는 대개 조작법이 복잡할 수밖에 ... ...
마음을 울리는 청아한 소리 양금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자라 탄력이 좋은 대나무인 ‘해죽(海竹)’을깎아 만든다. 일반적으로 대나무는
습기
를 머금었다 내뿜는 과정을 반복하면 탄력성이좋아지기 때문이다. 채의 손잡이와 자루 부분은 대나무 껍질 부분만 얇게 남겨 탄력성을 살리고 줄을 치는 머리 부분은 두껍게 만들어 무게를 싣는다. 양금은 쇠줄로 ... ...
신개념 영어학
습기
'매직 스터디'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플레이어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지상파DMB도 시청할 수 있다.한 단계 업그레이드된 영어학
습기
‘매직 스터디’로 공부하다 보면 어느새 마법처럼 영어 실력이 향상된 자신을 발견할 수 있다. 편집자주 ‘매직 스터디’를 모니터링하고 싶은 독자는 과학동아 홈페이지(www.dongaScience.com/DS)에서 ... ...
1박 2일 캠핑의 과학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폴리아미드는 폴리에스테르보다 탄력성이 좋고 강도가 뛰어나요. 하지만 비가 오거나
습기
가 많을 경우 수분을 흡수하죠.” 극성 부분인 아미드기(-CONH)가 물과 수소결합을 하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폴리아미드는 상온(20℃), 상대습도 100%에서 중량의 약 9%까지 수분을 흡수한다. 하지만 최근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