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죽음
사망
귀천
소멸
폐업
d라이브러리
"
사멸
"(으)로 총 194건 검색되었습니다.
핵겨울설 한계 뛰어넘은 새 멸종설
과학동아
l
1996년 08호
설명으로 96년 1월 사우스캐롤라이나대학의 후안콜라는 지구로부터 20광년 떨어진 별이
사멸
하면서 방출한 중성자가 공룡의 DNA를 손상시켜 암을 일으켰다고 주장해 화제가 된 바 있다.◇천체충돌설 : 소행성이나 혜성이 충돌해 공룡이 절멸했다는 설.◇화산폭발설 : 화산폭발로 일어난 먼지가 대기를 ... ...
페스트, 왜 지상에서 사라졌나
과학동아
l
1995년 07호
서서히 숙주와 함께 지구상에서 사라지고 동시에 병원체의 감염에 견디지 못하는 숙주도
사멸
된다.이와 같은 현상이 긴 세월 동안 이어지면 결국 병독성이 완화된 병원체와 저항성이 강한 숙주만이 살아남게 된다. 이때는 병원체에 감염돼도 증상이 없는 상태로 남을 수 있다 이러한 관계를 공생 ... ...
적조현상 해독제연구 새 전기 마련
과학동아
l
1995년 05호
조류(algae)의 대번성이다. 적조가 일어나는 해에는 그 주변에서 서식하는 생물들이 대량
사멸
한다. 조류에서 생성되는 여러 독소들이 바다생물들을 사지로 몰아넣는 것이다. 여러 독소들 가운데에서 Gymnodinium breve라는 조류가 내뿜는 브레베톡신(brevetoxin) B 독소는 최고의 독력을 지닌 것으로 유명하다 ... ...
음식물 쓰레기 처리의 과학
과학동아
l
1995년 03호
등의 공정이 요구된다. 특히 열처리 공정은 사료의 안정성을 높이고 또 병원성 미생물의
사멸
목적으로 1백20℃에서 20분간의 처리가 필요하다.음식물 쓰레기의 부패를 최대한 방지하기 위해 수집, 운송 과정상 냉장장치와 이물질 제거를 위한 선별과정이 요구되기도 한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사료는 ... ...
백두산 지질탐구
과학동아
l
1995년 01호
즉 산 정상부의 눈이 갑작스레 녹는다든지 화산호수 소실, 우물 고갈, 주변 식생
사멸
또는 동물이나 조류의 갑작스런 이동 등으로부터 어느 정도 가능하다. 실제 1902년 펠레화산의 분화 전에 동물의 이동이 관찰됐다.그러나 과학적 관찰을 통해서도 화산예보를 할 수 있는 가능성이 충분히 있다. ... ...
사람의 마음 컴퓨터에 이식한다.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복사하여 보관해두면 오랜 시간이 경과된 후에 다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마음이
사멸
하지 않게 된다. 마음이 죽지 않은 사람은 결국 영생을 누릴 수 있다.미국 물리학자인 프리먼 다이슨은 그의 저서 '모든 방향으로의 무한'(Infinite in All Direction, 1988년)에서 이와 유사한 상황을 설정하고 "아마도 ... ...
인간은 수명 결정하는 유전자 지니고 있나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보존을 위해 유기체의 생식을 보장할 만큼 우수하긴 하지만, 개체의 보존을 위해 신체의
사멸
을 방어할 만큼 우수하지는 못하므로 노화가 발생된다는 이론이다. 종의 보존이 개체의 보존을 우선한다는 원칙에 입각한 이론이다. 노화는 생식능력의 극대화를 위해 치르는 대가라는 뜻이다.커크우드의 ... ...
1. 지구는 생물이 살기 알맞도록 환경을 조절해 왔다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모델이 얼마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는지 시험하기 위하여 데이지들의 약 30%가 갑자기
사멸
하는 대재난이 몇 차례 발생하도록 모델의 수식을 변경해 보았다(그림 3). 그런데 초식동물을 모델에 첨가시키거나 질병 만연과 같은 재난이 발생하더라도 데이지들의 기후조절 능력은 거의 변하지 않았다 ... ...
미생물 이용, 환경오염 막는다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수 있기 때문이다. 또 오니의 감량화 안정화가 가능하고 병원미생물이나 기생충 알이
사멸
된다는 등의 특성을 새로이 인식하게 됐기 때문이다.종래에는 주로 고농도(BOD 15,000mg/L) 폐수 및 분뇨, 혹은 고형물 함량이 2-7%의 하수오니 등을 대상으로 혐기성 소화 처리방식이 적용돼 왔으나 현재는 기술적 ... ...
3. 변화무쌍한 돌연변이로 '싸움'과 '공존'의 이중전략 구사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숙주를 죽이지 않는 길을 모색할 것이다. 이것이 '공존'이다.결국 그 바이러스는
사멸
하거나(숙주의 면역기구의 공격으로 죽게 되든지 혹은 숙주를 명망시키고 자신도 사라지든지) 숙주와 공존하거나 하는 두 길중 하나를 택하게 된다. 그러나 그것으로 끝나는게 아니라 바이러스에 돌연변이 등의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